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it Token LAB] KIN - 스텔라포트 전송 받는 방법

in #token-lab6 years ago (edited)

스텔라포트 지갑 생성

https://stellarport.io/

  • New Wallet을 누릅니다.
  • Generate Keystore File, Generate New Key Pair, Use My Ledger hw wallet 가운데 하나를 선택합니다. (비밀번호를 파일로 관리하거나, 키 번호를 직접 기록하거나, 하드월렛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 두번째 Generate New Key Pair를 선택하면 스티밋처럼 비밀번호가 주어집니다. 퍼블릭 키와 시크릿 키가 주어지는 데, 퍼블릭 키는 지갑 주소이고, 시크릿 키는 비밀번호입니다. (시크릿 키는 절대 외부에 공개해서는 안됩니다)
  • 아래 Yes에 체크해야 Next가 활성화 됩니다.
    스크린샷 2018-04-18 오후 10.40.40.png

스텔라포트 지갑 활성화

  • 최소 XLM을 예치해야 합니다.
  • 최소 예치금 산정방식은 이렇다는데(관심 있으시면 읽어보세요) 대략 3 XLM 정도 예치해 두면 되는 것 같습니다. (최소 금액은 뺄 수 없는 것 같은데 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는 추가로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스크린샷 2018-04-18 오후 10.56.58.png

트러스트라인(Trustline) 추가

  • 상단 Wallet클릭
  • 왼쪽 Balances클릭
  • + Trustline 클릭
    스크린샷 2018-04-18 오후 10.48.35.png
  • Asset Code란에 kin을 입력하고 apay.io(verified)클릭해 추가

이제 KIN 토큰을 전송받을 준비가 되었습니다.

요약하자면, 스텔라포트 지갑을 만들고, 3 XLM을 넣은 다음, 트러스트 라인에 kin을 추가해 줍니다. 끝.

다음에는 스텔라텀에서 전송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hyokhyok 님과 전송 테스트를 해보던 중 스텔라만 전송이 되고 트러스트라인을 추가하지 않으면 kin 토큰 전송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처음 해보시면 약간 번거롭긴 하지만 어렵지는 않으실 겁니다.

Sort:  

낼 회사가서 트러스트라인추가하고 댓글 남기겠습니다ㅎㅎ 집에서는할방법이없네요ㅠ

활성화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근데 주신 5 XLM 은 어쩔까요?

혁혁님(횩횩님이라 하셨지만 ㅎㅎ) 가지시면 됩니다. ^^

감사합니다 ㅎㅎ

KIN 1000개 전송했습니다. 잘 들어간 것 같습니다.

확인했습니다 전송속도도 빠르네요

Hey, just wanted to let you know I gave you an upvote because I appreciate your content! =D See you around

가상화폐를 다루다보니 여러거래소(해외)까지 가입하다보니 모든 지갑을 다 관리하기는 힘들듯합니다. 저는 거래소 지갑이 얘용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249.08
ETH 3397.67
USDT 1.00
SBD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