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이락사 李落祠 첨망대 瞻望臺

in #kr6 years ago

노량 앞 바다를 지키는 수호신 충무공 이순신을 모신 사당인 '남해 충렬사사적 233호를 답사하고 이어서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왜군의 흉탄에 순국한 후 맨 처음 영구靈柩를 육지에 내렸던 곳에 조성한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사적 232호」을 찾았습니다.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을 이락사李落祠라고도 부르는데 이곳에는 충무공 순국 400주년 기념으로 세운 유언비, 1832년에 건립한 이충무공 유허비와 비각이 소나무 숲 속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락사에서 소나무숲길을 따라 500m를 더 오르면 첨망대瞻望臺가 세워져 있습니다. 그곳에 오르면 노량해전의 전장이 한눈에 보입니다.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을 중심으로 해서 이순신 순국공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이곳에는 호국광장, 관음포광장과 이순신 영상관 등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은 남해12경 중 제5경으로 꼽힐 정도로 풍경이 아름답습니다.

이순신 순국공원 입구,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
이순신 순국공원은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을 중심으로 조성되었습니다

이순신 순국공원 종합안내도,
이순신 순국공원
소재지; 경남 남해군 남해대로 3829 문의전화; 055) 860-3786 864-8023
관람안내: 순국공원 입장료; 3,000원 영상관 입장료; 3,000원전시관람시간 09:00 20:30성수기 09:00 16:30 비수기

사적 제 232호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앞,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순국한 곳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연혁
-
1598년 선조 31 음력 11월 19일, 충무공 이순신 장군 순국
1832년(순조 32), 충무공 8대손 이항권(李恒權)이 제단, 이충무공유허비(홍석주의 글)와 각을 건립
1950년, 남해군민 7,000여명 헌금으로 정원과 참배도로 조성
1965년, 박정희 대통령 친필 '李落祠(이락사)', 大星隕海(대성운해)' 편액 조성
1973년 6월 11일, 사적 史蹟 제 232호로 지정하고 경역 정화
이항권 李恒權, ? 1835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 덕수水. 자 중구 仲久. 순신 舜臣 의 8대손. 중략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낸 1832년에는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의 관음포에 이충무공의 진충보국(盡忠報國)의 뜻을 기리는 사당인 이락사李落 를 유허비와 함께 세웠다. 순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교만하지 않았고 직무 수행에 철저하였으며 항상 부지런하여 모범이 되었다. <출처; 두산백과
홍석주洪奭周, 1774 184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 풍산豊山. 자 성백成伯, 호 연천淵泉. 시호 문간文簡. 할아버지는 영의정 홍낙성 洪樂性, 아버지는 우부승지 홍인모洪仁謨. 약관에 모시毛詩 ·경례經禮·자사子史·육예백가六藝百家의 글을 모두 읽어 일가를 이루었다. 하략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진입 중간 공간,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戰方急 愼勿言娥死 (전방급 신물언아사) 유언비',
戰方急 愼勿言娥死 (전방급 신물언아사) 전쟁이 한창 급하니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
1998년 12월 16일 이충무공 순국 400주년 기념으로 당시 유삼남 해군참모총장의 글씨를 새겼다

若殲斯讐 死亦無憾 약섬사수 사역무감
만약 이 원수를 섬멸할 수 있다면 죽어도 아무런 근심이 없겠나이다
노량해전露梁海戰 1598년(선조 31) 11월 19일 노량 앞바다에서 이순신(李舜臣)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일본 수군과 벌인 마지막 해전. 이 해전을 마지막으로 7년간 계속되었던 조선과 일본의 전쟁은 끝났고, 이순신도 이때 적의 유탄에 맞아 전사했다. 출처; 두산백과

'관음포 이충무공전몰유허'는 2011. 07. 28.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으로 명칭 번경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사진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이충무공 유적 전경, 대성운해 현판이 걸린 비각, 이충무공 유허비, 그리고 첨망대.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南海 觀音浦 李忠武公 遺蹟)
종목; 사적 제 232호 분류; 유적건조물 인물사건 인물기념 순절지 면적; 95,288㎡ 지정일; 1973. 06. 11.
소재지; 경남 남해군 고현면 남해대로 2839 이순신영상관 (차면리 산125번지) | 시대; 조선 | 관리자; 남해군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노량해전으로 더 잘 알려진 임진왜란의 마지막 격전지로 충무공 이순신이 순국한 곳. 선조 31년1598 조선과 명나라의 수군이 도망가는 왜적들을 무찌르다 관음포 앞바다에서 최후의 결전을 벌였다. 이 때 이순신 장군은 적의 탄환에 맞아 최후를 마쳤다. 이에 관음포 앞바다는 이순신이 순국한 바다라는 뜻에서 ‘이락파李落波’라고도 부르며, 마주보는 해안에는 이락사가 있다. 그 후 순조 32년(1832)에 왕명에 따라 제사를 지내는 단과 비, 비각을 세웠다. 1965년 큰 별이 바다에 떨어지다라는 뜻인 ‘대성운해 大星殞海’와 ‘이락사’라는 액자를 경내에 걸었다. 이락사와 관음포 앞바다는 임진왜란의 명장 이순신의 공로와 충의가 담긴 역사의 옛터일 뿐 아니라 전쟁극복의 현장이기도 하다. 출처; 문화재청
관음포이충무공전몰유허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으로 명칭변경 2011.07.28 고시.

