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트리 '스팀잇' 따라잡기 - 7] 포스팅 후 30분이 중요 / 불법 '복붙' 소문내는 스팀잇의 맹수 '@cheetah'

in #kr6 years ago (edited)

포스팅 후 30분이 중요하다


스팀잇에 글이나 코멘트를 포스팅하면 그 즉시 보상 시스템이 가동한다. 포스팅한 후 30분 이내에 보팅과 같은 큐레이션이 일어나면 그 큐레이션 보상의 일부가 필자에게 돌아간다. 포스팅 하자마자 업보트가 일어나면 그 보상의 100%가 필자에게 배정된다. 그후 30분 동안 필자에게 배정되는 보상 비율은 시간에 반비례해서 결정된다.

만일 3분 후에 큐레이션이 일어나면 필자에게 90%, 큐레이터에게 10%가 배정된다. 딱 중간인 15분 후면 필자에게 50%, 큐레이터에게 50%가 배정된다. 30분이 지나면 모든 큐레이션에 대한 보상은 큐레이터에게 돌아간다. 그러니까 필자의 경우에는 포스팅한 후 30분 동안의 시간이 가장 중요한 셈이다. 이때의 반응에 따라 필자에 대한 보상액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큐레이터의 입장에서 30분이 넘어가도록 기다릴 이유는 없다. 먼저 큐레이션을 하면 그 후에 발생하는 큐레이션에 대한 보상의 일부를 또 배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좋은 포스트를 발견해서 누구보다 먼저 업보트를 하면 시간이 갈수록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큐레이션에 참여한 사용자가 많은 SP를 갖고 있으면 보상 받는 금액이 더 커진다. 그러니까 좋은 포스트를 빨리 발견해서 먼저 큐레이션을 해두면 SP가 높은 큰손도 큐레이션을 할 가능성이 커지고 그만큼 보상을 더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자연히 스팀잇 사용자들은 좋은 포스트를 먼저 찾기 위해 스팀잇 사이트를 샅샅이 살펴보게 되고 그러는 가운데 스팀잇 열독율이 높아지고 좋은 콘텐츠가 발굴되면서 높은 평가를 받게되는 선순환이 일어나게 된다.

불법 '복붙' 소문내는 스팀잇의 맹수 '@cheetah'


스팀잇에는 치타가 한 마리 숨어있다. 야생의 초원을 뛰어다니는 맹수 '치타' 바로 그 이름이다. 스팀잇에서 치타의 계정 이름은 @cheetah다. 치타는 스팀잇 사용자 @anyx에 의해 운영된다. 불법 복제된 포스트를 찾아내는 봇(bot)이다. 스팀잇에 올라온 포스트가 인터넷 상의 다른 사이트에 또 게재된 경우는 바로 치타의 먹잇감이 된다. 또한 포스트 가운데 사용된 사진이나 이미지가 저작권에 위배되는 경우도 타깃이 된다. 모두 '어뷰징(abusing)'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사진 : wikimedia commons

치타에게 발각된 포스트에는 이 포스트가 복제된 것임을 알리는 코멘트가 달린다. 다른 사용자들에게 알리는 것이다. 치타의 코멘트를 본 사용자들은 업보트나 코멘트 등 큐레이션을 꺼리게 된다. 자연히 이 포스트에는 보상이 발생하지 않고 노출도 줄어든다. 치타는 찾아낸 어뷰징 사용자를 직접 물어뜯지는 않는다. 스팀잇 커뮤니티에서 다른 사용자들에게 소문을 낸다.

치타를 피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명백한 조치가 필요하다. 가장 간단한 매너는 스팀잇에 오리지널 저작물을 게시하고 다른 소셜 네트워크나 블로그 사이트에는 스팀잇 포스트의 링크를 게시하는 것이다. 만일 뉴스 콘텐츠처럼 해당 뉴스매체 사이트와 스팀잇 사이트 양쪽에 모두 본문을 게시하는 경우는 그 링크를 본문 속에 명백히 삽입해줘야 한다. 이른바 '교차 게시물(cross-posted material)'은 다른 쪽에 게시된 링크를 명확히 보여줘야 한다.

