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코인) 및 주식 종목선정 방법과 강세장에서의 대응방법 및 고려사항

in #kr7 years ago (edited)

가상화폐(코인) 및 주식 종목선정 방법과 강세장에서의 대응방법 및 고려사항

잠재력이 큰 만큼 리스크도 큰 시장을 Black Ocean으로 본다면 코인시장이나 주식시장은 그에 해당하겠지요.
자산시장에는 코인(가상화폐)뿐만 아니라 주식, 부동산 그리고 금, 은, 구리 등의 원자재를 비롯하여 종류가 많다. 가상화폐(코인)의 종류가 전 세계에 600여종이 있고.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종목 수가 거의 2000개 정도가 있습니다.
부동산은 챠트를 보고 매매하지 않으니까 여기에서 말하려는 내용은 해당이 않되겠지요. 이렇게 많은 종류의 것(종목)을 선별해서 투자를 해야 하는 데 여기서는 어떤 방식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냐와 요즘같은 강세장에서의 대응 방법과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가를 설명하고자 합니다.

1. 우선 세가지의 종목선정 방법을 개괄적으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1. 첫째는 해당 기업의 본질가치를 평가 내지는 파악하여 그 가치에 비해 낮은 가격수준을 보이고 있는 종목을 고르는 방식입니다. 이것을 일명 Bottom-Up 방식이라고 합니다.

시장전체(종합주가지수)의 흐름보다는 기업의 내재가치를 보기 때문에 투자할 해당 기업이 시장의 흐름보다 다소 다를지라도 매수하거나 보유하게 된다.

이 방식은 기본적 분석방법에 충실한 종목 선정 방식입니다.

1-2. 두 번째는 Top-Down 방식입니다. 이것은 먼저 시장전체의 분위기나 업종 현황을 파악,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종목을 선정하는 방식입니다.

전체 경기상황(호경기 등)을 살핀 다음 기대가 되는 유망 업종을 선택하고 해당 업종 내에서 투자에 적합한 기업을 선정하는 방식이지요. 먼저 숲을 보고 나중에 나무를 보는 방식입니다.

시장이나 업종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파악이 이루어질 경우 종목에 관계없이 투자가 이루어 질 수 있다. 한번 잘 고르면 중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단 업황에 대한 기대가 지나쳐 기업의 본질가치 대비 높은 가격수준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분위기에 휩쓸린 투자자들은 추격매수로 인한 가격하락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

1-3. 셋째는 이 두가지 방식을 섞어서 운용하는 혼합방식입니다. 이는 위험을 최소화하며 수익극대화가 가능한 방식입니다.

2. 강세장에서의 대응 방법 및 고려할 사항

요즘 코인시장, 주식시장이 모두 한창 잘 나가며 강세장을 연출하고 있지요. 특히 가상화폐(코인)시장에서는 롤러코스트 장세 즉 급등락 장세를 자주 보이고 있는 바 상승시 상승리스크가 그리고 하락시 하락리스크가 상존합니다. 전자는 매도후 추가상승하는 경우를, 후자는 하락시 매수 후 추가하락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아마도 이런 경우를 코인이나 주식매매 하면서 안 겪은 분은 없을 것입니다. 강세장에서는 비중확대를, 약세장에서는 비중 축소하는 것이 올바른 투자방법이긴 하지만 거꾸로 매매하여 손실보는 분이 반드시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유념하여 매매하시면 좋겠습니다.

2-1. 강세장일지라도 이미 소개한 파동이론에서 보았듯이 일정한 폭과 기간의 조정은 반드시 있습니다.

조정을 줄 경우 투매로 인해 주가가 더 하락한다면 공포에 휩싸여 추격매도하기보다는 제반 변수들이 안정을 찾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더 현명한 투자자의 선택이 될 것입니다. 주가가 급락했다고 해서 곧 바로 급등하는 것이 아니다. 일정한 기간은 조정을 받습니다.

