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문단 2017.7.27
플루언트 포에버
p.58 우리는 생각하고, 반복하고, 상상할 수 있지만, 암기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우리 뇌는 생각해서 중요한 것을 자동적으로 저장하고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컨대 우리는 호랑이에게 뒤쫓길 때 "이번 일을 반드시 기억해야 해? 호랑이는 나쁜 동물이야! 절대 잊으면 안돼! 호랑이는 나쁜 놈이야!" 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는 무작정 도망칠 뿐이고, 뇌가 우리를 대신해서 기억한다.
p.59. 이런 확신에서 우리 뇌는 s로 시작되는 단어들을 미친듯이 만들어보고, 우리가 찾는 단어가 아니면 과감히 버리며 남은 조각들을 필사적으로 찾는다. 뇌의 편도는 이런 탐색을 생사의 문제로 다룬다. ...하지만 마침내 그 단어를 알아내면 크게 안도하기 때문에 앞으로 그 단어를 잊는다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 가끔 필사적으로 무엇을 기억해 내려는 경우가 있다. 그 때 가끔 알아내지 못하면 죽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든 게 이건가.
편도자식. 쓸데 없는 데 목숨을 거는군.
p.78 파리에서 카페의 웨이트리스와 편하게 대화하는 수준과, 영어로 쓰인 차림표를 꼴사납게 요구하는 수준의 차이를 가르는 것은 결국 습관이다.
- 어감상, 꼴사납게 보다는 '멋없게'나 '폼안나게' 정도가 좋을 것 같지만.
늘, 습관의 무서움을 본다.
National Geographic
p.92 The key to confronting agitated bees, Mauli says, is to show no fear.
- 자연에서 살면 모든 것이 삶에 위협이 된다.
늘, 언제나,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어야 한다.
지금은 그 얼마나 편할 때인가. 이렇게 글을 쓰고 있어도 사방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지 않아도 되니.
Harvard business Review
p.154 수전은 전화에 대고 크게 한숨을 쉬었다.
" 사람들이 신분을 속이는 것을 막으려는 회사가 나에게 신분을 속이라고 시켰다는 게 참 아이러니 한 거죠."
"진짜 현실 세상에 온 것을 환영한다, 얘야. 모순으로 가득 찬 곳이지."
- 이렇게 HBR이라는 세계 최고의 저널에도 유머는 녹아있다.
물론 부정적 사례가 한국이라는 것에, 인지도가 높다는 데서 오는 뿌듯?함과 부정적 이미지라는 서글픔이 공존한다.
p.158 보유한 기술의 종류보다는 생각하는 방식이 중요한 시대가 왔다. 정확한 질문을 할 수 있는가? 해결하려는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가?
p. 158 이들은 인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에 경제학 모델이 어긋난다고 주장한다.
- 프로그래머에게 알고리즘이라는 것이 바로 이러한 과제가 되겠지.
바로 이것이 문제의 핵심인거고.
p.159 학문 간 경쟁에 정신을 쏟느라 스스로의 분야에만 집착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망치를 들고 있을 떈 모든 것이 못으로 보인다는 속담이 있다.
- 아. 얼마나 오랫동안 모든 것을 못으로만 봤는가.
Lemonde diplomatique
p. 25 "생활방식을 바꾼다고 손해를 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줘야 합니다. 아마 비행기 이용을 줄이고 자가용 사용을 자제하더라도 삶은 나아질 것입니다. 말처럼 쉽지 않다는 건 저도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성공의 열쇠는 바로 이것입니다."
p. 25 "모든 법안은 스웨덴 특유의 심의요청절차를 거칩니다. 법안과 관련 있는 모든 이들 즉 정당, 단체, 노조 등에 의견을 구하는 겁니다.
모든 시민사회에는 의견을 표출할 권리가 있는 거지요. 물론 토론은 시간이 걸리지만 결과는 놀라울 정도로 확고합니다. 이것이 바로 스웨덴식 실용주의입니다."
- 상대적 비교, 속도. 한국이 가지는 장점이자 단점. 여기엔 모든 의견을 들어줄 '틈' 따위는 없다.
스웨덴식 실용주의엔 분명 그 깊숙한 곳에는 개인주의가 숨어있다.
남과의 비교도 덜하고, 남을 신경쓰지 않고, 자신의 권리를 떳떳하게 주장할 수 있는
이기주의가 아닌, 개인주의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