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 좋은 글 쓰기 #02 - 정확하게 쓰기

in #writing6 years ago

     지금은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활동이 아주 다양해져서 인터넷 활동에서 정보 검색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이 낮아졌지만, 초기에는 인터넷 활동의 대부분이 정보 검색이었습니다. 그래서 당시에는 인터넷 예찬론자들은 인터넷을 < 정보의 바다 >라고 불렀고, 비관론자들은 인터넷을 < 정보의 쓰레기통 >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인 네트워크에 올려져 있는 엄청난 양의 정보에 기인한 것이고 또한 그 엄청난 양의 정보 중에 잘못된 정보가 상당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 때에 찾아내기도 어렵다는 데에 기인합니다. 사실 검색 엔진의 성능이 미비했던 시기에는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시간이 필요했고, 심지어는 < 정보 검색사 >라는 자격증( 아주 유망한 자격증이라기에 땄더니 단 한번도 사용하지 못한... 쩝... )도 있었습니다. 

     글을 쓰는 목적은 아주 다양합니다. 그리고 그 목적에 따라서 글의 형태도 달라집니다. 그러나 글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정보가 담겨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글은 정보의 양이 많고 어떤 글은 정보의 양이 적습니다. 어떤 글은 정보가 명확하게 담겨 있고, 어떤 글은 정보가 모호하게 담겨 있습니다. 그래도 확실한 것은 언어라는 것은 정보 전달의 수단이고, 따라서 모든 글에는 정보가 담긴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글을 쓸 때에는 이러한 정보를 아주 정확하게 써야 합니다.  

     정보가 정확한 글을 쓰면 독자들은 빠르게 저자에게 신뢰를 가질 수 있고, 글의 파급력 역시 올라갑니다.   

Amante De Solvejg      

Sort:  

Congratulations @a9605550!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1 year!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Support SteemitBoard's project! Vote for its witness and get one more award!

Congratulations @a9605550!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2 year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696.14
ETH 3401.11
USDT 1.00
SBD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