불교의 성지 의미가 있는 觀音浦는 '이락포(李落浦)'로도 불림
관음포觀音浦 경남 남해군의 북쪽 고현면 차면리 바닷가에 있는 포구. 일명 이락포 李落浦 로 불리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현 북쪽 21리에 신우 때에 원수 정지가 수군을 거느리고 여기에서 왜적을 섬멸하였다. 왜적이 우리에게 패전하게 된 것은 이 전역 戰役에서 처음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에는 "현에서 북으로 21리에 있다."라고 수록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고현면 포상리 浦上里에 기재되어 있다. 동여 에 처음 수록되며 『1872년지방지도』에도 관음포가 나타난다. 고현면 차면리 소재 이순신장군이 전사한 곳으로 사당과 전시관이 있다. 대동여지도에는 읍치의 북쪽에 녹두산 鹿頭山 의 동쪽에 진·포 지명으로 묘사되어 있다.

관음포라는 지명이 언제부터 붙여졌는지 알 수 없으나 고려사』에 의하면 고려 말 우왕 때 해도원수 정지장군이 관음포에서 왜선 17척을 격침한 대첩을 '남해관음포대첩'이라고 적고 있다. 지명유래는 불성지佛聖地 의 의미가 담겨 있는 관음의 포구였기에 관음포라는 지명이 붙여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출처; 한국지명유래집 경상편 지명, 2011. 12., 국토지리정보원

남해군 고현면에 있는 지정문화재,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천연기념물 152호, 사진; 문화재청)과 정지석탑(鄭地石塔, 경남문화재자료 42호, 사진; 두산백과
리며, 남해대교를 거쳐 육지와 연결. 천연기념물 제152호인 산닥나무 자생지가 대곡리에 있고, 팔꽃나무와 낙엽관목수가 많이 분포.

문화재로는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유허 사적 232 , 정지석탑 경남문화재자료 42, 남해 도요지, 화방사 보광전, 정지장군 승첩석탑, 이낙사 李落祠 , 이충무공 유허비·묘비 도마리 조개무지 都馬里貝塚 등이 있다. <출처 두산백과

이락사 진입로,

참배로 오른쪽에 세워져 있는 '리충무공전적비',

이락사 압,

이락사 일각문과 그 문으로 비각이 보입니다.,

李落祠 이락사 현판

이충무공 유허비와 비각,

비각에 걸려 있는 大星隕海(대성운해) 현판,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친필
'大星隕海 대성운해' 큰 별이 바다에 지다

비각 앞에 세워진 유허비와 한글번역 비문,

이충무공 유허비,
有明 水軍都督 朝鮮國三道統制使 贈 議政府領議政 諡 忠武 李公舜臣 遺墟碑
유명 수군도독 조선국삼도통제사 증 의정부영의정 시 충무 이공순신 유허비

이충무공 유적비, 한글번역판, 원비 1832년 예조판서 홍문관 대제학 홍삭주 짓고, 형조팜서 예문관 제학 이익회 쓰다. 서기 1980년 11월 임창순 역술 배재식 씀.
이익회(李翊會, 1767~1843 조선 후기 문신. 본관 전의 全義 . 자 좌보 左甫, 호 고동 古東. 시호는 문간 文簡 . 병조판서 이제신 李濟臣 의 8대손, 이징하의 증손, 할아버지는 이덕재. 아버지는 이낙배, 어머니는 신청하의 딸. (중략) 글씨에 능하였으며, 작품으로 「삼우당문익점신도비 三憂堂文益漸神道碑 를 썼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성운해 비각,

이락사 진입로,

이락사를 나서면서,

이락사에서 500m 떨어진 산 정상에 세워진 첨망대,
이순신 장군이 순국한 곳을 볼 수 있는 곳에 1991년 건립한 정자

첨망대 안내문,

첨망대,

瞻望臺첨망대 현판,

첨망대 2층 누각에서 바라본 노량해전이 있었던 관음포 앞 바다,

노량해전 안내문,

첨방대 전망

이순신 영상관,
118석의 관람석을 갖춘 국내 최초 돔형 입체영상관,
1598년 11월 19일 임진왜란 최후 전투인 노량해전을 입체영상으로 제작 상영

이순신 영상관 2층 전망,

호국광장에 조성한 이순신 상징조형물,
관음포 앞 바다를 향해 나아가는 판옥선 지휘소에서 수군을 진두지휘하는 이순신 장군을 형상화

관음포 앞 바다와 이순신 영상관,

관음포광장에 조성한 정지공원/대장경공원,
고려말 왜구를 무찌른 4대첩 중 하나인 정지장군의 관음포대첩을 기념하여 조성

사진 왼뽁부터 정지장군갑옷 보물 336, 정지장군예장석물광주기념물 2 , 정지석탑 경남문화재자료 42

정지鄭地, 1347 1391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 나주. 초명은 정준제 鄭准提 . 시호 경렬 景烈 . 순천, 낙안, 영광, 광주, 담양, 남원, 남해 관음포에서 왜적을 대파했고 요동 정벌 때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에 동조했다. 하략 출처; 두산백과

이순신 인물체험공원, 이순신이 이끈 학익진(왼쪽 사진)과 나대용이 건조한 거북선.

리더십체험관 정문인 관음루觀音樓, 이곳은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교육과 전통문화예술 체험장소입니다

관음포 광장에서 바라본 앞 바다, 해당화 열매가 븕었습니다.
관음포 해안에 자리잡고 있는 이순신순국공원은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사적 232호가 있고
이순신 영상관과 호국광장 그리고 관음포광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남해12경 중 제5경으로 꼽힙니다.

2018년 10월 31일수 | 경남 남해군 고현면 남해대로 아순신 순국공원 답사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5
JST 0.029
BTC 62629.89
ETH 2572.37
USDT 1.00
SBD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