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방송

in #trending4 months ago

경인방송(京仁放送)은 인천광역시, 수도권 서부, 북서부와 서울 일부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민영 라디오 방송사이다.

경인방송

ITV_Kyung_In_Television.jpg
경인방송 사옥
한국명
경인방송
한자표기
京仁放送
영문표기
Kyung-In Broadcasting Co. Ltd
약칭
iFM[1]
형태
민영방송
방송 영역
지상파 라디오 방송
창립일
1997년 1월 7일
개국일
1997년 1월 14일(iTV)
2003년 6월 30일(iTV iFM)
2005년 3월 1일(경인방송)
폐국일
2004년 12월 31일(iTV)/(iTV iFM)
해체일
2004년 12월 31일
이후 회사
OBS경인TV
직원 수
100여명
본사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아암대로287번길 7 (학익동)
사장
이기우 (대표이사 사장)
웹사이트
경인방송
개요

편집

ITV_LOGO.svg.png
iTV 시절의 로고
개국 초기
편집
1997년에 인천광역시와 OCI(당시 동양화학공업)의 노력으로 UHF 채널 21번으로 TV 방송인 인천방송(仁川放送)으로 개국되었다. 그 후 메이저 리그 독점 중계권을 획득하였고 때마침 박찬호 신드롬 때문에 전국에서 불법으로 재송신을 하는 것이 유행일 정도로 한때 국내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했었다. 2000년 3월 20일에는 경기도 남부까지 방송 권역이 확대되면서 사명을 경인방송으로 변경하고 그 해 VHF 채널 4번을 획득하였다. 또한 2003년 6월 30일에는 FM 방송국(iFM)을 개국하여 경인 지역의 명실상부한 민영방송으로 자리매김하였다.

TV, 라디오 방송 중단 전
편집
그러나 2004년 1월 전 iTV 회장이었던 박상은(전 새누리당 의원, 전 인천시 경제부시장)이 iTV를 자신의 인천광역시장 선거 출마를 위한 도구로 이용하려 했다는 문건이 폭로되고, 당시 대주주였던 OCI와 대한제당의 증자 및 경영 개선 약속 이행 거부로 인한 노조 파업이 2004년 10월부터 1달여간 지속되었고 방송 역시 파행에 이르게 되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간접광고 관련 조항 위반이 90회 정도 상습적으로 적발되었고 회사 자금에 대한 사회 환원 조건 역시 위반되면서 첨예한 갈등과 분쟁이 심화되었다. 결국 노조 파업 끝에 2004년 12월 13일에 방송사 사상 초유의 직장 폐쇄 조치를 내리게 되면서 그 해 12월 21일에 방송위원회의 재허가 추천 거부 결정으로 10일 후인 12월 31일 오전 11시 10분을 기하여 애국가 송출을 끝으로 TV(iTV), 라디오(iTV iFM) 방송이 종료되었으며 이는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 정부기관에 의해 결국 폐국의 비운을 맞았던 가장 이례적인 사례로 꼽히게 되었다. 한편, 인근의 동양제철화학 공장 역시 iTV 사건때 언급된 바 있다.

과거 iTV 경인방송 시절 방송되었던 프로그램으로는 《생방송 모닝데이트》, 《선택! 행복한 아침》, 《노영하의 바둑이야기》,《생방송 세상을 연다》, 《생방송 아이포유 5시》, 《특급증권정보》, 《3일간의 사랑》, 《퀴즈쇼 무한대결》, 《리얼스토리 실제상황》, 《미스터리극장 위험한 초대》, 《뮤직쇼 악바리클럽》, 《열전! 가수왕》, 《TV 요리천국》, 《리얼TV 경찰24시》, 《성인가요 베스트 30》, 《뮤직앤조이》, 《열전! 게임챔프》, 《iTV 게임스페셜》, 《르포 인사이드》, 《르포 시대공감》 등이 있으며 로고송으로는 2004년에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이 중단될 때까지 마장조, 올림바장조, 사장조로 구성된 서로 다른 세 가지 버전의 "우리 함께 사는 세상, iTV 경인방송"이 쓰였다.[2]

TV 및 FM 라디오 방송 중단 이후
편집
한편, iFM은 이후 3개월 동안 음악만 내보내는 파행 방송을 하다가 2005년 3월 1일부터 무보수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 '경인방송 살리미'들이 방송 제작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90.7㎒ 라디오 FM 방송을 재개하였다. 2006년에 FM 방송은 방송위원회로부터 조건부로 재허가 추천을 받으면서 그 해 4월 3일 사명을 경인방송에서 라디오 인천으로 바꾸고, 애칭을 iFM에서 SUNNY FM으로 변경하였다. 24시간 방송되며 음악 관련 프로그램과 수도권 전지역 로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다.

라디오 방송 재개 이후
편집
그러다가 2007년 10월 11일부터 SUNNY FM 라디오 인천에서 경인방송으로 환원하였다. 사명 환원의 배경이 된 것은 "경인방송이라는 회사명이 인천 시민들과 청취자들에게 지난 10년 동안 친숙하게 불려 왔고, 인천보다 훨씬 넓은 지역까지 경인방송 전파를 통해 청취자들이 방송을 들어왔기 때문에 원래의 회사 이름을 다시 사용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법원으로부터 2007년 10월 8일 회생계획 인가결정을 받은 후 4년 연속 흑자경영을 해왔다.(2022년 현재까지도 흑자 경영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경영 여건 개선으로 인천지방법원은 2010년 12월 30일부로 경인방송에 대해 회생절차 종결결정을 했다. 이로써 경인방송은 경영정상화를 이뤄냈다. 경인방송이 법정관리 졸업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던 힘은 괄목할 만한 재무개선에 있었는데, 2003년 300억 원에 육박했던 채무가 약 2억 원으로 줄었다.

