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에서 블럭체인의 데이터를 보는 방법(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blockchain in bitcoin)

in #kr9 years ago (edited)

아래에 있는 내용을 이해한다면, 비트코인의 블럭체인의 핵심에 대해서 이해한 것입니다.

가능하다면, 파이썬 코드도 입력해서 같은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을 해보면 좋습니다.


그러면.. 

블럭체인의 핵심인 블럭(거래 데이터)을  체인으로 묶어놓은 블럭체인의 원리를 이해한 것입니다.


예전에는 비트코인의 json 형태의 raw 데이터를 https://blockexplorer.com 에서 바로 확인이 가능했는데

현재는 이 기능을 막아놓았네요..  

하지만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https://blockchain.info/block-height/125552?format=json 


이때 위 링크의 125552는 비트코인의 블럭높이(block height)이며 블럭(거래 데이터)을 json 형태로 보여줍니다.

즉, 위의 링크에서 숫자 부분인 125552가 블럭 높이고, 블럭 높이는 첫 번째 블럭체인을 0부터 시작하여 다음번 블럭에 1씩 더하여준 숫자입니다. 

위 링크의 숫자 부분에 원하는 블럭체인의 높이를 적어주면 비트코인의 raw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비트코인의 첫블럭(genesis block)을 보여줍니다.

https://blockchain.info/block-height/0?format=json

json에 대한 설명은 아래 참조 (자바스크립트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규격입니다.xml 같은 통신규격입니다.)

https://namu.wiki/w/JSON

 

1) 비트코인의 블럭의 해시를 구하는 방법

https://steemit.com/kr/@loum/how-to-calculate-the-block-hash-in-bitcoin 

2) 비트코인에서 난이도를 구하는 방법

https://steemit.com/kr/@loum/21zhq3-how-to-calculate-the-difficulty-of-bitcoin


사토시가 비트코인에서 기여한 가장 큰 공헌은 거래 데이터(transaction data)가 포함된 블럭을 체인으로 만든 것입니다..

즉, 블럭에 이전 블럭의 해시(prev_hash)를 포함하여 해시를 계산하여 블럭의 해시가 서로 체인으로 연결되도록 만든 것입니다.

그 외에  작업증명(proof of work)도 디도스 공격 등에서 서버의 부하를 조금 줄이기 위해서 이메일  등을 보낸  상대방 서버에도 일정량의 계산을 하도록 하는 데 많이 사용하던 방법입니다.

Sort:  

잘 정리해주셨습니다.

대충 쓴 글에 코멘트를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이 올라가지 않아서 한참 고생을 했는데요..
글 중에 https://blockexplorer.com/https://blockexplorer.com 로 바꾸니 바로 글이 올라가네요.. 참..

Coin Marketplace

STEEM 0.09
TRX 0.32
JST 0.033
BTC 109525.61
ETH 3934.19
USDT 1.00
SBD 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