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금리]한국의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의 딜레마

in #kr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요즘 최저임금 인상을 핑계로 폭등하는 물가와 금리의 관계 및 그 이외의 딜레마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 물가와 금리의 상관 관계

기본적으로 금리를 올리면 물가가 낮아지고, 금리가 내리면 물가가 오릅니다.

금리를 낮추면 돈을 저축하려는 사람들 보다는 대출 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죠

시중에 도는 돈의 절대값의 증가로 인하여 물가가 오르죠

반대로 금리를 높이면 이자 부담 때문에 대출은 줄어들고 이자를 얻기 위해 저축하려는 사람이 늘어납니다.

그러면 시중에 도는 돈의 절대값이 줄어드니 물가가 잡히는 순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폭등하는 물가

ScreenHunter_17.jpg

통계청의 물가 상승률 입니다.

실질 체감 물가 상승률과 많은 차이가 있지만 작년 2월 대비 1.4%

저번달 대비 0.8% 라는 살인적인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 사태

ScreenHunter_18.jpg

올해 미국은 3~4차례 금리 인상을 예고했습니다.

경기 회복에 따른 물가 상승 압박 때문인데요

미국은 현재 완전 고용 상태에 접어들었고 그에 따라 물건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

물가 인상 압박을 받고 금리를 서서히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표를 보면 아시겠지만 작년 부터 수차례 금리를 인상 해왔고

한국은 금리 역전만 이뤄지지 않게 금리를 조절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본적으로 위험한 나라가 금리가 높습니다.

금리만 보자면 한국이 미국보다 안전한 나라라는 것이죠.

읽는 분도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시죠?

그러니까 안전하면서도 이자가 쎈 해외로 자금 이탈이 가속화 될 것입니다.

  • 감당 할 수 없는 가계부채

ScreenHunter_19.jpg

가계 부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빚을 질 때 금리가 낮은 나라에서는 이자가 가장 낮은 시중 금리로 빚을 집니다.

고정 금리는 시중 금리에 비해 이자율이 높거든요

더 중요한 항목은 가계부채 증가율보다 처분 가능 소득 대비 부채 증가율 입니다.

쉽게 소득 대비 부채 증가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00까지가 소득으로

상환이 가능한 수치이고 그 이상이 부채라고 보세요

꾸준히 증가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터지기 직전입니다 소득의 절반 이상을 잠식해버렸어요

자 그럼 일반적인 여러분들이 대출을 받을 때 무엇을 담보로 받나요?

대부분은 부동산이죠?

여기서 딜레마는 시작됩니다.

  • 정부의 딜레마

물가 상승 및 하락에 따른 제어는 정부가 주체적으로 하는 부분이고

최저임금 인상을 이유로 수 많은 업체들이 가격을 올려서 실질적인 물가 상승률은 어마어마합니다.

그렇다고 금리를 올리면 시중 금리로 대출 받은 사람들이 담보 잡힌게 부동산입니다.

현재 소득 대비 부채 증가율이 155%에 육박하는데 여기서 금리를 끌어 올려서

가계 부채 비율을 증가시킨다..?

생각만 해도 끔찍합니다 상환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의 담보로 내준 부동산을 뺏기고

사람들은 길바닥이나 한강으로 가겠죠

그렇다고 살인적인 물가 상승률을 모른 척 할 수도 없습니다

물가 상승률을 모르는 척 하려니 젊은 세대 위주로 난리입니다

밥 한끼 편하게 먹기가 힘들다고요..

요즘 안 오른게 있나요? 월급 말고요

필자도 편의점 도시락을 자주 사먹는데 가격이 5%이내로 올랐더라고요

그렇다고 저금리를 유지하자니 미국보다 금리가 낮아서 해외자본이 빠져나갑니다

엄청난 딜레마에 빠지는거죠

정부가 어떤 방향을 취하던 간에 그 시기는 6월 선거 이후라고 생각되고

그 방향성의 반대 포지션에 있는 사람들의 쇼크를 막을 수 있는 단기 대책 또한 필요하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짤 하나를 올리고 마치겠습니다.

ScreenHunter_20.jpg

베네수엘라 바나나 1개 가격입니다 원유,금등이 나오는 자원 부국으로 한때는 그 어떤 나라보다 잘 살았지만

지금은 바나나 1개도 사먹기 힘든.. 슬픈 얘기지만 머지 않은 미래에 저희 모습일 수도 있겠네요

그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ort:  

잘봣읍니다 선생님

선생님 아니에요 계정 해킹 당했었네용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정부도 매우 어려운 상황이네요.. 미국이 올 해 0.75 정도는 올리겠다고 하니 올리지 않을 수도 없고 참 막막하네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가 이와 유사한 상황에 직면하는 것 같습니다. 역시 캐나다도 걱정이 태산입니다. 팔로우 보팅합니다.

계정이 해킹 당해서 댓글이 늦었네요 죄송합니다 ㅠㅠ
정부 입장에서도 엄청 고민 되겠죠 최근 기사 보니까 금리 인상을 주제로 갑론을박을 계속 하고 있는거 보면요.. 한미 역금리는 안고 갈 수 있을리가 없으니 조만간 금리 인상 할거라고 봅니다.
오늘 새벽 미국연준 금리 인상에서 0.25%의 예상과 달리 0.5%정도 금리를 올리면 한국경제에도
거대한 쇼크가 올거라고 생각됩니다!
좋은 하루되셔요!

Coin Marketplace

STEEM 0.23
TRX 0.12
JST 0.029
BTC 66756.40
ETH 3468.50
USDT 1.00
SBD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