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다 의대 갔나… ‘4대 과기원’ 정원 미달 사태
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인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봄학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학부 신입생 충원율은 87.5%에 그쳤다. 정원 외 신입생을 합쳐 100.9%였던 2년 전보다 13%포인트 넘게 떨어진 수치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또한 98.3%로 법정 정원에 못 미쳤다. 석·박사 과정도 정원 미달을 면치 못했다. UNIST의 올해 대학원 신입생 충원율은 83.4%, DGIST는 84.5%로 드러났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광주과학기술원(GIST) 역시 해마다 학부 신입생 충원율이 떨어지는 추세다. KAIST는 2022년 107.4%에서 올해 101.5%, GIST는 2022년 109%에서 올해 101.7%로 줄었다.
올해 두 기관의 대학원 충원율은 각각 95%, 93%로 정원에 못 미쳤다.
도중에 학교를 관두는 학생도 상당수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843명의 학부생이 4대 과기원에서 자퇴하거나 제적됐다. 연평균 211명꼴로, GIST의 학부 입학정원인 200명보다도 많은 것이다.
현재의 기형적인 입시의 단면을 보여주는 상황이네요
의대쏠림이 이렇게 심한데, 의사들은 경쟁심화를 이유로 증원에 반대만 하죠
정부의 정책추진이 맞다는 것이 아니고,
애초에 의사들을 대표했던 기관조차도 별다른 대안없이
그냥 반대만 하고 있었던 것이 큰 문제였죠
이전 정부에서 대화를 통해 정책수립을 하려고 할때도,
현 정부에서 정원을 증원하면서 밀어붙이는 상황에서도
항상 그냥 반대한다는 것만 나오고, 실질적인 대안은 전혀 제시하지 않고 있지요
결과적으로 별 근거없는 수치를 정해놓고 밀어붙이는 정부와
별 대안없이 그냥 반대만 하는 의사들간의 싸움으로
국민들만 의료대란으로 힘들어하고 있네요
누군가의 말처럼 가장 다른 사람 이야기를 듣지 않는 두 집단의 대결인 상황이라
주변에서 뭔가를 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이제 이런 상황에서도 의대쏠림은 변함없는 현상이고,
우리나라 국가경쟁력의 기본인 과학기술 인력의 충원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제라도 다같이 원점에서 재논의하는 결단을 내려야 할 시기라고 봅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자신의 입장만 생각하지 말고,
다같이 개선점에 대한 대화를 시작해야 합니다
점점 더 늦어질수록 실익은 없고, 서로 상처만 더 커질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