불법적인 어뷰징 행위를 계속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 치타는 블랙리스트를 운영한다. 만일 블랙리스트에 올라간 경우 그 사용자가 포스트를 올리면 바로 '플랙(flag)'을 단다. 플랙은 다운보트와 같다. 치타가 다운보트를 하면 그 포스트에게는 치명적이다. 다른 사용자의 큐레이션을 기대하기 어렵고 그 포스트의 노출이 줄어들고 자연히 보상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만일 자신의 계정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됐으면 steemit.chat 사이트에서 steemitabuse-appeals 채널을 통해 이의제기도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치타는 화이트리스트도 운영한다. 그렇다고 화이트리스트는 특정 사용자에 대해 검증됐음을 인정하는 목록은 아니다. 다른 채널에도 동시에 포스팅하는 '교차 게시물'이 인정되는 계정을 열거한 목록이다.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교차 게시물'에 대한 링크를 명백히 게재해야 한다.


스팀잇은 먼저 알고 시작해야 하는 플랫폼입니다.
위키트리는 스팀잇 커뮤니티에 조금이라도 기여한다는 생각에서 위키트리 내부 교육 자료로 정리된 '스팀잇 따라잡기' 내용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스팀잇 전반에 대한 쉽게 쓰인 설명자료가 부족하다는 사용자 커뮤니티에서의 의견이 자주 눈에 띄어서 공개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모두 16회에 걸쳐 게재할 예정입니다. (당초 18회 예정이었으나 일부 목차 2회분을 1회분으로 통합하면서 전체 회수를 줄였습니다.)
부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며, 내용 가운데 혹시 잘못 설명된 부분을 보시면 기탄없이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저희들도 배우는 기회로 삼으며 동시에 바로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위키트리 편집자 올림>


[위키트리 '스팀잇' 따라잡기 목차]

  1. 스팀잇(Steemit)이란?
  2. 스팀잇은 반드시 알고 시작해야 한다
  3. 첫걸음은 계정 등록부터...암호는 귀금속처럼 보관하라
  4. 스팀은 날마다 생성되는 암호화폐
  5. 이제 글을 써보자...핵심은 '확실하게 좋은 콘텐츠'
  6. 한번 올린 포스트는 영원히 지울 수 없다?
  7. 포스팅 후 30분이 중요 / 불법 '복붙' 소문내는 스팀잇의 맹수 '@cheetah'
  8. 다운보팅을 조심하라
  9. 스팀이냐 스팀파워냐...전략적으로 선택하라
  10. 스팀 파워는 빌려줄 수 있다
  11. 보팅은 하루에 11회까지...24시간 내 보팅 파워 본래대로 재생
  12. '고래'를 기다리며...
  13. 스팀 파워로도 높일 수 없는 명망지수 '레퓨테이션'
  14. Markdown으로 포스팅 꾸미기
  15. "아름답다"....스팀잇에서 홍보하기
  16. '스팀잇'을 다채롭게...써드 파티를 활용하라

* 이 목차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소셜 네트워크 뉴스 서비스 '위키트리' 공식 계정입니다.
  • @wikitree 팔로우하시면 재미, 감동, 가치를 담은 좋은 콘텐츠와 깔끔하게 정리된 '스팀잇' 관련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Sort:  

사실 스팀 스달 가격 상승할 수록 큐레이션 보상은 진짜 작아집니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가중치가 있기에 그런거 신경 쓰지 마시고 그냥 큐레이션 하시면 됩니다

그냥 30분후에 보팅하라는 말만 듣고 그게 글 작성자에게 제일 좋은 조건인줄 알았는데 제가 잘 못 알고 있었네요.

큐레이션 보상 비율이 조금 더 올랐으면 좋겠네요

skan 님도 whitelist 운영 중 입니다

ㅎㅎ 참고하세요

네. 감사합니다. 찾아가볼께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공부할수록 어려운 스팀잇이네요.ㅠ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227.58
ETH 3437.75
USDT 1.00
SBD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