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it] 2 "왕초보가이드북 스팀잇"으로 공부하기 : 스팀잇이란?

in #kr7 years ago

2장에는 스팀잇에 대한 개념과 용어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었다.

  • 보팅 -
    보팅은 페이스북으로는 좋아요 네이버 블로그로는 하트와 유사한 개념인데 그냥 좋아요 기능이라고 하기 보다는 투표한다는 개념에 더 어울리는 것 같다. 이 게시물이 좋은 게시물입니다. 라고 투표를 하는 개념!

  • 팔로우 -
    이것도 페이스북이랑 비슷하다. 구독하기라고 해석하면 될 것 같은데 팔로우 한 대상의 게시물이 내 필드에 나타난다. 나도 이 개념을 이해하고 나서는 팔로우한 사람들 블로그에 들어가보고 조금 정리하였다. 내 필드는 소중하니까.

  • 팔로워-
    팔로워는 팔로우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어려울 것 없는 개념

  • 태그 -
    인스타, 블로그처럼 내 게시물이 검색되게 만드는 키워드인데, 블로그는 10개까지 되는데 스팀잇은 5개 뿐이고 영어로만 된다.ㅠ
    kr : 한국 커뮤니티
    kr-join : 처음 가입 인사
    kr-newbie : 명성도 55이하 분들이 사용하는 초보자 키워드-> 명성도는 아이디 옆에 괄호 안에 있는 숫자였다.. 난 처음에 나이인줄 알고 개인정보 뜨냐고 식겁했다... ㅠㅠ 이걸 잘 관리해주어야 하는건데 간혹 -1인 사람들이 광고용 댓글을 다는 것을 보았다. 마이너스 개념도 있으니 유의해서 관리하여야 할듯!
    kr-event : 말그대로 이벤트하는거..
    이외에도 kr-life, kr-steemit 등등 많은 키워드가 있더라 얼마전에 친절한 분이 kr-music이랑 norae를 알려주셔서 지금 애용 중!

  • 리스팀 -
    리트윗이라고 이해하니까 쉽더라, 이 걸하면 내 필드에서도 볼 수 있어서 유용한 정보나 다시 보고 싶은 정보들을 리스팀 해 두면 좋을 것 같다.

  • 보팅 방법 -
    30분을 전후로 보팅에 대한 상대값이 달라진다고 한다. 게시물을 업로드하고 30분 이후에 보팅하면 게시물 저자가 75% 보팅한 큐레이터가 25%가져간다고 한다.
    지갑을 눌러보면 두가지 개념이 새로 등장하는데 저자와 큐레이터가 나눠져 있는 것이 이런 차이였나 보다.

오늘의 개념정리 끝!

Coin Marketplace

STEEM 0.08
TRX 0.29
JST 0.035
BTC 107852.62
ETH 3744.44
USDT 1.00
SBD 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