2-2. 변동성이 큰 장세에서는 발빠른 순환매가 필요하다. 아직 오르지 않은 종목 즉 틈새를 공략하는 것도 좋는 방법이라고 봅니다.

2-3. 캔들 챠트의 몸통 길이는 힘의 크기를, 양봉 / 음봉은 힘의 방향을 나타내므로 챠트를 볼 경우 캔들 크기와 방향을 고려한다.

2-4. 어떤 종목이든지 코인 및 주식을 너무 사랑하지 말라. 뜻하지 않은 이익의 큰 폭 감소 또는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2-5. 주식은 대박을 치겠다는 생각보다 안정적인 주식관리, 정확한 분석력과 정보 확보가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2-6. 강세장에서는 좋은 것만 받아들이고 나쁜 것은 잘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으며, 다수가 기다리는 조정은 오지 않는다. 그리고 조정을 예단하지 말라.

2-7. 유동성(돈)과 수급이 주식시장에서 절대적인 힘을 발휘할 때에는 기술적으로나 밸류에이션상으로나 설명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종종 일어납니다.

2-8. 손절매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 얻을 수 있는 수익보다 잃을 수 있는 손실에 더 관심을 가지다 보면 내 재산이 자연적으로 늘어나게 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 손절매는 타이밍을 잘 맞춰야 합니다. 죽지 않으면 기회는 분명히 있으며 당장에 돈을 벌지 못하더라도 죽지 않고 버틸 수만 있다면 궁극적으로 큰 돈을 벌 수 있겠지요.

  • 손절가는 정했으면 목숨처럼 지켜라(경험칙). 특히 남의 돈을 차입해서 투자하는 분이 더 지켜야 할 항목입니다.

  • 수익은 계좌에 찍혀 있는 숫자가 아니라 실제 인출되어 내 손에 쥐어지는 순간에 실현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성공투자하세요. 감사합니다.

Sort: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전 손절매를 못해서 ㅋ
그냥 될때까지 물타기^^

물타기도 한 방법은 되겠지만 빈등시 해야 되겠지요. 감사합니다.

네...^^
할줄아는게..
현명하신 분들은 2000만원으로 몇십억도 만들던데,,ㅋㅋ
전 원금보전에 조금만,,ㅋ

좋은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수의 품격이 느껴지는 글이네요. 손절매의 타이밍과 손절가 책정은 진짜 생각은 하는데 실천이 어렵네요 ㅠ 보팅 및 팔로우 하고 갑니다. 성투하세요!

댓글 감사드립니다. 내 생각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 실행하면 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아직 많이 매매을 못해 봐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코인을 정확히 알고 장기투자를 하려고하지만
어느순간 차트만 보고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댓글 감사드립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 궁금한 것이, 코인 시장의 본질 가치 평가 방법은 어떤것이 있을거라 생각하시는지요? 주식 시장이라면 자본금이라던지 부채비율이라던지.. 실제 눈에 보이는 수치값이 있어서 이를 통해 어림짐작 할 수 있을텐데, 코인쪽은 어렵네요 ^^;;

코인의 본질가치는 일반화폐처럼 교환 및 가치저장 및 결제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얼마나 많으냐에 의 해 결정해야 되지 않을 까요?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어려운 질문에 답변해 주시어 감사합니다. ^^

별말씀을요! 감사합니다

코인시장에서 적절한 가치평가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어디까지 갈 것같나요? 란 질문에 상당히 답하기 어렵습니다..ㅎ 이더리움의 현재가격을 어떻게 보시나요??ㅎㅎ

저는 이더리움을 투자하지 않고 있읍니다. 질문에 답을 드리기가 좀 곤란합니다. 누구나 주식이나 코인이나 정확한 가격을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리라 봅니다. 대응을 잘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 아닐까요? 곧 변곡점이 올 것이라는 말은 있더라구요.

전문적인 포스팅 감사드립니다. 성투하세요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7
BTC 60277.41
ETH 3351.71
USDT 1.00
SBD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