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줄 손자병법(孫子兵法)302

in #sct3 years ago

九地之變(구지지변), 屈伸之利(굴신지리), 人情之理(인정지리), 不可不察也(불가불찰야).

장수는 구지에 따른 용병법의 변화, 상황에 따라 직진하고 때로는 우회함으로서 이익을 얻는 방법, 인간 심리를 상황에 맞추어 적용하는 이치 등을 깊이 살피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20210726_091111_resized.jpg

장수는 전쟁터에서 상황을 좌지우지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장수가 상황을 통제하지 못하면 전투에서 승리할 수 없다.

작은 전투의 승리는 전쟁의 궁극적인 종결을 가져온다. 그래서 장수는 구지에 관한 용병법을 숙지하고, 상황에 맞게 적용할 줄 알아야 한다.

부대를 때로는 직진시키고, 또 때로는 단거리 접근로가 아닌 우회로를 통해 이동시키는 것은 바로 그것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알기 때문이다.

이런 이치를 깨닫고 부대를 움직이는 장수는 승리를 거머쥘 수 있다.

참고문헌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武經七書』, 서울: 서라벌인쇄, 1987
孫子, 『孫子兵法』, 김광수 역, 서울: 책세상, 2000
孫武, 『孫子兵法』, 유동환 역, 서울: 홍익출판사, 2002
孫武, 『365일 孫子兵法』, 노양규 역, 서울: 신한출판시사, 2007

Coin Marketplace

STEEM 0.29
TRX 0.11
JST 0.030
BTC 68362.52
ETH 3747.89
USDT 1.00
SBD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