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페에 대한 논쟁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6 years ago (edited)

암호화폐를 둘러싼 논쟁은 꽤나 격렬하다. 기성세대와 정부기관은 코인투자에 관하여 꽤나 부정적인 시각이다. 하지만 인정할 부분은 인정하자 투기성이 분명히 있고 어쨋든 보호장치가 부재하여 피해를보는 대중이 없도록 관련 법규들이 필요한건 사실이다. 때문에 암호화폐관련 논쟁은 꽤나 복잡하여 쪼개어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1. 비트코인 vs 다른코인

비트코인이 대표적인 암호화폐인데 한정된 공급수량으로 인하여 인플레를 감당 못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여러코인중 하나이며 인플레이션 방식의 암호화폐도 있다. 그리고 단점을 보완한 코인들이 계속하여 등장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특징을 전체 암호화폐 를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1. 코인 vs 블록체인, 전통산업 vs 가치경제

모두 암호화폐라 불리지만 좀 나누어 볼 필요가 있다. 한 종류는 블록체인의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산업의 단점을 극복하는 사례이다. 비트코인과 리플 등이 대표이다. 특히 금융거래시 발생되는 비효율성과 기득권을 유지하며 바뀌지 않은 구태를 극복하는 대안이다. 물론 비트코인은 긴 송금시간 등 부족한면이 많긴해 보인다. 그리고 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비트코인은 대중의 컴퓨팅파워를 빌리는데 이에 따라 코인을 보상한다.

두번째 그룹은 스팀이나 파워렛저 등이다. 이 그룹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전통산업의 단점을 극복하는게 아니다. 스팀, 스톰, 파워렛저 등 모두 암호화폐를 공부하며 알게된 것들인데 아마도 이를 알고 있는 다수의 사람들은 이 코인들의 이름을 들을 경우 아마 '암호화폐'를 떠올릴 것이다. 정말그럴까? 개인적으로 이들 앞에 '암호화폐'라는 수식어를 붙이는 건 부적절하지 않나 한다. 오히려 '가치경제'라는 단어를 붙여보는것이 어떤가 한다.

스팀은 (이부분은 제 이해가 부족할 수 있으니 틀리면 정정 부탁드려요~) 코인이 생성되는 방식과 블록체인은 뗄 수 있는 관계처럼 보인다. 코인은 사람들의 보팅으로 발행량이 결정되며 이 코인들이 거래될 때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는 것처럼 보인다. 파워렛저 역시 생산된 전력을 사고 팔며 그 거래가 블록체인에 쌓이게 된다.

지금까지의 세대와 산업이 조직화된, 공인된 단체의 재화와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것만을 '가치'로 제한하여 칭했다면 '가치경제'에서는 이를 더욱 확장한다. 가치경제에서는 개인의 흥미를 이끌 수 있다면, 어떻게든 도움이 되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지역사회와 타인에게 가치가 있는 행동을 했다면 이 가치를 측정한다. 스팀이나 스톰등이 대표적으로 이 가치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돈 가치를 코인으로 표시하고 유통시키는 것이 본질이다. 부차적으로 유통과정에 블록체인을 이용한 것이다.

다시 이야기 하면 암호화폐를 투기로 보기에는 너무 많은 사안이 겹쳐있다. 자칫하면 블록체인이 가진 가능성. 그 가성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기존산업의 구태를 극복할 수 있는 기회, 그리고 본격적인 '가치경제'로의 진입이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가치경제'로의 진입에 있어서 블록체인이 필수 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현재는 블록체인과 '가치경제'가 맞물려 다가온다는 점에서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것이 옳은듯하다.

또 누가 알겠는가 블록체인이 가져올 결과를....

  1. 투기가 꼭 부정적인가?

투기자체는 부정적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조금 더 넓게 바라보면 꼭 부정적인지만은 않다. 작년 말까지 나에게 비트코인을 알아보라는 사람이 꽤 있었으며 무려 1년전 블록체인이 워낙 이슈여서 책을 한권 사보았지만 비트코인에 대하여 제대로 알아보려고 한적이 없었다. 하지만 투기에 대한 이슈는 내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던거 같다. 그리고 나 역시 투기에 동참하여 고분고투를 하는 중이다. 하지만 투기는 투기 자체로 끝나지 않는다. 투기 자체가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그리고 기타코인에 대해 관심으로 시작되었으며 점차 투자 상품자체를 공부하기 시작한다. 나만 이럴까? 예전부터 봐두었던 책중하나가 O'reilly 가쓴 비트코인관련 책이다. 이 책의 내용은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의 개념적 설명이 아니라 데이터구조와 프로그래밍 활용방안에 대한 내용인데, 어제 강남교보문고에 가보니 재고가 하나도 없었다. 예상컨데 수많은 젊음들이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을 포함한 다른 코인을 공부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얼마다 블록체인 활용에 대하여 뒤쳐져 있는지 절절히 깨닫고 있을 것이다. 시작은 투기였을지 몰라고 이목을 끌기에는 충분했으며 덕분에 가까운 시일 내에 많은 전문인력이 양산되지 않을까 한다.

다만 정부부처의 법개정과 지원정책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긍정적인 발전 방향으로 유도하며, 변화에 발을 맞추고 투기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살피는 작업이 신속하길 바랄 뿐이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3633.54
ETH 3477.74
USDT 1.00
SBD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