저자 보상의 비율이 왜 달라지고 있는 건가요?

in #kr6 years ago (edited)

스팀잇에 들어온지도 거의 한달이 다 되어 가고 있습니다.
처음에 저자 보상에 이야기를 들었을때는 다음과 같다고 들었습니다.

스팀달러 : 스팀파워 = 50% : 50%
혹은 스팀파워 100%

지금도 설정메뉴에 들어가면 위의 2개중에 하나를 선택하라고 되어 있구요.

그런데, 제가 처음 저자 보상을 받았을때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아래는 첫보상을 받고 기뻐서 캡쳐를 해 놓은 화면입니다.
94p7a9h35w.png
스팀이 약간 포함되어 있죠. 이때 스팀 가격이 하락하고 있어서 정책의 변화가 있는거 같다는 글을 본거 같습니다.

그런데.. 저자 보상을 받다보니.. 점점 스팀의 비율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8lqbjy78tl.png
g7exoryicd.png
0k28vko45g.png
g4303qwp62.png
ctvi08lhlj.png
ic97rkqc3l.png
lp2n7qncvg.png

급기야는 그저께부터 스팀달러보다 스팀을 더 많이 주고 있네요.

제가 경제를 잘 몰라서 그러는데..
스팀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데..이렇게 스팀으로 주는 이유가 뭘까요?
어차피 사람들이 스팀으로 바꿀거니.. 거래소에서 수요을 줄이는 차원에서 미리 알아서 바꿔주는 걸까요?





좌충우돌 시리즈

[좌충우돌] 1. 뉴비의 첫보상, 그리고 파워업
[좌충우돌] 2. 가입시 임대받은 스팀파워의 정체
[좌충우돌] 3. 글 보상을 스팀파워로 전환할때 수식
[좌충우돌] 4. 글에 표시되는 보팅 금액
[좌충우돌] 5. 스팀잇 이용정보를 볼 수 있는 통계 관련 사이트
[좌충우돌] 6. 스팀API를 활용하여 구축한 눈여겨 볼만한 사이트
[좌충우돌] 7. 스팀잇을 하면서 참고할만한 사이트
[좌충우돌] 8. 저자보상, 큐레이션 보상 이외에 수혜자 보상이 있다?
[좌충우돌] 9. 스팀잇 옐로우 페이지
[좌충우돌] 10. 포스팅에 구분선 이미지 추가하기
[좌충우돌] 11. 암호화폐 거래소 계정 생성과 거래 방법




Upvote & Follow is LOVE.           heart-1186998_640.png

Sort:  

(jjangjjangman 태그 사용시 댓글을 남깁니다.)
호출에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스티밋하세요!

이미 확인하신듯 하네요. :)

스팀 달러는 이름대로 달러와 연동되는 것이 스팀 세상의 목표입니다. 그래서 뭐 수학적 공식에 의해.. 스팀 가격이 떨어져버리면 스팀으로 보상을 대체하는 ... 방식이 있는듯 해요. :)

그러지말고.. 스팀/스달 다들 한 100만원 갔으면 좋겠는데. ㅋㅋ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이 글을 한번 참조해보세요~

정보 감사합니다.
정확히 이해는 가지 않지만, 스팀과 스달의 시총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 조절을 하는 것이군요.
왜 맞춰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스팀 공급이 많아지면 가격이 더 떨어지지는 않을런지...

백서를 보면 스달이 스팀 블록체인 내에서 일종의 "부채 (debt)"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부채 발행 비율이 높아지면 스팀 투자자들이 이익을 보지만 반대로 너무 높으면 경제 시스템이 붕괴될 수도 있죠. 그래서 블록체인에서 스달의 시가총액을 스팀 시가총액의 5%로 제한해 놓았습니다.

저도 잘모르겠어요 ㅋㅋ 주는대로받습니다 ㅎ

짱짱맨 호출로 왔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9
BTC 61043.90
ETH 3378.35
USDT 1.00
SBD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