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 기본소득 봇이 얼추 작동하는듯 합니다. 의견 구합니다!

in #kr7 years ago

여기서 얼추는 버그가 있을 수도 있다는 의미인데요..ㅎ 아무튼 이런 어설픔을 뒤로하고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을 준비해야 합니다.

가장 큰 이슈는 대상을 어떻게 정할지입니다. 제가 지금 생각하는건 누구나 인정하는 몇몇분을 선정해서 그분들에게 권한을 드리는건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여쭙습니다. 한 가지 확실한건 제가 혼자 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부족합니다 ㅠㅠ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clayop 님이 후원하셨던 서울스팀파크가 마지막 행사만을 앞두고 있습니다. 디지털화폐 스팀이 세상에 드러나는 순간인 스팀파크오픈식에 정중히 초대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 참조부탁드립니다~!
https://steemit.com/seoulsteempark/@successtrainer/invitation-seoul-steem-park
1510541773340.jpeg

미국 거주하시지 않나요

기본소득봇의 대상을 정하는게 문제가 된다면
우선 7일기준으로 신청자를 받아보면 어떨까요?
기본적으로 신청자를 받아서 보팅을 지원하도록 하고
나중에 추가적으로 인원을 신청받으면 어떨까 합니다.

아직 기본소득봇을 모르는 가입인사를 쓴 뉴비들같은 경우는
댓글과 함께 기본소득 봇에 대해서 알려주면서
따로 추가를 해주는 방식으로 진행하고요

물론 새로운 뉴비들에 대한 리스트 포함과 댓글에 대한
관리자같은 경우는 필요할거같긴 합니다.

우선 뉴비 대상으로 큐레이터 활동을 하고 있으니 기본소득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일은 제가 도움이 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 큐레이팅 권한이 아닌 화이트 리스트로 관리하신다면요!

저도 이부분 정말 꼭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어요. 정말 열심히 하시는 분들한테 꼭 필요한 보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리스팀해도 보상액이 낮은 걸 보면서 제 힘으로는 어림도 없다는 생각에 조금 속상하긴 했거든요. 단 처음 말씀 하셨던 것처럼 200sp는 너무 낮은 기준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준을 좀 더 높여서 500sp이상, 포스팅(댓글 포함) 1000개 이상, 팔로잉 100이상 정도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정도는 되어야지 기본소득을 받기위해 열정을 스티밋에 쏟아 부을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고 그에 합당한 보상이 될 것 같아요. 물론 기본소득을 받는 분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계속 되고 업데이트가 되어야 될 것 같아요. 새로 그 기준에 도달 하는 사람이 새롭게 풀에 포함하려면 기본소득에서 졸업하는 사람도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기본소득에서 졸업하는 사람들은 어느정도 인지도가 생겨 독립적으로 스티밋 활동이 가능한 평판 60이하 정도로 하는 룰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여타 다른 분들만큼의 고민을 하지 않아서인지 옵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바로 남길 수가 없네요. 공부 좀 하고 다시와서 의견 올리겠습니다. ㅎ

기본소득 봇도 생기나보군요 ㅎㅎ
확실히 신규유저 및 플랑크톤 유저 이탈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Congratulations @clayop!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number of comments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By upvoting this notification, you can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how here!

Loading...

잘 모르지만 저도 생각을 내보겠습니다. 현실에서 복지정책에선 대개 선별복지와 보편복지의 두 견해가 있더군요. 대개 선별복지는 부자보다는 가난한 사람에게 좀 더 혜택을 주자는 것이란 측면에서 매우 상식적인 이야기지만, 최근에 보편복지가 더 설득력을 얻는것은 실질적으로 혜택을 주는 과정에 있어서 선별작업자체에 비용이 너무 소비된다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 아니겠습니까. 어차피 같은 10달러를 주더라도, 자본가와 노동자에게 그 체감은 많이 다를테니까 말입니다.

또 하나는 세수에 있어서도 어차피 소득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니까, 똑같이 10%를 걷어도, 10달러 버는 이에게는 1달러가 걷히지만, 1000달러 버는 이에게는 100달러가 걷히니까 굳이 비용을 들여서 조사하고 관리하는데 비용을 쓰는 것 보다는 한가지 기준으로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어떤 면에선 낫겠지요.

다른 부작용들은 생겨나면, 그 때가서 하나씩 해결해 나가면 되고, 이론상의 장단점들은 실제로는 예상과 다르게 작용할 수도 있으니 지금 단계에선 우선 선별과정을 최소화 하고 시범으로라도 빨리 우선 시행해 보는 것이 오히려 임상실험의 효과까지도 가능케 한다고 보여집니다. 잘 모르면서 너무 나섰습니다 ㅜㅜ 항상 수고해주시는 @clayop님의 노고에 늘 감사드립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5
JST 0.029
BTC 63630.04
ETH 2656.44
USDT 1.00
SBD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