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브시스템_Cube system 기술_2 공개

in #kr8 years ago

오늘은 저번에 이어서 큐브 시스템 기술 설명 2편입니다.

블록체인(Block Chain) 업체인 큐브시스템(Cube system) 관계자는 2018년 4월 24일 깃허브(Github)에 오픈소스 공개

※ ICO 일정
1차 : 2018년 5월 30일 ~ 2018년 6월 15일
2차 : 2018년 6월 20일 ~ 2018년 6월 30일

ico_popup_final.png

※ 큐브코인 화이트 백서 내용입니다.

※ 큐브코인

  1. 개요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단위로 모아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을 암호화한 해쉬값을 통해 데이터를 검증하고, 이렇게 기록되는 데이터를 분산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암호화를 통한 데이터 검증과 동일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데이터의 신뢰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2. 기본 정보
    Cube Chain (QUB)
    코인이름 : Cube Chain
    총 발행량 : 120억개
    큐브생성주기 : 180초
    거래속도 : 초당 100건
    알고리즘 : SHA-256
    보상방식 : POH (Proof of POW+POS hybrid)
    POS 참여조건 : 지갑에 최소 5,000개 이상의 큐브체인 보유
    개발 시작 : 2017년 1월

  3. 암호화 방식
    (1) 지갑의 생성
    지갑의 생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비대칭형 암호화 방식이다. 비대칭 암호화 방식은 두 개의 키를 쌍으로 가지며 하나의 키로 암호화하면 다른 키로 복호화 할 수 있다.

(2) 디지털 서명
지갑을 통해 이체를 하게 되면 디지털 서명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암호화 방식은 대칭형 암호화 방식(Symmetric cryptographic technique)인 AES-256을 사용한다.

※ AES-256 이란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새로운 암호 공모전에서 채택되어 미국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칭 암호 알고리즘이다.
국가 표준으로 사용되었던 DES(Data Encryption Standard)의 취약점을 보안하기 위해 고안된 암호 알고리즘이다. DES는 대칭키 암호 방식으로 56bit의 길이를 가지는 암호 키를 사용하였는데, 매우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어 공격에 취약한 약점이 있었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미국표준기술연구소에서는 새로운 암호 공모전을 열었으며, 이때 채택된 것이 바로 AES 암호 알고리즘이다. 이는 벨기에 출신의 암호학자인 존 데이먼(Joan Daemen)과 빈센트 라이먼(Vincent Rijmen)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제안한 알고리즘의 이름은 그들의 이름을 따 만든 라인달(Rijndael) 알고리즘이었다.

AES 암호 알고리즘은 기존의 DES 암호 알고리즘과 다르게 파이스텔 암호(Feistel Cipher)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암호 블록 크기는 128bit이다. 또한 알고리즘의 변경 없이도 128bit뿐만 아니라 192bit, 256bit 블록 크기로 확장이 가능하다.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33296&cid=40942&categoryId=32853

(3) 블록 해쉬함수
해쉬함수는 데이터를 고정된 일정길이의 해쉬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함수이다.

(4) 큐빙 해쉬함수
큐빙을 진행할 때 암호화 방식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CHF-Algorism(Cubing Hash Function
Algorithm)을 사용한다.

(5) 큐브 해쉬함수
큐빙에서 얻어진 27 개 블록의 해쉬값을 이용하여 전체 큐브의 해쉬값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체 큐브 해쉬값과 전체 블록의 해쉬값을 포함하여 현재 블록의 큐브 해쉬값을 생성한다. 큐브의 해쉬값을 만드는데 SHA-384 함수를 사용한다.

※ SHA 이란
SHA(Secure Hash Algorithm, 안전한 해시 알고리즘) 함수들은 서로 관련된 암호학적 해시 함수들의 모음이다. 이들 함수는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1993년에 처음으로 설계했으며 미국 국가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SHA 함수군에 속하는 최초의 함수는 공식적으로 SHA라고 불리지만, 나중에 설계된 함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SHA-0이라고도 불린다. 2년 후 SHA-0의 변형인 SHA-1이 발표되었으며, 그 후에 4종류의 변형, 즉 SHA-224, SHA-256, SHA-384, SHA-512가 더 발표되었다. 이들을 통칭해서 SHA-2라고 하기도 한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SHA

큐브시스템 관계자는 “큐브체인은 이더리움과 같은 오픈소스 기반의 블록체인 기술로서 구글의 Go언어로 개발되어있으며 소스코드 빌드 실행 방법과 소스코드 레벨의 스마트 계약, 서비스 개발 방법을 소개하여 전 세계 개발자들로 하여금 큐브체인의 기술을 검증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라고 밝혔다.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을 오픈하여 검증을 받겠다는 자신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빠른 처리속도와 데이터 처리량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블록체인 기술로 다양한 플랫폼으로 유연하게 확장 할 수 있는 한국의 토종 블록체인 기술인 큐브체인의 행보가 궁금해진다.

※ 공식 사이트(Official Site) : http://cubechain.in
YouTube : https://www.youtube.com/channel/UCYDEC2HP8oVRXuKsAeUtrLA
Telegram : https://t.me/joinchat/GpHbwQ3NGztrj8ZcwJjg_g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cubechain
Twitter : https://www.twitter.com/cube_chain

※ 화이트 백서(White paper) ※
Korean : http://cubechain.info/assets/file/Cube%20Chain_KR_0413.pdf

※ 기술백서(Technical White paper) ※
Korean : http://cubechain.info/assets/file/Technical-White-Paper_KR.pdf

Sort:  

Hey @suk1285, great post! I enjoyed your content. Keep up the good work! It's always nice to see good content here on Steemit! Cheers :)

Be advised @suk1285

The comment from @exxodus has been identified as being copy/pasted comment spam intended to trick their targets into upvoting them. Please, refrain from doing so. They have been reported to @steemcleaners and we are giving users a heads-up.
We have identified 2334 comments identifed as having a 75% similarity. If there were rewards on the spam, I have used up to a full weight downvote to neutralize them! Please, feel free to contact @anthonyadavisii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this process.

Coin Marketplace

STEEM 0.07
TRX 0.29
JST 0.034
BTC 102110.51
ETH 3333.70
USDT 1.00
SBD 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