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강국을 자문한 손정의와 국내의 인공지능 연구 동향

in #kr6 years ago

좌파 정권이 들어서서 탈원전해서 원자력 말아먹고 중국제 태양광해서 국토오염의 선봉에 서질 않나 누가 자문하는지 손대는 건마다 말아먹다가 간만에 제대로 된 권고가 나왔군요. 그것도 우리나라를 방문한 손정의가!

이미 이웃나라 일본만해도 이미 한해 전에 학과 전공을 막론하고 거의 전체 대학교과 과정의 30% 선에서 인공지능 내지는 머신 러닝 교유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비뀌었으며 중국은 한술 더 떠서 고등학교 교과에 이미 반영을 한 실적이 있습니다.

올 초만 해도 서울대에서 인공지능 전문 교수를 초빙하려 미국을 한 바퀴 돌았지만 우리나라 교수 봉급 체계로는 데려 올 수 있는 사람이 없어 포기해다는 조선일보 기사가 있었죠. 한마디로 얘기해서 정귝 스카이대학교육을 통해 인공지능 교육을 국내에서는 받을 수 없다는 것이 결론입니다. 국내 대학의 구조상 교수는 자신의 전공분야가 있기 때문에 다른 분야로 절대로 넘어갈 수가 없는 구조죠. 뽑을 때 해당 분야 전문 인력을 뽑아야 하죠.

그렇다고 우리나라가 인공지능분야와 담을 쌓지는 않았다고 보이는데 극소수의 전문가가 있어 활약을 해온 사례가 있습니다.

위키피디아에 이미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분야에서 LSTM 과 아울러 상당히 알려진 GRU 알고리듬에 관한 국내 서울대(?) 교수님에 의한 업적이 등재 되어 있군요. 필자도 이 분야 자료를 참고해본 바에 의하면 머신 러닝 분야에서 가장 이해하기 힘든 알고리듬이 LSTM 과 GRU 였습니다.

noname01.png

최근에 리뷰해본 Sung Kim의 유튜브에서 Sentence 분석을 위해 CNN을 응용한 뛰어난 구내분의 사례를 소개하였습니다. 괜찮은 뛰어난 알고리듬 연구인 듯 합니다.

noname02.png

그밖에도 좀 전에 언급했던 Sung Kim 교수도 그의 유튜브 머신 러닝 강의 들어 보면 대단히 뛰어난 분이란 생각이 드는군요. Sung Kim 으로 검색하면 됩니다.

noname03.png

정부의 제대로 된 지원이 거의 없어도 인공 지능 분야 알아서 들 잘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문제는 정부가 나서서 방해내지는 내부 총질을 절대 하지 말았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인공지능 분야란 것이 정부에서 염병 떤다고 되는 분야가 아니기 때문이겠죠.

Sort:  

초반에 태양광 갔다가 원전 이야기 하다 인공지능은 좀 뜬금없네요. 태양광은 전임정부 때 풀었다가 올해부터 다시 규제가 들어갔습니다. 현재 태양광 사업은 이미 계약한 것들만 진행중입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분야는 초창기인 8-9년전부터 투자했어야 했으나, 그나마 늦게나마 정부가 전면적 우선 정책으로 해서 다행이죠.

Hi friend steem.

Voting Power has voted for and resteem your posts.
Always love support for Voting Power.

예, 내가 정부 요로에 잘 얘기해 볼게요. ^-^

Posted using Partiko Android

Coin Marketplace

STEEM 0.10
TRX 0.32
JST 0.033
BTC 111347.20
ETH 4079.14
USDT 1.00
SBD 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