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 이코노미 풀어내기] 6.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예방

in #tokeneconomy6 years ago (edited)

토큰 이코노미에서 바람직하다와 바람직하지 않다는 도덕적이거나 윤리적인 문제가 아니라 철저하게 경제적이고 실익에 대한 문제이다. 즉, 바람직하다는 것은 장기적으로 토큰 가치를 높이는 것이며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은 토큰 가치를 낮추는 것으로 귀결된다. 비트코인의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은 무엇일까? 스팸 공격이나 51% 공격이다. 이러한 일이 꾸준히 발생했다면 비트코인의 가치는 현재보다 훨씬 낮았을 것이며, 다행스럽게도 비트코인은 이러한 공격을 그래도 효과적인 편으로 막아냈기에 지금의 높은 가치가 유지되고 있다.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 취약점을 통한 자금탈취도 또다른 예이다. 공격자 입장에서는 최대의 이익을 추구한 셈이 되겠지만 전체 네트워크의 가치는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다와 바람직하지 않다의 기준을 개인의 단기적인 이익 추구가 아니라 전체 생태계도 크고 개인도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장기적인 상생으로 삼아야만 토큰 이코노미에 대한 논의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토큰 이코노미 설계자들은 생태계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이 역시 비용과 수익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비용보다 수익이 크지 않으면 그 행동에 대한 물질적 동기는 사라질 것이며,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했을 때의 기대수익이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보다 작거나 차이가 크지 않다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해서 잠재적인 위험을 떠안을 필요가 없다. 비용에 있어서 보자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할 때 비용이 올라가도록 하는 것이 기본적인 설계 개념이다. 스팸 공격을 할수록 수수료가 많이 나간다든지, 51% 공격을 하기 위해 지분이나 채굴 해시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든지 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들이다. 몇몇 채굴풀이 마음만 먹으면 51% 어택을 할 수 있을지라도 그러지 않는 것은 장기적으로 51% 공격을 하지 않고 좋은 행위자로 시장을 키워나가는 것이 더 이익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설령 큰 비용을 들여 공격을 성공한다하더라도 시장에 소문이 전해진 다음에는 토큰 가격의 하락으로 기대 이하의 수익을 얻게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킹과 같이 묶어놓은 토큰을 푸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 지속적으로 생태계의 가치를 낮추는 행동을 하는 것은 제 살 깎아먹는 셈이 되고 만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토큰 이코노미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모든 상황을 통제하기 위해 신속하게 시스템을 바꿀 수가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반중앙화된 혹은 중앙화된 해법들이 나오고 있다. 명성도나 다수의 찬반에 기반한 허가제를 통해 특정 계정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한다든지, 블록체인을 만든 기업에서 인증 및 차단 시스템을 도입해서 자신들의 생태계 성장 철학과 맞는 사람들에게만 권한을 주는 것 등이다. 이러한 방법은 분권화를 지상 목표로 삼는 사람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필자는 이런 중앙화된 해법이 블록체인과 현실세계의 연결을 촉진하는데 필요한 과도기적인 요소라고 생각하며, 토큰 이코노미 설계자에 따라 완전 분권화부터 완전 중앙화까지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변수라고 본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하이브리드 모델을 설명할 때 더 언급할 것이다.


[이전글] 5. 보상과 목표행동의 불일치
[다음글] 7. 블록체인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 본 게시물의 저작권은 @clayop에게 있으며 무단게제 및 도용을 금지합니다. 일부 또는 전체글을 인용할 경우 원본 링크와 저자를 반드시 명시해야 합니다.

Sort:  

그제 아톰님 뵙고 잠깐 옛날 얘기를 했었습니다. 작년 초 스팀잇을 한참했을때 터키분 파동 얘기와 네이버 카페 맞보팅등 지나고 보니 다 별 얘기는 아니였었네요. 당시엔 너무 커보였었는데..

