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eaming University: We will not pay tuition.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8 years ago (edited)

대학은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기에 가장 적합한 단체이다. 고등학교까지만 해도 학생들에게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할 자율성과 그에 필요한 배경 지식이 부족하다. 이는 고등학교까지의 교육목적을 생각해 본다면 당연한 것이다. 대학을 졸업하고 나면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하도록 결집시키는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대학을 한계비용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대학이 학생들을 결집시키는 방법은 매우 저렴하다. 또한 지식의 창출에 대한 순수한 열망 역시 대학생들은 여타 집단들 보다 상당히 높다.


University is suitable place to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not only do not reach enough academic standard to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y are also not free to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If we consider the purpose of high school, it was nature. After graduation the university, it takes lots of money to gather the people to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in marginal cost, it is inexpensive way to gather undergraduate. And undergraduates are more ambitious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n other groups.


대학 내에는 ‘동아리’ 혹은 ‘소모임’이 있다. 물론 모든 동아리 혹은 소모임들이 지식탐구의 목적으로 결집되는 것은 아니나, 일부 동아리 혹은 소모임들은 대학 수업보다 높은 수준의 지식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으면 내가 앞으로 언급하는 동아리 혹은 소모임은 후자에 국한된 것이다.


We named small meeting in university 'club' or 'small group'. Of course majority of clubs are gathered for fun or hobbies. However some of them are gathered to research. And their subjects are more sophisticated than university class. I will talk about the latter.


사람이 학습을 하는 이유는 기존의 지식을 보전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새로운 지식의 창출에 있다. 물론 현실에서는 대부분 사람들의 학습 목적이 새로운 지식의 창출이 아니라 경제적 부의 창출로 이어지지만 말이다. 이것은 새로운 지식의 창출 이전에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이므로, 이러한 선택(경제적 부의 추구)을 한 대중을 비판할 수 없을뿐더러 비판해서도 안 된다. 하지만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목적으로 한 교육이 경제적 부의 추구로 귀결되는 과정에서 자본투자의 비효율성이 나타난다. 즉, 이들에게 굳이 필요 없는 교육을 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비용이 소모 되고 있다.


Reason that human being has studied is not only to preserve what human being accumulated. But the ultimate reason is to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However in reality many people use what they study in making money. As making money should be solved before creating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we could not criticize using knowledge to make money. However when education which pursues to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end up in making money, there are inefficient capital investment. We have to recognize lots of money are wasted in unnecessary education and there are no actual profit.


교육방식에 문제가 없는 것도 아니다. 현재 우리의 교육방식은 다음과 같다. 사회는 우선 학생들에게 과거의 정보를 가르친다. 이것은 당연한 것이다. 여러 세계적 석학들이 한국 학생들이 대학에서 과거의 지식만을 배우고 있다고 한국 교육의 실태를 비판하지만, 이는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위해 과거의 지식을 배우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들 역시 학교를 다닐 때까지만 해도 과거의 지식을 배우고 있었으니 이들의 말은 가볍게 무시해도 좋다.


The educational policy was not perfect, neither. Korean education policy is like as follows. First, society teaches outdated knowledge to students. It is natural. The world's greatest scholars has criticized that Korea taught outdated knowledge to students. But even though it is outdated, studying existing knowledge is necessary to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world scholar also had studied outdated knowledge in university, just ignore them.


진정한 문제는 우리가 과거의 지식을 배우는 데서 그친다는 것이다.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과거의 지식을 가르치고 정작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방법은커녕 그 필요성도 이야기해주지 않는다.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정보를 만드는 것을 배우지 않은 학생들로서는 사회에 진출하여 거짓말과 웃음으로서 소비자를 기만하며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밖에 없다. 삼성은 새로운 갤럭시 노트 시리즈를 노트6가 아니라 노트7이라고 이름 지었다. 단지 이미 S7이 존재하고, 노트6보다 노트7이 시너지 효과가 더 클 것 같다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즉 거짓말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해낸 것이다.


The point is that korea has taught outdated knowledge only. University has educated student outdated knowledge but not to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let alone saying necessity. As the undergraduates are not educated to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y make money by deceiving consumer with lie and smile. SAMSUNG named new GALAXY NOTE series NOT7 not NOTE6. As S7 is already released, naming NOTE7 was seemed to more efficient than NOTE6. SAMSUNG made money with lie.


스팀잇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플랫폼을 제공해 준다. 학생들이 직접 대중이 되어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지식과 정보를 찾을 수도 있고, 대중의 수요에 따라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지식과 정보를 창출할 수도 있다. 학생들이 창출해낸 정보들의 가치는 보팅을 통해 나타날 것이다.


Steemit provides platform that students could learn to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society needs. Students could not only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public themselves. Also they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social demands.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students make would be evaluated by voting.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과목을 만드는 것이다. 학생들이 개인으로 혹은 조를 이루어 스팀잇에 일정 주기로 글을 올리는 것이다. 이 글의 주제를 학생들의 전공에 국한 시킬 수도 있고 자유주제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스팀잇에 개시된 글들은 보팅으로 대중의 평가를 받는다. 이 과목에서 학생들의 성취도는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개시한 글의 가치의 총합이 되는 것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정보가 무엇인지 배울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대단하신 교육석학들이 주장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기존 수업에서도 많은 에세이와 ppt를 제작하며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만들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수들은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를 읽지도 않는다. 조교라도 이 과제물을 읽고 평가하면 다행이다. 이러한 과제는 평가 방식과 사후처리 때문에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정보의 창출이 되지 못했다.


