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눈에서 본 대장코인들의 개발관련 통계 (1)

in #kr6 years ago (edited)

개발자의 눈에서 본 대장코인들의 개발관련 통계

여느때처럼 제 포스팅은 자극적이진 않습니다..

개발자 입장에서는 가상화폐의 마케팅이나 홈페이지의 유려함보다는 이 코드가 어디서 왔나가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처음부터 코딩을 해서 구축한 코드는 개발자의 강력한 의지 없이는 가능하지않기 때문에, 그만큼 가상화폐도 땀과 노력이 스며들여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스코드를 복사해서 발행량 몇줄만 고친 코드가 개발자의 땀방울이 고대로 느껴지는 코드와 그 의미가 같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알트코인의 목적은 비트코인보다 나은 생태계의 구축도 큰 이유인데, 같다면 사실 의미가 크게 다가오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사실 코드 하나하나를 꼼꼼하게 살펴보면 모두 졸림각이니 대략적으로 해당 코인의 조상이 어디인가? 이 코인은 포크된 것인가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모아봤습니다.

시총이 제일 높은 순(2018.1.4, Billion 기준)입니다.

비트코인 ($255)

이 모든것의 시초. 설명은 생략합니다.

소스 https://github.com/bitcoin/bitcoin
백서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 창조된 코드인가? : YES, (인류역사를 바꾼 창의성 따봉드립니다.)
  • STAR갯수 : 24,011 개
  • 복사해간 개발자 : 13,869 명
  • 코드에 기여한 사람 : 459 명
  • 총 수정된 횟수 : 15,804 커밋
  • 주 언어 : C++ (Java, Python 구현물 존재)

나까모토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어쨌든 이제는 당당히 이름을 밝히고 세상앞에 이름을 밝히고 역사를 장식했으면 좋겠습니다만 뭔가 확실히 밝혀지는게 있는듯 없는듯 그는 외계인이였나요.

리플 ($120)

소스 https://github.com/ripple/rippled
백서 Ripple: Overview and Outlook

  • 창조된 코드인가? : YES (rippled)
  • STAR갯수 : 2,075 개
  • 복사해간 개발자 : 575 명
  • 코드에 기여한 사람 : 57 명
  • 총 수정된 횟수 : 11,560 커밋
  • 주 언어 : C++

이더리움 ($86)

소스 https://github.com/ethereum/go-ethereum
백서 https://github.com/ethereum/wiki/wiki/White-Paper

  • 창조된 코드인가? : YES (go-ethereum)
  • STAR갯수 : 11,009 개
  • 복사해간 개발자 : 3,366 명
  • 코드에 기여한 사람 : 211 명
  • 총 수정된 횟수 : 9,196 커밋
  • 주 언어 : Go (Java, Python 구현물 존재, Solidity언어 창조)

비탈릭의 언행과 행보를 보면, 이미 나카모토가 없는 세계에서의 일인자와 같은 포스와 신선같은 발언, 이더리움은 사실 아름답기까지 한 코드인것같습니다.

비트코인 캐시 ($46)

소스 1 https://github.com/Bitcoin-ABC/bitcoin-abc
소스 2 https://github.com/bitcoinclassic/bitcoinclassic
(https://github.com/Bitcoin-ABC/bitcoin-abc)

  • 창조된 코드인가? : NO
  • 어디로부터 복사되었나? : 비트코인
  • STAR갯수 : 대략 400개
  • 복사해간 개발자 : 무의미
  • 코드에 기여한 사람 : 무의미
  • 총 수정된 횟수 : 무의미
  • 주 언어 : C++

비트메인 채굴풀의 영리적 선택에 따라 나뉘어진 코인이기때문에 코인자체의 코드에 대한 혁신성은 없습니다. 게다가 bitcoin cash라고 정식명칭을 단 코드도 존재하지 않는것으로 보입니다. 정치적인 이유..

에이다 ($27)

소스 https://github.com/input-output-hk/cardano-sl

  • 창조된 코드인가? : YES
  • STAR갯수 : 1,305 개
  • 복사해간 개발자 : 174 명
  • 코드에 기여한 사람 : 50 명
  • 총 수정된 횟수 : 12,714 커밋
  • 주 언어 : Haskell

개발자로써 코드봤을때 인정을 받은 이유가 있긴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깃허브의 Haskell과 Scala의 향연. 이 언어들은 어려워서 웬만해서는 실제 working code로 잘 튀어나오지 않고 공부하려면 머리 깨지는 수가 있습니다. 포크해간 숫자에 비해 스타를 준 개발자가 많다는건, 비록 나는 머리아프기는 싫지만 개발자로써 경외를 표하는 표식일지도..

뉴이코노미무브먼트 ($15)

소스 https://github.com/NemProject/nem.core

  • 창조된 코드인가? : YES
  • STAR갯수 : 179 개
  • 복사해간 개발자 : 51 명
  • 코드에 기여한 사람 : 4 명
  • 총 수정된 횟수 : 671 커밋
  • 주 언어 : Java

전체적으로 레포지토리나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개발자가 많지 않아보이긴합니다.

