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 life story- 비자나무의 소생

in #kr5 years ago

비자나무의 소생@jjy

바둑을 즐기는 사람들은 좋은 바둑판 하나 갖는 것이 평생소원이다.
이들은 은행나무나 피나무로 만든 바둑판 하나만 있어도 자랑거리다.
그러나 최고급품은 비자반(榧子盤)으로 친다. 나무에 향기가 있고
연한 황색이라서 바둑돌의 흑백과 잘 어울리며, 돌을 놓을 때 들리는
은은한 소리는 선물이다.

처음에는 표면이 약간 들어가 있는 듯 보이지만 바둑을 다 두고
돌을 바둑판에서 치우고 나면 다시 회복되는 탄력성은 다른 나무는
감히 흉내 낼 수 없는 자랑거리다.

비자나무는 현재 남해안 및 제주도에서 드물게 자라는데, 대부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그래서 지금은 비자나무 바둑판을
전혀 만들 수 없다. 보존상태가 좋고 잘 다듬어진 비자나무 바둑판은
소위 명반(名盤)이라고 알려져 부르는 게 값이라고 한다.

지금은 이렇게 귀한 나무이지만 옛날에는 남해안에서 흔히 자라던
나무였다. 이는 문헌이나 출토유물에서도 확인된다. 《고려사》에
보면 원종 12년(1271)에 원나라의 궁궐을 짓는 데 필요한 비자나무
판자를 보냈다고 한다. 비자나무는 부드럽고 연하면서도 습기에
잘 견디므로 예부터 바둑판 이외에도 관재나 배의 재료로 널리
이용된 좋은 나무다.

이처럼 고려 이전만 해도 비자나무는 널리 자라고 있었음을 짐작 할 수
있으나 조선조에 들어오면서 사정이 달라진다. 벌써 세종, 예종, 성종
때 여러 번에 걸쳐 비자나무 판자의 수탈에 관한 지적이 있었으며, 영조
39년(1762)에는 제주도에서 바치는 비자나무 판자 때문에 백성들의
폐해가 심해 일시 중지시킨 기록도 있다. 그래서 우리와 가까이서
삶을 함께해 온 비자나무 숲은 안타깝게도 모두 없어지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몇 곳만이 겨우 목숨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국내에서 사라질 번한 멸종위기 희귀식물인
'비자란' 복원에 성공했다고 1밝혔다.

비자란은 오래된 나무에 붙어 자라는 난초과 식물로, 국내에서는
제주지역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자생한다.

대문을 그려 주신 @cheongpyeongyull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1
BTC 67495.61
ETH 3713.66
USDT 1.00
SBD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