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pto Currency] 쉴드큐어(SHIELDCURE, ID) - 보안이 강화된 개인자산관리 시스템

in #kr7 years ago

[Crypto Currency] 쉴드큐어(SHIELDCURE, ID) - 보안이 강화된 개인자산관리 시스템

Shildcure1.png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져 갔습니다. 데이터를 통하여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것이 확인되면서 기재된 정보들이 유출되는 일도 비일비재해지고 있습니다.

Shildcure는 블록체인 환경 내에서 다중 생체인증 방식을 도입하여 정보화 시대를 대비하는 강력한 보안 규정을 만들어내려고 합니다.

정보와 온라인 상 자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해주고, Shildcure의 네트워크 안에서 통용되는 ID Coin으로 디지털 자산 관리 서비스가 탑재된 ID Wallet에서 생태계를 운영합니다.

Shildcure Alliance를 통해 각 생태계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ID Coin을 기준으로 하는 호환을 보장하여, Shildcure를 통한 생체인식 및 정보 보호를 수행하는 경제 구조를 만들려고 합니다.

Shildcure2.png

Shildcure ID Wallet의 기본적인 컨셉은 실물 경제시장의 결재 솔루션과 Crpto Currency의 사용을 간편하게 해주는 사용화 서비스의 구현입니다. 기존의 결재 시스템을 활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ID Wallet은 Shildcure Alliance의 토큰과 ERC20 토큰들을 포괄하는 지갑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어플리케이션의 Hot Wallet, USB 형태의 Cold Wallet을 구현하며, e-signature라는 접속 및 결재에 발생하는 서명을 통해 Private Key에 대한 유출과 노출의 위험을 줄이도록 합니다.

지갑의 사용 및 접속이 개인생체정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기의 분실에도 자산 유출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SmartSigncroSs 라는 다중 생체 인식 시스템으로 강력한 보안을 구축하여, 서명의 빠르기 등의 버릇을 인식하도록 하였습니다. 이 버릇이라는게, 의도적으로 하면 틀릴 수 있다는 점이 염려가 되긴 합니다.

e-signature 역시 특정 기기, 센서를 요구하지 않고, PKI 방식의 지문, 안면, 서명 등 Multi-factor를 이용해 사용을 간편하게 한다고 합니다. 사용할 시에 보안 요소에 홍채, 지문, 혹은 서명 등의 행위를 요구한다는 의미인데, 이 점이 결재의 편리성을 도와줄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Shildcure3.png

Shildcure는 DPoS에 기반한 자체적 합의 알고리즘을 가집니다. SHildcure Consensus Algorith(SCCA)라 이름 붙인 알고리즘을 으로 Private Node와 Candidate Node로 노드를 구성해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트랜잭션 처리 기술을 개발합니다. 여기에 FIDO 라는 생체 인증 기술을 연동시키고, 이를 수용할 UI를 구축하는 것이 주요 구조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포함된 ID Smart Contract(ISC)가 만들어지고, 이 ISC에 따르는 비즈니스 구조가 결정되어, 데이터의 등록, 파기, 인증 과정 등이 구현됩니다.

VM은 Bytecode를 전환하고 컴파일 해주는 것으로, Solidity 문법을 해석해 ERC20을 수용하는 기능을 갖추고, 이를 Main-net에서 실행이 가능한 환경을 만듭니다.

DAMS(Digital Asset Management Service)는 기존의 Android Pay, Apple Pay, Samsung Pay 등의 인터넷 전문은행 간편 서비스, 그리고 Crypto Currency의 지급 기능에 대해서 Centra, Monaco, TenX 등과 같은 카드형 결재 시스템처럼 VAN/POS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곳을 Crypto Currency로 결재하도록 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Shildcure4.png

Shildcure의 보안 디자인을 3가지 보안 거버넌스 정책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는 각각 노드의 역할과 책임을 정의한 Role & Responsibilities 원칙, 작업을 수행하는 최소 권한만을 부여한 Least of Privilege 원칙, 자원의 남용, 권한 남용 등을 방지하기 위한 Spearation of Duties의 원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Role-Based Access Control(RBAC) 모델을 사용하여 노드를 분산 및 관리하고 신뢰성을 강화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DPoS의 방식이며, 네트워크에 지정된 작업을 기반으로 연산을 허용해 관리적 업무 효율을 강화시킵니다.

Shildcure는 개인정보의 이용 제공 시 필터링 기능을 제공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침을 세우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유럽 GDPR,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 등일 기반으로 한 보호 기능을 제작합니다.

ISC는 기존의 복잡한 절차, 독립된 업무 처리로 인한 비용과 시간의 증가를 코드를 기반으로 하여 거래 기록이 보존되고, 온라인 상으로의 대금 지급과 서명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Shildcure5.png

Shildcure의 로드맵입니다.
2018년 2분기
• 토큰을 생성합니다.
• ID Wallet에 생체 보안 정보를 적용합니다.
• ID Wallet 알파 버전을 제작합니다.
• 사용자 시험을 합니다.
• 장기간의 기술적 로드맵을 만듭니다.