사실 저 같은 경우 모아 놓은 스팀을 전부 파워다운했으니 이제 보팅 눈치 볼 필요없이 마음대로 댓글 달 수 있는 자유를 얻은 셈입니다.

또한 그날 고려대 교수님이 학생들 리포트를 스팀잇으로 받는 다는 말에 작년을 스팀잇에 모든것을 쏟아봤던 저로써는 공감하기 힘들었습니다.

간단히 결론부터 말하면 스팀잇의 실험에서 조재우님 같은 해당 국가의 관리인의 권한은 너무 막강해지며, 전략 성공과 실패 결과가 하늘과 땅 차이로 벌어진다는 점입니다.

지난 여성 밋업 주체가 전 직장 문제 같은 일에서 결과를 봤었지요. 저 개인적으론 지금도 그 기획은 실패한거 같네요.
암튼 탈중앙화라는것이 어떤것인지 고민되는 요즘입니다.

스팀과 같은 모델도 그렇고 점차 토큰 이코노미+가버넌스가 주목받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가버넌스가 분권화일 수도 있도, 중앙화될 수도 있겠죠. 어쨌든 중요한 건 좋은 가버넌스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분권화든 중앙화든 그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있을테니까요.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English Translation:

It is not a moral or ethical problem that the token economy is desirable and undesirable in economics, but a thoroughly economic and practical problem. That is to say, the desirability is to increase the token value in the long term and undesirable results in lowering the token value. What are the undesirable behaviors in the case of bit coin? Spam or 51% attack. If this happened steadily, the value of bitcoin would have been much lower than it is now, and fortunately bitcoin has kept the high value of it now because it has effectively prevented this attack. Takeover of funds through Ethereum's smart contract vulnerabilitys is another example. While attackers may be looking for maximum profits, the value of the entire network will naturally fall. The criteria that defines what is desirable and undesirable has nothing to do with the pursuit of instant gratification, but the long-term win-win situation in which the whole ecosystem is large and the individual is also profitable. This and only this can accurately describe the positive out looks pertaining to the discussion of the token economy.

So how can token economy designers avoid undesirable behavior that lowers the value of an ecosystem? This can also be seen in terms of cost and revenue. If the profit is not greater than the cost, the material motivation for the action will disappear and if the expected return on the undesirable behavior is less than or greater than the desired behavior. In terms of cost, the basic design concept is to make costs rise when doing undesirable behaviors. Spam attacks are more likely to cost a lot of commission, or to invest 51% in equity or mining hashes to attack. Even if you can do 51% attack if you like some mining grass, it will be because it is more profitable to grow the market as a good actor without doing 51% attack in the long term. Even if the attack succeeds at a large cost, it may be possible to earn less than expected after a rumor has been circulated to the market. For example, if it takes a long time to unpack a token, such as staking (Translator Comment: I believe this is to mean something like the power-up/down forms of staking.) , continuing to lower the value of the ecosystem will be a cut-off.

Translator Comment [Bitcoin Gold]

However, the token economy based on the blockchain can not change the system quickly to control every changing situation. Hence, semi-centralized or centralized solutions are emerging in recent years. It is possible to influence only a specific account through a reputation or a number of pros and cons based on permission system, or to introduce authentication and blocking system in a blockchain company to empower only those who fit with their ecosystem growth philosophy.

Translator Comment (Censorship of 'bad actors' by the 'good' actors)

This approach is often criticized by those who have decentralization as a goal. However, I consider this centralized solution to be a transitional factor for facilit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lockchain and the real world, and I think it is a variable that can be selected from fully decentralized to fully centralized by the token economy designer. This will be mentioned later when discussing the hybrid model.

[이전 글] 5. Disagreement between Reward and Goal Behavior

※ The copyright of this post is by @clayop and prohibits unauthorized use and theft. If quoting some or all of the text, you must specify the original link and the author.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and Edited by iknowyourider (aka Translator)

필자는 이런 중앙화된 해법이 블록체인과 현실세계의 연결을 촉진하는데 필요한 과도기적인 요소라고 생각하며, 토큰 이코노미 설계자에 따라 완전 분권화부터 완전 중앙화까지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변수라고 본다.

