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소개 정리 #24] 리스크(Lisk)코인!! 이건 알고 가자!

in #kr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saranged 입니다! 벌써 스물 네번째 코인 소개 정리 입니다~ 이번에는 리스크 코인에 대해 소개해볼까 합니다! 제 글을 읽고 도움이 되신다면 팔로우와 보팅 부탁드립니다~^^

<이전 이야기>
[코인 소개 정리 #1] 비트코인캐시!!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2] 라이트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3] MAKER coin, 메이커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4] 네오(NEO)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5] BNB, 바이낸스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6] BNC, 바이트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7] 아이콘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8] 비트코인 골드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9] 뉴이코먼트 무브먼트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10] 이더리움 클래식!!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11] 모네로!!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12] 버지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13] 이오스(EOS)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14] 디직스다오(DigixDAO)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15] 파퓰러스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16] 지캐시(Z cash)!!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17] Vechain 비체인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18] Tron 트론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19]대시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20]웨이브 코인!!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21] 퀀텀!!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22] 오미세고!! 이건 알고 가자
[코인 소개 정리 #23] 나노 코인!! 이건 알고 가자

7BBAB821-7A1F-4795-858C-93E0C8B341DC.jpeg

코인 이름 : 리스크(Lisk)

코인 심볼 : LSK
발행일 : 2016년 5월
법인 소재지 : 독일 베를린
총 공급량 : 제한 없음
유통 공급량 : 117,874,652 LSK
시가 총액(2018.02.09 기준) : 3,095,625,104,624원 (총 순위 : 14위)
거래량(2018.02.09 기준) : 97,035,266,622 원
거래 금액(2018.02.09 기준) : 26,262원

리스크 코인은 분산 된 블록 체인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용 블록 체인 플랫폼입니다. 어떻게보면 이더리움과 비슷하다고도 볼 수 있겠네요.

86B30D25-F1CB-4FD5-BF60-349175814A27.png

프로그램 언어로는 자바 스크립트중 하나인 Node.js를 사용하며 2016년 5월 ico에서 580만불을 모으며 성공적으로 출발했습니다.

리스크 코인은 비트쉐어와 비슷하게 DPoS (Delegated Proof of Stake)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Dpos 알고리즘이 PoS와 다른 점은 상위 101명의 활성화된 대표들(투표를 통해서 선출한다고 합니다.)만 적극적으로 네트워크를 단조하고 보안을 유지한다는 것입니다.

세계 최초의 사이드 체인으로 블록체인위에 블록체인이라고 불리우는 리스크는, 분산네크워크를 사용하고 있어, 전송속도가 불과 10초밖에 안걸린다고 합니다. 리스크의 가장 큰 장점은 자바스크립트 언어로 블록체인 어플을 개발할수 있다는 겁니다. 따라서, 자바언어를 선호하는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과 협약을 맺을 확률이 높죠.

리스크는 메인체인을 이용하는 이더리움과 달리 사이드체인(Side Chain) 위에서 구동된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사이드체인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양을 감당하기 위한 솔루션이며, 하나의 메인 체인을 정하고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이드체인을 만들어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징하는 방법입니다. 약 10초 정도의 빠른 전송속도를 보여주고, 메인 블록체인의 데이터를 최소화하므로 보다 간편한 스케일링, 위험 분산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리스크는 합의 매커니즘을 DPoS(위임된 지분 증명 방식)를 채택하여 투표를 통해 선출된 특정 101명에게만 블록을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됩니다. 투표를 통해 선출된 대표자들은 블록 발행에 대한 수수료 외에 ‘forging’이라는 블록 보상을 추가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블록 당 보상이 5LSK으로 시작해서 3,000,000블록마다 1LSK씩 감소하고, 5년 후에는 1LSK만큼 지급됩니다.

리스크, 장기투자를 노려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기술적인 면모만 봤을 땐 추후 이더리움도 대체할 만큼 잘 짜여있는 코인이기 때문이죠. 그래도 투자는 신중하게! 감사합니다!

1732B3B6-73A0-44F1-A15F-DB8E475228B2.jpeg

Sort: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

리스크 코인 자세한 정보 감사합니다. https://94bit.com/lisk/

Coin Marketplace

STEEM 0.21
TRX 0.12
JST 0.028
BTC 66369.39
ETH 3585.92
USDT 1.00
SBD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