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자에게 제대로 된 보상을 주는 체계 이야기1

in #kr6 years ago

EU-Media-Futures-Forum-pic_0.jpg
쉽게 생각하면 일이 쉽다.
하지만 생각보다 끔찍하게 어려운 일을 쉽게 생각하는 경우에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

문제는 간단하다.

누군가(가) 창작을 하였고 누군가(나)는 이 창작의 결과로 기쁨과 위안을 얻었다. 그리고 이 창작자(가)는 어떤 식으로든 기쁨과 위안을 얻은 누군가(나)로부터든, 그 기쁨의 누군가를 흠모하는 또 다른 누군가(다)로부터 보상을 받으면 된다.

자, 쉽다.

(가)는 (나)로부터 기쁨의 보상을 받는다.

아차, (나)는 어떤 기준으로 (가)에게 보상을 얼마나 주게 될까? 자신이 기뻐한 시간만큼? 아니면 자신이 즐거워한 크기만큼? 또는 자신이 알게 된 새로운 세상에 대한 크기만큼?

약간 복잡해졌다. 아니, (가)는 처음부터 복잡했다. 자신이 만들어내는 것의 비용구조를 정확하게 알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얼굴을 이그러뜨리는 것만으로 기쁘게 해줄 수도 있고 10년을 연구하고 고민한 것을 10초의 공연으로 (나)에게 보여줄 수도 있다. 또는 반복적으로 (나)와 (나)'에게 똑같은 이야기이지만 다른 시간을 두고 노출하는 것으로 보상을 유도할 수도 있다.

아니, 그래서 얼마를 들여 얼마의 기쁨을 만들어내서 얼마의 보상을 받아야 한단 말인가.

(가)는 (나)에게 이야기를 나눠주며 (나)가 던져주는 돈을 주워모으기도 했고 표를 팔기도 했고 책을 찍어 나눠주기도
했다. 정기적으로 창작량을 계산해 만들어내고 일정량의 구독료를 받기로 했다.

여전히 피곤한 일이다.

콘텐츠는 비즈니스였지만 경험을 해봐야 그 가치를 알 수 있는 '경험재'였기 때문이었다.

(가)는 꾀를 냈다. 내가 만들어내는 것을 보러 몰려드는 (나)들의 시간과 관심도를 묶어 팔기 시작했다. 이른 바 미디어 비즈니스의 시작이었다.

(나)에게는 (가)가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비용의 아주 적은 가격만 치르게 하고 나머지는 다른 곳에서 벌기로 한 것이었고 (다)는 (가)의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비용의 나머지를 대주면서 (가)가 모아오는 (나)를 유혹하기 시작했다.

(다)는 자신들이 만들어내는 실물 가치의 제품과 서비스, 즉 상품을 (가)가 모아오는 (나)에게 팔기 원했다.

콘텐츠 미디어 비즈니스의 요약이다.

매스미디어 종사자에게는 자신이 (가)라고 생각하겠지만 예술가도, 게임도, 검색 시스템도, 페이스북까지 (다)의 돈을 받아내기 위해 (나)를 모아왔다.

그런데, 인터넷은 조금 다른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P2P(peer to peer), 즉 말단과 말단의 직접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에서 생산자 (가)와 소비자 (나)가 뒤섞이는 상황이 발생했다. 그리고 블록체인에 의해서 (가)와 (나), 그리고 (다)까지 뒤섞이고 있는 것이다.

내가 스팀잇을 주목하는 이유다. 마치 기시감 같은 느낌이 든다. 매스미디어의 폭증과 협송에 대한 주목, 시민 언론의 발호와 인터넷 초창기 대 혼란기, 그리고 저널리즘의 급격한 쇄락과 인터넷 권력의 이동, 그리고 블록체인에 이르기까지.

꾸준한 탈중앙화에 대한 인터넷 근본주의와 이를 반대하고 규제하려는 세력들의 치열한 공방전, 그리고 사회적 합의와 산업의 발전까지 이어지는 도도한 흐름에 또 우리는 서 있다.

다음엔 조금씩 매스미디어의 속성과 큐레이션 미디어와 블록체인 미디어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보기로 하자.

Sort:  

환영합니다~팔로우 하겠습니다 ^^ 스팀잇 가입과 알아 두셔야 할점들 간단하게^^
일단 1.팔로우먼저50-100명한다2.그리고 글을쓴다(이전에 글 써봐야 잘 노출이 안된다)3.보팅은하루에10~15 회정도만보팅 80%유지 4.다른사람 보팅 할때는 30분이상 지난 글에 보팅을 한다( 바로하면 보팅수익없음)5.제목 오른쪽에 온천 표시 안 나오도록, 1스팀이 1USD 이상일 때 보상은 50:50으로 설정6.댓글소통을 많이하라~!! 스팀잇을누벼라~!! ***보팅과 소통은 사랑입니다. 그러나 뉴비는 보팅이 약합니다 보팅 안하는게 아니라 못해주는 경우가 더더 많습니다 ㅠㅠ 보팅 채우는 시간 때문입니다. 열심히 부지런히 스파업 하세요!!

하루하루 배워나가고 있습니다. 좋은 팁 감사합니다. ^^

^^ 네 화이팅 입니다 ^^~!!

혼돈의 도가니군요.

해당 글에 대한 영어 번역본은 다음 URL을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steemit.com/business/@babeltop/story-about-a-system-which-ensures-a-proper-reward-for-creators-1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4252.58
ETH 3495.24
USDT 1.00
SBD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