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록(XRB)코인 정보 수집
- 특징
- 시총 : 약 35억$
- 시가 : 약 15만 사토시
- 발행일 : 2016. 02. 19
- 발행량 : 1억 3천만개 / 3억 4천만개
- 종합평점 : 68점
- 채굴방식 : dPOS
- 3 초 채굴시간, 높은 처리량
- 무제한 확장성, 수수료없음, 탈중앙화, 상품/서비스 개발 가능
- 웹지갑, 데스크탑지갑 지원.
- 블록 레티스(Block Lattice) : 개인 소유의 블록체인 시스템. 보내는거래와 받는거래 2개만존재. 둘중 하나가 준비안되어있으면 결제안됨. 채굴없이 결제 동의과정이 이뤄짐.(=수수료없다는뜻) -> 전송 최우수 이점.
- 거래소 : BitGrail(73.5%), 쿠코인(20%), Mercatox(6%), 바이낸스(투표1위로 상장예정), Bit-Z, BitFlip, RightBTC
- 트위터 : https://twitter.com/Raiblocks
- 공식 홈페이지 : https://raiblocks.net/
- 예상 일정
- 평가
쿠코인에서 미리 사놓으면 바이낸스 상장 시 떡상 기대됨.(바이낸스는 세계1위거래량이므로)
갸우뚱 할지도 모르겠지만, 전송에 있어서는 리플보다 좋은것 같다. 왜냐? 블록 레티스때문에 주문량이 많아져도 개인간 보증하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느려지지 않기 때문이다.
리플이 전송속도 때문에 치고 올라왔지 않는가. 제 2의 리플이 되고, 리플을 넘어설수도 있을 것 같다. xrp와 xrb. 뭔가 닮지 않았는가
김프를 이용한 재정 차익거래에 쓰기 엄청 좋은듯하다.(실제로 김프떨어질시 리플은 올랐다)
리플이 380억개 유통에 3.4$(약 1000억$), 레이블록이 1.3억개 유통에 26.4$(약 30억$) 이다.
유통량과 현재 시세를 감안해보았을때, 성능이 더 좋은 레이블록을 쓰려고 넘어오면 가격은 어떻게 될까? 어마어마할것같다.
나중에 XRB 가 국내에도 활성화되었을때, XRB가 오르면 리플은 떨어질 것 같다.(개인적 생각)
하지만, 나에게 있어서는 듣보잡 코인이기 때문에 소액담가서 큰이익 실현해야겠다.
평가 : 10점. 소액장투
바이낸스에서 1등할만햇네.
나중에 사서 지갑으로 옮겨놔야겠다(dP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