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연재글 11] 레버리지/인버스 ETF 투자시 주의 사항

in #tooza6 years ago

안녕하세요. @etfinvestor 입니다.

지수형ETF 투자 방법에 대한 글을 쓰고 지난시간까지 내가 투자하는 ETF의 투자지표 확인하는 법까지 말씀드렸죠? (지난글 링크 : https://steemit.com/tooza/@etfinvestor/etf-10-etf)

지수형 ETF의 종류에는 레버리지와 인버스 상품도 있는데요. 오늘은 이 상품에 투자하면서 주의해야 할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지수를 몇배 추종하는것이 아니라, 등락률을 추종하는 상품이다.

보통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을 지수의 2배추종, 또는 반대로 1~2배추종 이라고 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지수를 몇배 추종하는 상품이 아니라 하루 등락률의 2배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그게 그거지 머가틀려? 라고 생각하시면 큰코! 다칠수 있습니다. )

  • 등락률 추종상품은 장기투자시 손해보는 구조이다.

"어차피 증시는 우상향이야, 투자하고 묻어두자"는 등락률 추종상품에 통하지 않습니다. 그이류를 살펴볼까요? 아래는 KODEX레버리지에 대한 상품입니다.

image.png

지수가 위아래로 변동함에 따라 누적 수익률이 기초지수에 비해 적음을 알수 있죠. 기초지수가 2%올랐으면 많은 분들이 "그럼 레버리지는 4배 올랐겠네?" 하실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해가 잘 안가시면 그래프로 살펴볼까요?

image.png

그래프로 보니 쉽게 확인이 가능하죠? 지수가 제자리에 돌아와도 레버리지에 투자한 나의 수익률은 제자리가 아님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인버스의 경우는 어떨까요?

image.png

하락률 1배를 추종하는 인버스 상품의 경우는 1배를 추종하기에 장기투자로 인한 오차가 크게 벌어지진 않지만 정확히 지수의 수익률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 투자는 중단기적 대응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이 3배를 추종하는 상품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2배까지만 나와있지만요. 3배를 추종하는 상품의 경우 큰 이익을 기대할수도 있지만 지수가 등락을 거듭한다면 손실이 더 커질수도 있겠죠.
    이런 이유로 레버지리, 인버스 상품에 투자할때는 중단기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을 지수가 크게 변동할때 애용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지수 등락률 추종상품의 경우 투자기간은 6개월 이상 잡는 것은 그리 좋아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지수가 꾸준히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는 제외하구요..)

오늘 글을 통해 ETF 레버리지 상품에 대한 주의할 점을 아셨죠? ETF가 단순하고 재미없는 것 같지만 연구해보면 이처럼 다양한 특성을 가진 상품이 많고 그에 따른 다양한 전략을 세울수 있습니다. 이런 전략에 따라 수익률을 극대화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아는 것이 힘입니다. 주말에 공부거리를 드려서 죄송하지만..^^ 좋은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Sort:  

등락률 추종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지수는 회복했는데 아직도 손실이라고 말하시는분들이 주변에 꽤 되요. 투자하시기전에 상품 설명 읽어보시는데 큰도움이 되죠~^^

This post received a 57% upvote from @krwhale thanks to @etfinvestor! For more information, click here!
이 글은 @etfinvestor님의 소중한 스팀/스팀달러를 지원 받아 57% 보팅 후 작성한 글입니다. 이 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click here!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249.08
ETH 3397.67
USDT 1.00
SBD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