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d.com/@계정명 , 보팅파워, 스팀파워, 권장보팅횟수 40

in #kr7 years ago

스팀잇을 활용하면서 무언가가 궁금하다면

을 내기 보다는

http://www.steemd.com
http://www.steemd.com/@계정명
http://www.steemtools.com 을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http://www.steemd.com/@계정명 을 방문하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1번을 클릭하면 증인 목록을 볼 수 있다.
2번을 클릭하면 현시점의 스팀의 분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번은 계정 소유자의 보유스팀을 mvests 변환한 수치를 보여준다.
4번은 몇 번째로 만들어진 계정인지를 알려준다.
5번은 추천 보상을 받은 내역이다.
6번은 비밀번호를 변경했다면 언제 변경했는지를 알 수 있다.

7번은 보팅파워가 얼마나 남아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보팅파워는 타인의 게시물을 추천할 경우 감소하며 일정한 시간이 흐르면 회복된다. 줄어든 정도가 클수록 회복속도는 느리며 줄어든 정도가 작을수록 회복은 빠르다. 즉 줄어든 정도에 따라 회복 속도는 다르다. 보팅파워와 스팀파워는 다른 의미이다.

8번은 타인이 자신의 게시물에 단 댓글을 보여준다.
9번은 자신이 타인의 글을 추천한 내역을 보여준다.
10번은 다른이가 자신의 게시물을 추천한 내역을 보여준다.

스팀잇 사용자의 스팀파워가 1 mvests 를 넘으면 타인의 글을 추천할 때 보팅파워를 조절해서 추천할 수 있는 보팅비율 조절바가 나타난다. 1엠베스트가 몇 스팀파워에 해당하는지는 steemd.com을 방문하면 할 수 있다. 1엠베스트당 필요한 스팀은 시간이 흐르면서 조금씩 증가한다.

현 시점에서 1엠베스트는 481.833 스팀파워이다.

보팅파워 조절바이다.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보팅파워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절바에 표시된 비율이 100으로 표시된다고 해서 자신의 보팅파워가 100%인 것은 아니다. 자신의 보팅파워는" steemd.com/@계정명"을 방문했을 때 7번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확인되어지는 것이 자신의 보팅파워이다.

그렇다면 보팅파워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계정 소유자의 스팀파워가 500 엠베스트라면
보팅파워가 50%라면 0.5*500=250 이 되어 250 엠베스트 소유자가 추천하는 것과 같은 추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추천을 하면서 높은 추천 효과를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스팀디닷컴에서 확인해 보면

최고 수준의 보팅파워를 유지할 수 있는 1일 추천 횟수를 40회로 제한하고 있다. 즉 1일 40회 정도의 추천을 한다면 항상 최고 수준(실질적 평균 보팅 파워를 95% 이상 수준에서 유지할 수 있음)의 보팅파워를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Sort:  

유용한글 감사합니다!!!

정말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감사합니다. ^^!

우님의 동영상 축하 메세지에 항상 기분이 좋습니다. 고맙습니다.

와..........선무님 정말 감사합니다 리스팀갑니다

마님 고맙습니다. 마님의 코인관련글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궁금한 부분이 많이 해결되었습니다.
선무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Thanks a lot!!!!

감사합니다. 덕분에 스팀잇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leesunmoo님! 너무너무 잘 정리된 글에 감탄하고 또 감탄합니다! 만약 괜찮으시다면 스티밋 뉴비들을 위해서 네이버 스티밋 카페에 글을 올려도 될까요? 작가님 블로그 링크도 걸어놀거예요!

좋은 정보 감사해요!!! 오늘 처음 시작해서 이것저것 둘러보고있는데 많은 도움이 되네요. 그치만 아직은 다 이해하긴 너무 어려운것같네요 ㅠㅠㅠㅠㅠㅠㅠ

감사합니다.

와...
이런게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609.18
ETH 3390.27
USDT 1.00
SBD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