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농업 속 경제: 애그플레이션

in #kr6 years ago (edited)

식량도 상품이므로 생산자는 경제성이 최우선입니다. 당연히 일 해서 자식 대학도 보내고, 용돈도 주고, 저축도 하고, 병원도 가야합니다. 문제는 그 정도의 소득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농가가 많은 것입니다. 식량안보가 중요하다면, 농업인의 삶의 질이나 소득수준에 대한 배려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안보에 중요하다면, 중요한 만큼 정부가 투자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익률이 높다면, 너도나도 농사 짓겠다고 할 것이고, 식량안보 또한 지킬 수 있을 것입니다. 많은 사람이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일듯 합니다.

@farmerboy님께 답을 요구하거나 뭐라 하는 것 아니니, 너무 마음 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글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대중성 있는 주제나 전개 많이 좋아합니다^^

Sort:  

맞습니다.. 생산자의 경제성이 최우선이겠죠. 그래야 농업인구증가와 식량안보를 할수 있을텐데.. 나중에 기회가 되면 농업 강국이 네덜란드와 같은 나라의 정책이나 구조 같은 것도 살펴보겠습니다. 매번 감사합니다☺

자주 인용하는 말이, 선진국은 농업 비중이 크니까, 우리도 선진국으로 진입하려면 농업 비중과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자세한 분석은 없이 구호로만 써먹으니, 선진국에서 농업 비중이 높고, 인건비도 비쌀텐데 경쟁력이 유지되는 이유를 합리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을 들은 기억이 없습니다. 댓글을 보니 기대됩니다^^. 그런데 #jiwon32는 어떤 태그인가요?

감사합니다☺ #jiwon32@dyuryul 님의 최저스티미언 보상 이벤트 입니다! 토요일마다 하시는데 도움을 꽤 많이 받고 있습니다. @stans 님도 나중에 확인해보세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닙니다! 다음주 토요일에 괜찮으시다면 신청도 나쁘지 않으실거 같습니다. 태그는 매번 숫자가 바뀝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3
JST 0.029
BTC 60681.54
ETH 3358.73
USDT 1.00
SBD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