2018년 3분기
• Shildcure 토큰을 공급합니다.
• ID Wallet을 위한 댑을 만듭니다.
• ID Wallet에 다른 Crypto Currency가 적용되는지 시험합니다.
• Main-Net을 정의합니다.
• ID Wallet API를 개발합니다.

2018년 4분기
• Main-net 프로토타입을 만듭니다.
• Cold Wallet을 출시합니다.
• 다른 Crypto Currency를 포용하는 ID Wallet을 출시합니다.
• 보안성 규정을 만듭니다.
• ISC API를 제공합니다.
• 생태계를 함꼐할 Alliance를 만듭니다.

2019년 1분기
• SCCA 알고리즘을 만듭니다.
• P2P 거래 베타 버전을 개발합니다.
• ID Wallet 기능을 확장합니다.

2019년 2분기 이후
• Main-net을 시험합니다.
• Shildcure Mainnet 1.0을 출시합니다.
• IoT에 접목되도록 Main-net을 확대합니다.
• DAMS 기능을 개발합니다.

Shildcure6.png

Shildcure Team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전체적인 Linkedin의 부재가 아쉽습니다.

CEO는 언론에도 인터뷰를 했던 한국 1세대 해커 중 한명입니다. KTB Solution에서 이상거래방지시스템, Smart Sign)과 가틍ㄴ 터치 스크린 서명 결재 기능을 개발한 이력이 있습니다.

CSO는 LG CNS와 CIGNA Holdings에서 근무하며 P2P나 IT 기술, 그리고 관련 비즈니스를 개발하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COO는 CEO와 함께 KTB Solution에서 COO로 근무한 것으로 보입니다.

Shildcure7.png

Shildcure Advisor를 보겠습니다.

Evan Caron은 Switch Coin의 CEO입니다.
외국 인물들이 실제 어드바이저인지는 조금 미지수입니다.

Alex Zhavoronkov는 Longenesis Token의 CEO이며, AI 학자인 Dr.Ben Goertzel, Google Advisor Thomas Frey도 있습니다.
Dr. John Clippinger는 MIT의 교수이며, Hajin Jhun은 한국 블록체인 협회 자율 규제 위원장이자, 19대 국회의원직을 역임했습니다.

Shildcure8.png

Shildcure는 보안기능이 강화된 Crypto Currency Wallet Project라고 요약이 가능합니다.

생체인증시스템을 도입하여 강력한 사용보안을 구축하였으며, 등록된 정보를 제공한 개인 간 거래를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ID Wallet을 통해서 구현이 가능하도록 제작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CEO가 KTB Solution에서 해당 분야의 프로젝트를 꾸준하게 진행해왔다는 점이 신뢰성을 주긴 하지만, 그 외의 팀원과 어드바이저들에게서는 추가적인 매력 요소를 찾긴 어려웠습니다.

개인의 지갑을 지원해주면서, 다양성을 포괄하고, 개인이 가진 Crypto Currency의 시세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지원해주며, 이를 보관하는 것도 지원해줍니다. 지원되는 종류는 Shildcure Alliance에 속한 그룹들과 현재 가장 큰 확장성을 지닌 ERC20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기능을 DAMS라고 부르며, 실재 Payment Application처럼 기존의 결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개발 일정이 너무 여유로워 보이는 것은 단점입니다. MEW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고, 이를 노리고 CoinUS를 비롯해 Crypto Currency를 수용하고자 하는 Wallet Project가 나와있는데, 경쟁자들에 비해 시장 선점에 약점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Alliance에 대한 참여 여부도 걱정이 됩니다. 이름이야 바꿀 수 있겠지만, Shildcure는 ID Wallet을 기반으로 한 거대 생태계를 계획하고 있지만, 각자 Main-net을 출시하고 지갑을 만드는 프로젝트들을 어떻게 끌어들일지에 대해서 좀 더 고민해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혹은 Main-net Wallet을 개발하는 것을 Co-Op으로 지원해줄 수 있다면, 생태계 확장에 용이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의 전략을 지켜봐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Shildcure : https://www.shieldcure.com/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shieldcure/
Twitter : https://twitter.com/shieldcure
Telegram : http://t.me/shieldcure
Kakaotalk : https://open.kakao.com/o/gn04S8L

백서와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확인이 불가능한 정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이 좀 더 분석을 해보시고 본인의 판단으로 투자를 진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저는 개인에게 투자를 권유하지 않으며, 참고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하고 있을 뿐입니다.

Sort:  

짱짱맨 호출에 출동했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08
TRX 0.28
JST 0.035
BTC 100940.09
ETH 3299.68
USDT 1.00
SBD 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