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Umin] 암호화폐 주절주절 (교육자료) : 플래그패턴 2018.04.25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6 years ago (edited)

와츄민 로고2.png

안녕하세요 [whatUmin]입니다.
오늘은 차트에서 많이 관찰되는 깃발패턴(plag pattern)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슬라이드2.PNG

깃발 패턴은 가격이 상승하고 하락함에 있어 그 모양이 깃발을 닮았다고 하여 깃발(plag) 패턴이라는 이름이 붙여 졌으며 상당히 빈번하게 차트에서 등장하고 있고 깃발 패턴의 조건과 룰을 정확하게 알고 있다면 좋은 매매 전략의 일부분이 될 것입니다.

슬라이드3.PNG
슬라이드4.PNG

위의 두 그림을 통해 상승형 깃발패턴, 하락형 깃발패턴의 모양을 확인해주십시오.

  • 플래그 패턴의 조건과 룰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플래그 패턴이 되기 위해서는 상승 또는 하락 도중 박스권 형태로 상승 또는 하락하여 네모(깃발모양)을 만들어 준 후에 박스권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패턴에 의한 목표가격 만큼 진행된다라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입니다.

  • 이 말을 쉽게 설명하자면
    상승 중인 차트가 하락할 때 일정한 박스권을 유지하며 하락하는 형태이고. 가격이 박스권 상방이탈 한 후 박스권에서 지지를 받는 다면 플래그 패턴의 목표가격 선정 룰에 의해 가격이 추가적으로 상승한다입니다.

하락은 반대되게 이해하시면 되겠죠?

  • 다음으로 목표가격을 선정하는 룰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플래그 패턴에서는 3가지 룰로 3가지 목표가격을 만들 수 있습니다.
    1차, 2차, 3차라고 임의로 명하겠습니다.

1차 목표가격 = 박스권 안에서 첫 되돌림의 높이
2차 목표가격 = 깃대의 높이에서 박스권 부분을 뺀 높이
3차 목표가격 = 깃대와 박스권을 합친 높이

다음 그림으로 쉽게 이해해 보시죠

슬라이드5.PNG
슬라이드6.PNG
슬라이드7.PNG

위 그림들을 통해서 각 목표가격 선정 방법을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실전에서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실전 사례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슬라이드8.PNG
위 차트는 비트코인/달러 차트로 플래그 패턴으로 재차 상승하다가 1차 목표가에 도달하고 2차목표가에 도달하기 직전에 큰 폭으로 하락했던 차트입니다.

위 차트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1차 2차 3차 목표가를 나누는 이유는 각 지점에서 적절히 분할 청산함으로써 수익을 지킬 수 있으며 플래그 패턴이 나왔다고 해서 항상 3차 목표가 까지 도달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드리기 위한 실전 사례 였습니다.

슬라이드9.PNG

다음으로는 플래그패턴을 통해서 저항자리 및 청산 목표가를 선정하는 것을 실전사례에서 찾은 차트 입니다.
각 색깔 별 깃대 만큼 상승했을 때 저항 을 받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깃대의 시작이 되는 기준점은 플래그 패턴의 깃발부분, 박스권 영역전의 저점들을 기준으로 청산 목표가를 설정하는
앞서 설명드렸던 1차,2차,3차 목표가 설정법의 응용방법입니다.

슬라이드10.PNG
위 실전 사레는 해외선물 크루드 오일에서 있었던 실전사례입니다 저는 플래그 패턴을 이용해서 박스권을 상방이탈 했을 때 진입했으며 각 목표가격에서 분할 청산을 나가고 최대목표가격까지 도달했었던 좋은 실전 사례입니다.

슬라이드11.PNG
해외선물 천연가스의 차트로 플래그패턴을 보여줬으며 2차 목표가격 까지 2번 도달한 후 크게 저항 받아 하락으로 이어졌던 사레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플래그 패턴은 차트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발생빈도가 높은 패턴으로
분할 청산 지점 및 매수 시점을 보다 유리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패턴이므로 공부하신 후에는
직접 차트에서 플래그 패턴을 찾아보며 복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투자는 본인의 선택과 판단에 따른 책임이 따르게 됩니다. 남을 따라서 투자를 하기 보다는 자신만의 매매기법을 확립하고 감정과 순간적인 판단에 의해 투자하지 않고 기계적인 트레이딩을 하시길 바랍니다.

추천과 보팅은 작성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깃발은 영어로 'F'lag 입니다. 힝 속았지?
Sort: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패턴설명과 함께 실전사례까지 보여주셔서 너무 유익했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1436.95
ETH 3388.33
USDT 1.00
SBD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