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에 관심을 많이 받은 논문 4~6위

in #kr7 years ago

어제와 마찬가지로 Altmetric이 선정한 논문들입니다. @beoped님이
말씀하신대로 전체적으로 의학 논문들이 관심을 많이 받았더군요.
건강과 밀접한 연관을 가져서일까요?

4위 Correction of a pathogenic gene mutation in human embryos(링크)
이 논문은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인간 배아에서 비대성 심근증(돌연사)을
일으키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했다는 내용입니다. 이 논문은 다른
의미로 한국에서 말이 있었는데요 국내 연구진들이 한국에선 인간 배아의
유전자 교정이 불법이기 때문에 해외에서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입니다.
이때문에 국내에서 관련 규정을 고쳐야한단 말이 나왔었습니다.

5위 Gender stereotypes about intellectual ability emerge early and
influence children’s interests(링크)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이 언제 생기는지 연구한 논문으로 5,6,7세의
어린이들에게 똑똑한 사람의 얘기를 하고 이 사람의 성별을 물어봤을때
다른 그룹은 성별차이가 적었지만 6세,7세의 여자아이들은 남성이라고
선택을 많이했다고 합니다. 또한 머리쓰는 게임에 대헤서도 6,7세의
여자아이 그룹은 기피하는 성향을 보였다고 합니다. 이 논문은 개인적으로
국내에도 적용되는지 좀 궁금하더군요. 국내에선 어린시절엔 여성이
머리가 더 좋다는식으로 말들을 많이하는데 차이가 있을지.....

6위 More than 75 percent decline over 27 years in total flying insect
biomass in protected areas(링크)
독일에서 27년전에 비해 곤충의 수가 75% 감소했다는 논문입니다.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는류의 연구의 연장선이라고 볼수있을까요.
유럽쪽에선 Windshield Phenomenon란 이름으로 수십년전엔 운전하면
차에 많은 벌레 시체가 쌓였지만 현재는 보기 힘들다는 현상에 대한
말도 생겨났습니다. 살충제를 주요 원인으로 보고있는데 이렇게
곤충이 줄어들면 곤충이 주식인 조류들을 더는
보기 힘들어진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Sort:  

스스로 홍보하는 프로젝트에서 나왔습니다.
오늘도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하 ㅋㅋ 생태계의 파괴가 점점 더 가속화 되고 있으니 앞으로 27년 뒤에는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그 전에 무슨 조치를 취하긴 해야겠죠?

체감하는 변화는 점진적이다보니 쉽게 예측하긴 어렵긴하죠 그때도 별일 없을수도있고.....

곤충이 확 줄었다는게 굉장히 신기하네요.

꿀벌이 사라진다는 말로 유명해진 나름 오래된 주제죠....

이런 면을 보면 확실히 제약 관련주가 요즘 기대를 많이 받는 것도 이해가 가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주식은 신약기대가 강하긴하죠 ㅎㅎㅎㅎ

오.. 흥미롭네요.. 학문의 세계란..

Coin Marketplace

STEEM 0.14
TRX 0.25
JST 0.031
BTC 88530.02
ETH 1627.92
USDT 1.00
SBD 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