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초보자를 위한 미세팁 #1] 단타 수수료 계산

in #kr7 years ago

단타 칠때 수수료 계산 복잡하시죠?
분명히 이익이라고 생각했는데 코인수가 줄어있는 경우 다들 경험하셨을겁니다.

그래서 코인 초보자를 위한 미세팁 첫번째로
제가 수수료 계산을 하는 방법을 공유해볼까 합니다.

같은 거래소라고 하더라도 개개인별로 수수료가 모두 다를겁니다. (거래금액 별로 차등이 생김)
각자의 수수료는 본인이 거래하는 거래소를 참고하시고
쉬운 설명을 위해 예를 들겠습니다.

메이커로 한번 테이커로 한번 하는 경우가 보통일겁니다.

저는 현금0원 코인MAX를 유지하기 때문에
단타 시작시 테이커로 매도한 후 원하는 가격에 메이커로 매수하는 편입니다.
반대로 그날 그날 코인을 다 팔고 현금으로 보유하는 사람들은
메이커로 매수하고 테이커로 매도하겠죠

어쨌든 메이커 한번, 테이커 한번으로 한번의 거래가 완결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내가 거래하는 거래소의 수수료가 메이커 0.1%, 테이커 0.2%라고 가정할 경우
한번의 거래 (매도후 재매수 or 매수후 재매도)에 0.3%의 수수료를 사용합니다.

현재 이더 가격을 250000원이라고 보수적으로 잡고 계산하면 0.3%면 750원입니다.
즉, 코인 1개를 한세트 거래(매도+매수 or 매수+매도)하는데 750원이 수수료로 드는겁니다.

그러면 이제 계산이 쉬워지죠. 한번의 거래에 750원 이상의 차익을 실현하면 본전이 되는것입니다.

250000원에 코인 100개를 매수하고 250800원에 코인 100개를 매도하면
코인 1개당 50원씩 이익이고 100개니깐 5000원을 버는거죠.
뭐 거의 본전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네요

다른 예로 250000에 코인 100개를 매수하고 250500원에 코인 100개를 매도하면
얼핏 보기에는 익절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수수료가 750원이 들었기 때문에
1코인당 250원의 손해입니다. 100개니깐 25000원의 손해가 발생한거죠

난 분명 25만원에 사서 25만5백원에 팔았는데,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았는데..
결과적으로는 수수료 생각하면 가만히 숨만 쉬고 있는게 이득인 셈이죠

이렇게 자신이 이용하는 거래소 수수료율을 확인하고
현재의 이더 가격을 보수적으로 잡아서 미리 계산해두면 수수료 계산이 편합니다.

이 가격대라면 무조건 xx원 이상의 차익을 발생시켜야 이익..

이런식으로 계산해두면 단타치실때 어느정도 빠르게 매도/매수 할 수 있을겁니다.

이상 별 도움 안되는 미세팁이었습니다.

Sort:  

팁 감사합니다^^

블록체인 주제 관련 게시글 태그에는 한국어 태그로 #kr과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게시글 태그인 #coinkorea 태그를 붙여 주시면 더 많은 사람들이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와 관련된 게시글을 한번 읽어주시고 동참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Steemit KR 커뮤니티 CoinKorea 프로젝트

코인 거래소 수수료 관련 팁 안내 감사합니다. https://94bit.com/fee/

Coin Marketplace

STEEM 0.30
TRX 0.11
JST 0.030
BTC 68324.35
ETH 3763.76
USDT 1.00
SBD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