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잡담] 딥러닝/머신러닝과 물리

in #science7 years ago (edited)

최근 몇년 동안 이공계 분야에서 딥러닝/머신러닝이라는 말을 수도 없이 많이 들었다. 그 때마다 흥미는 가지고 있었지만 이런 내용들이 자연과학에 어떻게 적용 될 수 있을까, 누군가 일을 하고 있을까 란 생각만 가지고 있었을 뿐 특별히 많은 기대를 하고 있지는 않았었다.

그러던 중 최근 점심을 먹다 arxiv 를 눈팅 하면서 이스라엘 그룹이 쓴 이상한 제목의 논문을 발견했다.

170401552.png

논문의 내용중 신선하게 다가왔던 부분은

12.png

특히 여기서 Renoramlization group 관련 분야는 입자물리를 비롯한 통계, 고체 물리에서 자주 쓰는 개념으로 UV scale 과 IR scale 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 간략히 설명해 보자면 UV 라는 것은 ultraviolet scale 즉 높은 에너지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IR scale 이라는 것은 Infrared scale 을 말하며 즉 낮은 에너지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물리학에서는 각 이론마다 perturbation//섭동적 (근사방법) 이 맞지 않는 스케일이 있는데 RG 를 이용하면 perturbation 이 적용되지 않는 구간에서의 물리를 조사 할 수 있어 아주 유용하다.) many-body 쪽, 고체물리 이론 전공 자들에게 친숙한 tool 들인 DMRG(density matrix renormalization group), MPS 등이 언급되어 특별히 나의 시선을 잡았다.

(여담으로 작년에 한 학회에서 초빙된 고체물리 쪽 분야 교수님께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DMRG 나 MPS 쪽을 공부하지 않는 다면서 쓴소리를 하셨었다. 이런 걸 공부해야 leading group 이 된다고 하시면서 MPS 쪽 국내 전문가가 1명 있었는데 그 학생(자기 지도학생)이 이제 졸업해서 0명이라고 이래가지고 노벨상 같은것을 받을 수 있겠냐고, 기초과학 힘을 키우려면 이런 것들을 익혀야 한다고 했었던 말이 떠오른다. 참고로 그 분의 스승님이 작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David J. Thouless, F. Duncan M. Haldane, J. Michael Kosterlitz 중 한명 이라고 했는데(H 같은데) 정확히 어떤 분이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작년 노벨물리학상은 topological phase/ topological insulator 관련 분야로 수상했는데 나중에 기회가 되면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수상자 중 Kosterlitz 교수님은 현재 고등과학원 Distinguished Professor 로 계신다. 작년 노벨상 해설 강연 때 고등과학원에서 언론과 인터뷰(?)를 했었던 장면을 멀리서 본 기억이 난다. 그러고 보니 오늘 APCTP 에서 콜로퀴움을 하는군..

image.png

해당 내용은 나중에 기회가 되면 자세히 ~

2010년에 그래핀으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Andre K. Geim 이외에 수상자를 마주치다니 영광(?) ㅋㅋㅋ, 아시는 분은 알겠지만 이 가임이라는 분은 3M 테이프로 그래핀을 찾아낸 그 분이다. 2000년도에 개구리를 가지고 한 자기부상 연구로 이그노벨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혹시 이런 고체/통계 물리 쪽 말고 다른 분야에 적용된 사례가 없을 까 하고 찾아봤는데 2014년도에 arxiv 에 올라온 입자물리 관련 논문이 있었다.

14024735.png

새로운 입자를 찾는데 deep learning 을 어떻게 이용하자는 제안이 담긴 논문으로 Beyond Standard model 의 particle 를 찾을 때 deep learning 을 이용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다른 논문으로는 역시 2014년 10월 경에 올라온 논문인데, 중력파 검출에 관련된 것으로 국내 연구진이 많이 연관되어 있었다.

국내.png

Gamma ray burst 관련된 시물레이션 및 관측 결과를 이용하여 machine learning algorithm 을 통하여 중력파 신호를 탐지 하겠다는 것이 주된 내용으로 보인다.

혹시 물리 말고 다른 분야는 어떨까? 수학이나 생물 분야에서도 2015, 2016 년도에 상당히 많은 논문들이 올라온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다. 확실히 많은 사람들이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분야가 물리학 및 과학 분야의 최신 연구과제로써 진행되고 있었다는 점을 깨닫고 나의 시야가 너무나 좁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모르는 것이 너무나 많고 알고 싶은 것도 너무나 많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싶다는 것은 나의 너무 오만한 욕심이 아닌가 싶다.

Sort:  

Congratulations @beoped!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number of comments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By upvoting this notification, you can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how here!

전문용어가 많아서 잘 모르겠네요ㅠㅠ

ㅠㅠ 딥러닝 관심있으신 분들이 좀 있는것 같아서 물리 쪽 전문용어를 여과없이 썼어요 ㅠㅠ 다음 기회가 될 때 좀 일반적인 내용을 다뤄 보려고요

Coin Marketplace

STEEM 0.18
TRX 0.16
JST 0.030
BTC 62416.00
ETH 2447.19
USDT 1.00
SBD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