스텔라 ($13)

소스 https://github.com/stellar/stellar-core

  • 창조된 코드인가? : YES
  • STAR갯수 : 863 개
  • 복사해간 개발자 : 233 명
  • 코드에 기여한 사람 : 36 명
  • 총 수정된 횟수 : 3,772 커밋
  • 주 언어 : C++

트론 ($13)

소스 https://github.com/tronprotocol/java-tron

  • 창조된 코드인가? : YES
  • STAR갯수 : 372 개
  • 복사해간 개발자 : 75 명
  • 코드에 기여한 사람 : 12 명
  • 총 수정된 횟수 : 165 커밋
  • 주 언어 : jAVA

곧 공개를 한다고는 합니다. <- 트론 소스공개 되었습니다.

라이트코인 ($12)

소스 https://github.com/litecoin-project/litecoin

  • 창조된 코드인가? : NO
  • 어디로부터 파생되었나? 비트코인
  • STAR갯수 : 2,512 개
  • 복사해간 개발자 : 약 100명으로 추산
  • 코드에 기여한 사람 : 무의미
  • 총 수정된 횟수 : 69 커밋으로 추산
  • 주 언어 : C++

라이트코인은 대표적인 비트코인의 포크코인이지만, 라이트코인 자체도 다시 재 포크가 되서 다시 개발되고 있다고 소문이 나있습니다. 최근의 개발흔적은 잘 찾아볼수는 없습니다.

아이오타 ($10)

소스 https://github.com/iotaledger/iri (참조구현용)

  • 창조된 코드인가? : YES
  • STAR갯수 : 664 개
  • 복사해간 개발자 : 192 명
  • 코드에 기여한 사람 : 20 명
  • 총 수정된 횟수 : 1,361 커밋
  • 주 언어 : C++

DAG를 이용한 특이한 알고리즘인데, 개발자로써는 나름 다양하게 블록체인을 생각해볼수있는 여지를 남겨주는 코인인것 같기는합니다. 남들 시끄러울때 참 가만히 있기는 합니다.

이렇게 10개의 코인을 살펴봤는데, 다음에는 조금더 간략한 테이블형태로 '스캠'의 가능성이 있는 코드들까지 모두 커버를 해보려 합니다. 알고리즘까지 한번에 모두 살피기에는 힘이 부치니 이작업부터 끝마치고 세세히 살펴봐야할것 같습니다. 시각화도 한번 해봐야겠네요..

Sort:  
@gillime님 안녕하세요. 별이 입니다. @joeuhw님이 이 글을 너무 좋아하셔서, 저에게 홍보를 부탁 하셨습니다. 이 글은 @krguidedog에 의하여 리스팀 되었으며, 가이드독 서포터들로부터 보팅을 받으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이더리움이 좋아요!

유용한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제가 보유하고 있던 종목이 많군요. 어제 많이 오른 트론은 소스가 비공개군요;; 에이다 처음나올때부터 주목받더니 역시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나 보군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오늘 트론 사려다 안샀는데 원칙을 지키길 잘한것같습니다. 비록 떡상 했지만... ㅎㅎ

고맙습니다 재밋게 봤습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역시 비트코인이 개발적으로는 많이 연구되었군요. 플랫폼으로서 현재의 가치가 이해가 되는 것 같습니다. @홍보해

감사합니다.
그런데, 스텔라루멘은 리플을 참고한 코인으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예리한 지적 감사합니다.

스텔라와 리플에 대한 공부는 추후에 하나하나 백서부터 코드까지 자세하게 해보고싶은 부분입니다.

사실 스텔라가 리플을 포크한것으로부터 시작된것과 참고한것은 분명 맞아보이고, 개발자도 분명 머릿속에 들어있는게 같으니 같은게 베이스가 되었겠지만, 다만 현재 버전의 stellar - core는 리플에서 보이는 구조와는 사뭇달라보입니다.

예를들어 보통의 포크해서 조금만 바꾼 코드들은 10000줄이상되는 코드에서 정말 일부만 다르고 구조와 커밋메시지등이 같습니다. 리플과 스텔라는 그 경향에는 벗어나 보입니다. 사실 인터넷에서는 이러한 논쟁이 좀 있는데, 이분께서 이렇게 억울함을 토로하긴 했더군요.

https://mobile.twitter.com/JedMcCaleb/status/933358161783693312
image

그렇군요. 제가 얕게 알고 있었고, 궁금해서 여쭤봤는데 좋은 정보를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라이트코인 요새 시간이 갈수록 실망이 드는 코인입니다

짚어 주신대로 커밋도 잘 없고 말만 무성하지 실체가 비트코인 테스트넷 정도밖에 안되보여서요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71030.89
ETH 3824.06
USDT 1.00
SBD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