Let's make class as follows. Students would post in Steemit in groups or in person. The subject could be free or limited in major. And post would be evaluated by uncountable steemian who represent the public. In this class, student achievement is Author reward in Steemit. Students could learn what society needs. I think it is what educational scholar insisting. In previous class, writing essay and making PPT, students creat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However, most of professor would not read assignment. It would be good, if TA(teaching assistant) read the assignment: some of TAs also not reading! In Korea university,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could not be created.


만약 여러 과목에서 이러한 수업이 진행된다면, 학교는 학점에 비례해서가 아니라 학생들이 벌어들인 스팀달러에 비례하여 학생들의 성취를 평가하게 될 것이다. 이 때 학생들의 성취는 학생들이 사회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창출과 비례하며, 이는 사회에 대한 기여도와 같은 의미이다. 결국 대학 역시 개인의 지적 탐구보다는 사회적 기여도에 보다 큰 목적을 두게 될 것이다.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창출이라는 학습의 근본 목적을 고려한다면, 사회적 기여를 목적으로 존재하는 대학이야말로 그 존재 의의를 다한다고 생각한다.


If Steemit was used in several classes, student achievement would be estimated by Author rewards not by grade. Author rewards would be proportional to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society needs. It means social contribution. Finally educational policy moves intellectual research to social contribution. When it comes to purpose of education that creates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university that pursuit social contribution could fulfill existential significants.


또한 사회적 기여도에 기반을 둔 평가 방식은 장학 혜택 부여 방식에서도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기존의 성취도 기반 장학 혜택에서는 특정 소수집단에서 지불하는 자금으로 지원되기 때문에 자금을 지불한 집단의 이해관계가 반영된다. 따라서 취업 조건부 장학 혜택과 같이 학생들이 장학금 지불 집단의 이해관계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 하지만 학생들의 사회기여도 수준에 따라 장학혜택이 부여되기 시작한다면, 학생들의 학습 목적 자체가 사회 기여를 위한 방향으로 자리 잡힐 것이고, 보다 다수의 이익을 위한 학문이 개발 될 것이다.


Scholarship would be awarded more efficiently under the social contribution - evaluation. As grade based scholarship was awarded with subsidy of few corporation, their interest are reflected: entrada - conditional - scholarship etc. However, if scholarship was awarded by social contribution, purpose of studying would be changed to social contribution.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창출된 지식과 정보가 사회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면 학생들은 등륵금을 지불할 이유가 사라진다. 현재는 학생들이 교육을 받는 대가로 대학에 학비를 지불한다. 하지만 그들이 창출하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가치가 학비보다 크다면 학생들은 학비를 지불할 이유가 없어진다. 그들의 사회공헌이 그들이 지불한 비용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오히려 사회가 비용을 지불해 학생들을 교육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교육을 받는 대가가 그들의 사회공헌이 되는 것이다.


If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is produced under the Steemit had enough social value, student would not have to pay tuition. Until now student has paid tuition for their education. But if knowledge and information made by student with steemit were bigger than the tuition, there would be no reason to pay tuition. Because student's social contribution is more bigger than education cost. Rather society has to bear education expenses: student paying tuition as social contribution. 


대학생이라는 집단은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할 충분한 동기와 자율성을 가진 가장 적합한 집단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들에게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할 충분한 환경이 주어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학생들의 학문 탐구는 그에 걸맞은 가치평가를 받지 못했다. 또한 오히려 학생들이 학문을 배우기 위해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하지만 스팀잇은 학생들에게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학문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Being full of motivation and autonomy, Students are most suitable group to cre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before Steemit, students are not given suitable environments to cre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Not only they have been not evaluated appropriately. But also they have had to pay for their education. Steemit might offer platform what we have dreamed.  


Sort: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다만 steemit이 보다 더 대중화되어야 하고 평가방식도 벌어드인 스팀달러보다는 보팅수가 더 적절해 보입니다. 현재의 steemit에서의 보상금액이 큰 글이 무조건 좋은글이 라고 볼수 없기 때문입니다.

Exellent work!

Yes, Hopefully one day the system will change.

사회가 비용을 지불해 학생들을 교육.. 신선합니다....

대학교육과 스팀잇의 연계 신선하네요! 특히나 '학생들이 작성한 과제를 읽지않는 교수와 조교'는 매우 와닿는 부분입니다. 과제 역시 창작물인데.. 스팀잇처럼 평가받고 보상받는 시스템이 적용된다면 좋겠군요.

새로운 방향성이네요!! 스팀잇이 더커져야 할듯싶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8
TRX 0.12
JST 0.032
BTC 61195.86
ETH 3009.46
USDT 1.00
SBD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