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은 복잡적응계(Complex Adaptative System)

in #kr7 years ago (edited)

시장은 '복잡적응계(Complex Adaptative System)'라고 합니다. 다소 어려운 이야기지만 충분히 흥미진진한 이야기입니다.
복잡적응계는 물리적인 규칙이 작동하는 '복잡계'와 시장참가자의 반응이 반영되는 '적응계'의 특징이 결합한 것입니다.
steemit_ianlim.jpg

[복잡계 Complex System]
하나. 창발성이 그 특징이라고 합니다.

창발(創發) 현상은 하위 계층(구성 요소)에는 없는 특성이나 행동이 상위 계층(전체 구조)에서 자발적으로 돌연히 출현하는 현상입니다. 또한 불시에 솟아나는 특성을 창발성(영어: emergent property) 또는 이머전스(영어: emergence)라고도 부릅니다. 자기조직화 현상, 복잡계 과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복잡계창발.jpg

둘. 질서와 무질서가 순환합니다. 그래서 '혼돈 chaos'과 혼동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그러나 '혼돈'은 아닙니다.
어쨋든 규칙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적응계 adaptive system]
세엣. 적응계의 가징 큰 특징은 '공진화 共進化 '입니다. 생물학의 용어로 둘 이상의 종이 서로 영향을 미치며 진화하여 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장에서는 시장참가자가 서로 영향을 미치며 진화되어 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9jYRU8p0Gg.jpg
복잡적응계의 사례: 조류의 군무

  1. 창발 2. 무질서와 질서의 순환 3. 공진화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적응계의 함의는 '돈을 벌 수 있는' 어떤 규칙을 찾아내더라도 금새 무력화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금융과 관련한 시장에서는 단순한 기계적인 대응으로는 포식자의 지위를 오래 누리지 못하는 것입니다. 상대에게 관찰되고 읽히는 순간 피식자로 전락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글을 쓰는 steemit 역시 적응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글을 쓰고 보팅하고 보상받는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서로 관찰하며 서로 진화하는 곳입니다.

전자화폐와 직접 관련한 지식 외에도 이와 비슷한 주제에 지평을 조금 넓혀보시면, 어느 날은 시세와 변동성이 폭주하고 또 어느 날은 잔잔한 바다처럼 미동도 하지않는 시세의 움직임이 조금은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Sort: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꾸벅

유익한글 읽어가며 적응중 인 스팀신입입니다~~
조금 이해하고 갑니다
^^😅

글 공감 감사합니다..

이안님 흥미진진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조금은 이해가 되네요 ^^

고맙습니다..

창발성을 여기에서 보게되어 반갑네요. ^^
좋은 글 감사합니다.

흔히 듣는 말은 아닙니다. 오히려 '이머전스'가 더많이 사용되는 듯요

고생하시게

감사 형님.. 제주 잘 다녀오시어요..

비유력과 필력에 놀라며 잘보고 갑니다.^^

오랫만에 글을썻더만 필력이 많이 부족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4356.37
ETH 3512.48
USDT 1.00
SBD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