맞는 말씀입니다. 기존 질서와 융합될 수 있는 요소가 전혀없다면 블록체인 보편화가 어려울거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완전한 분권적 형태의 체재는 성립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탈중앙화는 블록체인의 기치일 뿐, 실제 정착하는 형태는 현재의 중앙화에서 벗어난 어느 지점. 다들 그 지점에 대한 견해가 다르고, 추구하는 정도가 다른 것 같습니다. 가장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지요.

네 현장에서 경험한 바로는 중앙화와 분권화 사이의 스펙트럼이 굉장히 넓습니다. 이들 모두를 포용하며 나아가는 것이 성장의 핵심이겠죠~

@clayop

친애하는 증인님!!!!

치욕스움에 더이상 스팀잇 라이프를 살아갈 수 가 없습니다!! 제가 미친자 스타일 골드에게 이 치욕을 되갚을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십시오!!! ㅠㅠ

딱 한 시간이면 됩니다. 스파를 임대해주시면 제가 스팀잇을 더럽힌 스타일골드의 포스팅에 철퇴를 가하겠습니다!!!
https://steemit.com/kr-gazua/@stylegold/4vqjom

이 억울한 카비의 청원을 들어주십시오 ㅠㅠㅠ
꺼이꺼이....

클래옵님을 위한 대문도 하나 준비해놔야 되나.ㅋㅋㅋㅋ

꺼져! 꺼지라구!정의가 승리할거다. 미친 스타일골드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인적으로는 스팀잇이 너무 탈중앙화 하면서 아무도 권한을 갖지 못한 데에 문제가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중앙집권적 체제에서는 이 게시물이 도를 넘었다 싶으면 삭제 권한도 행사하고, 특정 유저가 반복적으로 트롤링을 한다 싶으면 계정 정지나 폐쇄까지도 하는데...
탈중앙화하면서 누구도 그런 권한을 갖지 않은 괴이한 형태가 엄청난 양의 스패밍으로 나타난 것 아닐까 싶네요-ㅅ-

스팀의

무검열,
찬반 양론 게시의

공정한 매체로서의
핵심 철학 및 특성

을 잘못 이해하고 계시거나,
부적합한 매체로 사용하고 계시다고 보입니다.

저는

무검열,
찬반 양론 게시의

공정한 매체로서의
스팀을 아주 사랑합니다.

여태 본 것 중에서 가장 사랑스러운 매체임.

그건 아저씨 생각이고 그렇게 생각하는건 아저씨 자유인데요
이건 그냥 내 생각이라구요.

글츄. 님의 자유이기는 하지만,
현실은 스팀이 무검열, 찬반 양론을 다 보여줄 수 있는 공정한 매체로서
여태까지 유일 무이 한 것 같다는..

그러니까 그건 아저씨 생각이고 맘대로 생각하세요.
그런데 왜 남한테 잘못 이해하고 있고 부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가르치려드냐고요.

님에게 가르친 것 아니고요,
그냥 내 생각을 적은 것임.

님이 받아들이고 안받아들이고는 님 그릇 나름 이지요.

이상한 사람이네 ㅋㅋㅋ

증인으로서의 길.....수많은 사람이 곁에 있는 것 같지만 문득 걷다보면 홀로 걷고 있는 경우도 많을거에요.
높은 산등성이에 계신것과 같아서 자칫하면 상처를 입을 일도 많겠지요. 조용히 홧팅!을 외쳐봅니다.

오홋 정말 그렇게까지 험난한걸까요? 후훗

동기자체를 차단해야한다는 주장에 매우 동의합니다^^

Posted using Partiko Android

블록체인 세상에서 통제라...음...

嗚呼痛哉라~!

Loading...
Loading...

Coin Marketplace

STEEM 0.21
TRX 0.13
JST 0.030
BTC 66785.43
ETH 3494.10
USDT 1.00
SBD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