Kyungin_Broadcasting.jpg
2007년 당시 사옥 전경

ITV-Korea.jpg

2008년 당시 사옥 전경
2008년 12월 26일에 방송통신위원회는 iTV 경인방송(채널명:iTV)의 비즈니스 정보 전문 채널 PP 등록 신청건을 심의해 등록을 허용하였다. iTV는 경제자유구역에 관한 비즈니스 정보를 주로 방송할 예정이었다. 또한 2010년에 선정될 종합편성채널에도 관심이 있다고 밝힌 적이 있다.

숭의동의 수봉공원에 송신소가 있으며, FM 90.7㎒에 출력 5㎾로 송신하고 있다.

개국 당시부터 2011년 10월 10일까지 1㎾의 출력으로 송신하였으나, 경인방송이 2011년 7월에 인천광역시의 재난 방송 주관 방송사로 지정되었음에도 서해 5도 지역에 방송이 제대로 수신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들어 방송국을 비롯한 각계 인사들이 방송통신위원회 측에 지속적인 건의하였고, 이것이 받아들여져 출력을 5㎾로 증강하였다.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을 계기로 경인방송은 이동식 오픈스튜디오 'BOX 907'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해 운영해오고 있다. BOX 907은 '선물', '라디오'라는 뜻의 'BOX'와 경인방송의 주파수 90.7MHz의 907이 결합한 애칭이다.경인방송은 BOX 907을 이용해 초대형 행사에서 동네 시장 어귀의 행사까지 공개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그 어떤 행사도 장소에 관계없이 진행할 수 있는 전천후 이동식 방송 스튜디오로 2009년 6월 지역 민영방송 최초로 가동됐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08년도 방송평가에 따르면 경인방송은 ‘내용 및 편성’ 평가에서 250점 만점에 216.25점을 받아 전국 149개 라디오 방송사에서 공동1위(CBS AM·FM)를 기록하기도 했다.

방송통신위원회에서 공표한 2015년 지상파방송사업자 방송평가에서는 지역 민영방송사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지역민방 중 재난방송 수행 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하는 등 ‘내용 및 편성’ 부문에서도 220.57점을 받아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대한민국 최초의 아웃도어 대형 맥주축제로 시작한 송도맥주축제는 전국 각지에 수많은 아류 축제를 낳으며 맥주축제의 선풍을 일으켰다.

2011년 송도컨벤시아에서 처음 시작된 후 2016년부터 인천 연수구 송도달빛축제공원에서 매년 8월 마지막주 금요일부터 9일 동안 행사가 열린다.

송도맥주축제장면.jpg

3월 : 국립인천대학교와 MOU 체결
5월 : 제9회 송도세계문화축제 공동 주관 업무협약 (제네픽Ent. & 경인방송)
8월 : 제9회 송도세계문화 축제 개최
9월 : 인천광역시한의사회와 MOU 체결
10월 : 미추홀구 & 경인방송 수봉공원 야간 경관사업 관련 MOU체결
11월 : 2019 행복&동행 화합 한마당 개최
2020년대
편집
2021년
편집
11월 : 2020년 3월 30일에 폐업한 경기방송을 대체하는 경기지역 지상파 라디오방송사 사업자에 신청 완료[8]
2023년
편집
3월 : 강효상 대표이사 취임
9월 : 강효상 대표이사 사퇴
11월 : 이기우 대표이사 취임
12월 : 권영만 회장 취임
2024년
편집
1월 : iHQ와 MOU 체결
방송 송출 시설망
편집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수봉산 송신소 FM 90.7㎒ 5㎾ HLDO-FM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2동 산21-1
가청취권
편집
경기 서북부·경기 서남부 일부, 인천, 서울 일부
참고 사항
편집
경기 성남 분당 지역에서는 공동체 FM 라디오 방송인 성남FM과 주파수가 같아 해당 지역에서는 성남FM이 수신되거나 방송이 서로 혼선이 되는 관계로 수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때문에 부득이하게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청취해야 한다.

경영난으로 인해 TV 방송 재개국 계획이 무산되었다.
김수정 (2009년 8월 20일). “경인방송, 중국 칭다오방송과 우호협력 체결”. 미디어오늘.
김나라 (2013년 11월 19일). “OBS·iFM, 업무 제휴 체결 "경인지역 방송 위상 새롭게 정립할 것"”. OBS 플러스 (OBS 뉴스).
대신 기존 영어 명칭(iFM)의 언급량을 15% 이하로 줄였다.
박혜영 (2018년 1월 30일). “OBS·iFM, 30일 MOU체결…'경인방송' 상호 공동 사용”. OBS 플러스 (OBS 뉴스).
박수선 (2021년 10월 1일). “경기지역 신규 라디오방송사업자 선정 절차 돌입...11월 12일까지 접수”. PD저널.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사용한 로고송에서 iTV 부분을 생략했다.
외부 링크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038.71
ETH 3404.98
USDT 1.00
SBD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