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한국의 저출산은 위기가 아니다.

in #kr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저출산이 위기다 왜 위기인지 이런 글들은 많이 보셨죠?

저는 그래서 저출산에 관한 글을 다른 관점으로 써보려고 합니다

  • 출산율 추이

ScreenHunter_16.jpg

표의 출산율은 2016년까지 집계되어 있으며 2017년 기준 1.05명으로 집계 되었습니다.

젊은 세대의 지위 불안정, 사회적 모순, 빈부격차 등의 수많은 이유로 인하여

국내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다른 시점에서의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술 및 산업의 발전으로 인한 필요 인력의 축소

ScreenHunter_17.jpg

(a) 인력을 대신하여 LCD, 반도체등 산업 현장에서 인력을 대신하여 사용 되는 자동화 로봇 장비

ScreenHunter_19.jpg

( b ) Amazon 의 인력이 축소 되어진 무인 마트의 모습

기술 및 산업의 발전은 항상 필요 인력 감소라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현재 4차 산업혁명이 진행중이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인공지능! 즉 무인화 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위 사진의 2가지의 사례를 가져 왔습니다.

( a )

과거 산업 현장에서는 다수의 인력을 고용하여 분업을 통해 제품을 생산 하였습니다.

이러한 분업은 당시에는 효율적이긴 하였으나 일의 공정이 너무 길게 늘어났고

공정의 길이로 인하여 Tact time(제품 하나의 생산 시간)이 길어졌고

인건비가 대두 되었으며 인간의 실수 및 불완전한 상태로 인하여

제품의 수율(정상적인 제품 생산율)이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 왔으며

또한 너무 미세하거나 너무 거대하여 인간이 할 수 없는 일을 해줄 효율적인 무엇을 필요로 하였습니다

그에 따라 산업용 로봇이 출시되고 발전 되었습니다.

( b )

현재 저희가 다니는 백화점에는 수많은 종업원들이 각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자 자기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계십니다.

하지만 amazon의 무인 마켓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모든 결제는 amazon과 연동되어진 폰으로 결제가 됩니다.

장을 보고 결제를 줄서서 기다리던 모습 또한 이곳에선 볼 수 없는 풍경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진열하는 직원, 경비 직원, 푸드코트의 요리사들을 제외하면 인력이 필요 없어지게 되는거죠

  • 정리

저출산 자체는 현재 젊은 사람들이 불행하다는 증거 중 하나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그러나 저출산이 과연 위기인가? 라는 질문의 답은 그렇다 라고 말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위의 사례와 같이 기술의 발전은 시장에서 필요 인력의 축소를 가져올 것이고

그에 따라 저출산은 큰 문제가 아닌 당연한 사회적 흐름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ort:  

취업난 . 일자리를 늘이려면 로봇을 버려야겠군여
18세기에도 노동자들이 기계를 부순 적이 있었죠ㆍ 자동화가 저출산 감소를 앞지르면 여전히
취업 어렵겠네요
ㅠㅠ

정치인을 잘뽑아서
예술이나 하면서도 살수있게 되면 좋겠네요
어떤분은 ㅡ스팀잇이 대안이라고ㅎㅇ

기술을 버릴 수는 없죠 ㅋㅋㅋㅋ

유럽쪽 보면 대다수가 행복하려면 결국 나라의 인구가 적당히 적어야 되더라고요 ㅠ ㅠ;

정치는 좀... 국회의원 분들이 잘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고맙습니다^^

저출산 .. 정말 전 큰일이라고바라보거든요..
고령화사회로만되는...
다른견해로도생각하시니 재미있네요ㅎㅎ

기술의 발전은 항상 인간의 일자리를 줄여왔으니까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68648.42
ETH 3813.42
USDT 1.00
SBD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