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의 기술] 삼각형 패턴(Triangle Pattern) - ① 대칭삼각형

in #kr7 years ago (edited)

paris-eiffel-tower-clouds-wide_copy.jpg

주식시장은 가장 좋아 보일 때가 가장 위험한 시점이고,
가장 안 좋아 보일 때가 가장 매력적인 시점이다
-프랭크 J. 윌리엄스-

[Book] 차트의 기술 By 김정환

지속형 패턴 Continuation Pattern
지속형 패턴은 기존의 추세가 잠시 보합 상태로 머무르고 있는 형태이다 즉, 단기 상승에 따른 호흡조절 국면 내지 속도 조절 국면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따라서 지속형 패턴은 일종의 휴식기간으로 해석된다 기존의 추세는 지속형 패턴을 형성하고 나면, 다시 이전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삼각형 패턴(Triangle Pattern)
삼각형 패턴은 1~3개월의 시간을 요하는 중기 패턴이다 형성기간이 1개월 미만인 경우는 깃대형과 같은 다른 패턴에 해당된다 가끔은 장기 차트에 나타나기도 하지만 보통 일간 차트에서 주로 분석한다

벙커 심리(Bunker Mentality): 하락장에서 자주 발생하는데 포탄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위험하게 머리를 내밀지 말고, 안전하게 머리를 수그리고 있으라는 의미다 하락장에서는 단기 낙폭에 따른 반등이 올 수 있지만 증시 여건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이고 막연한 저가 매수는 중장기 관점에서 보유 전략이 될 수는 있지만 투자 손실은 물론 타이밍을 놓치는 기회 손실이 될 수도 있다

Screen Shot 2017-12-19 at 2.39.47 PM .png

대칭삼각형(Symmetric Triangle)
대칭삼각형은 서로 만나는 두 개의 추세선을 가지고 있으며, 위쪽 추세선은 하락하고 아래쪽 추세선은 상승하고 있다 이 패턴의 높이를 나타내는 왼쪽의 수직선을 기준이라고 하고, 두 선의 오른쪽 교점을 정점이라고 부른다

대칭삼각형의 형성
삼각형은 추세의 조정이 시작되는 점인 ‘점 1’에서 시작된다 삼각형 패턴이 형성되는 두 개의 추세선을 긋기 위해서는 최소한 고점 2개, 저점 2개가 있어야 하나 실제적으로는 3개의 고점과 3개의 저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칭삼각형의 완성과 추세 복귀
대칭삼각형은 가격의 변동폭이 갈수록 줄어드는데 이러한 모양 때문에 코일(Coil)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림 1>의 직전 추세는 상승추세다 만약 직전 추세가 하락 추세였다면 대칭삼각형 완성 후에는 하락 추세가 지속될 것이다 대칭삼각형 패턴은 가격이 삼각형의 한 변을 돌파할 때 완성되는데 대칭삼각형이 완성된이후 가격은 이전의 추세대로 진행되어간다

ㅣ상승 대칭삼각형 패턴에 의한 분석의 예
Screen Shot 2017-12-19 at 5.30.25 PM .png

가격의 움직임과 대칭삼각형 패턴의 진행 시간 사이에는 흥미로운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삼각형의 시작점부터 두 추세선이 만나는 끝점 사이에서 1/2~3/4인 시기에 돌파되어 원래의 추세로 복귀한다 다시 말해 패턴의 형태를 통해 돌파 시점을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3/4 시점 이후에도 가격이 삼각형 내에서 움직이게 된다면 삼각형의 끝점이나 그 이후의 가격 움직임을 판단하기가 쉽지 않게 된다

추세가 돌파되는 경우 돌파된 추세선은 지지선이나 저항선이 되며 추세선이 만나는 끝점도 돌파 후 중요한 지지선이나 저항선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승 추세에서 거짓 약세 신호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2~3일간 많은 거래를 수반하며, 위쪽 추세선을 하향 돌파한 후 급반등하여 상승 추세로 전환한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두 추세선의 끝점 부근에서 발생한다

ㅣ하락 대칭삼각형 패턴에 의한 분석의 예
Screen Shot 2017-12-19 at 5.30.35 PM .png

거래량 추이
삼각형의 가격폭이 줄어들수록 전체적으로 거래량도 감소한다 패턴이 진행되면서 거래량이 감소하는 현상은 지속형 패턴의 공통적인 현상인데 패턴이 완성되는 시점인 추세선의 돌파가 이루어지면 거래량은 현저히 늘어난다

가격 목표치 설정
머리어깨형(H&S)과 마찬가지로 대칭삼각형의 높이를 측정하여 돌파점 또는 패턴의 끝점에서 그 높이만큼 돌파 방향으로 변동한다 또 하나의 방법은 패턴의 시작점에서 아랫변의 추세선과 평행하게 추세선을 그리는 방법이다 이렇게 그리면 일련의 추세대가 형성되는데 이 추세대 외곽선이 가격 목표치가 된다

대칭삼각형은 중립적
대칭삼각형 이후 가격이 상승할지 하락할지는 패턴 자체가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원칙적으로는 패턴 전에 추세가 지속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사실 이후 추세가 전환되는 경우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예외 없는 법칙이 없고, 항상 예외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격이 윗변, 아랫변의 어느 쪽으로 돌파되느냐에 따라 이후 추세가 결정된다 이런 점에서 ‘대칭삼각형 패턴은 가격에 중립적이다’라고 엄밀히 말할 수 있다

Thank you for reading

@phuzion7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215.97
ETH 3350.38
USDT 1.00
SBD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