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t:  

@joeuhw님 말씀대로 의결권이 없기 때문에 우선주를 아무리 많이 가지고 있어도 회사의 경영에 참여 할 수 없습니다. 그럼 왜 우선주라는 것을 회사가 굳이 발행해야 하는지 궁금증이 생기실 수도 있으셔서 첨언드리면, 기업이 자금이 필요할 때 모집하는 수단으로서 많이 활용됩니다. 최근 사례로는 17년 초에 (주) 한화가 한화3우B (우선주)를 발행하면서 자금을 모았습니다. 시간되실 때 링크를 클릭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이런 우선주와 보통주 같은 개념도 코인판에 활용하면 재미있을것 같네요.

제가 이런 분야에 관심이 많아서 그러는데 이런거 재미있게 읽을만한 책이 있나요 하하?

그리고 주식 같은곳에서 코인의 마스터노드처럼 얼마 이상의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배당을 주고 이런가요?

보통주 1주만 가지고 계셔도 회사가 결의한 배당금을 수령하실수가 있습니다! 12월말에 주식을 보유하고 계신분에 한해서 연 1회 배당을 하는 회사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 주주친화정책에 따라서 분기별 배당을 하는 곳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

보통주와 우선주에 대해서만 전문적으로 다룬 책은 저는 아직 못 본것 같습니다 :)

재무재표에 관한 책하나 쉽게 읽을 수 있는거 부탁드려용 하하

용어들이나 뭘보고 재정건전성을 판단하고 이런것들 ??읽고 @vixima7 님 글보고 대충 이해할수 있을정도의 초보적인 책 추천드립니다.

음 제가 재무제표 관련된 책을 안본지 좀 되다보니 답변하기 가장 어려운 질문인 것 같습니다 ^^; x이버에 '재무제표 관련책'을 검색해보니 여러 주식과 재무제표를 엮은 책들이 보이는데요, 이중에 하나 골라보시는 것이 어떨까요? :) 이렇게 열정을 가지고 질문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한화 보통주 현시점 42000원 우선주 17000 이지만 배당금은 같다. 보통주와 우선주의 발행 비율도 알아봐야겠네요!! 이런거 너무 재밌습니다 하하하

혹시 다른 종류로 발행된 주식도 있나요?

한화그룹은 부채가 많은 대기업집단에 속하기 때문에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조달비용이 높은편입니다. 그래서 한화3우B와 같이 배당을 일정부분 보장해 주는 우선주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 것 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꾸준한 배당을 받을 수 있으니 좋고, 회사 입장에서는 회사채나 다른 조달방법보다 조달cost가 낮으니 서로 윈윈하는거죠 :)

지금 금리가 올라갈 기미가 계속 나오는데 이렇다면 회사입장에서는 부채를 없애야 할텐데 그렇게 되면 영업이익도 줄어들고 배당도 줄 확률이 있나요? 굴러가야할 돈을 갚아야하니까...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배당할 때 '배당성향'을 따집니다. 배당성향이란 순이익에서 몇%를 배당을 하는지 뜻하는데요, 금리가 올라가서 이자비용이 늘어 순이익이 줄어들면 배당도 자동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보통주와 우선주이고요, 조금 더 확대된 개념으로는 상환전환우선주(redeemable convertible preference shares)도 있습니다. 만기 때 이 주식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가 투자금 상환을 요청할 권리와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권리 모두를 가지고 있는 주식이죠. 옵션이 그만큼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업입장에서는 불리한 상황에서 많이 발행되는 종류주식입니다.

흠.. 제 생각에는 그렇다면 상환전환우선주 같은 경우는 일반 우선주보다 연말에 가격이 더 높게 형성될거 같은데요? 선택지가 2개나 되니까요 ... 저게 최고 발행주 같네여 저는 ㅎㅎ

상환전환우선주는 일반적으로 기업이 자금 조달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 많이 활용되는 수단입니다. 그 만큼 투자자입장에서도 리스크를 진다는 것이죠 :)

의결권이 있고 없고의 차이입니다 ㅎ 우선주는 주식에서 의결권이 없는 대신 배당을 더 많이 주는 경향이 강하죠 ㅎ

답글 대신 달아주셔서 고맙습니다 :)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8
BTC 65566.66
ETH 3559.87
USDT 1.00
SBD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