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혁명에 대한 의견 }4차 혁명과 자율 직업 프로젝트

in #kr7 years ago (edited)

저는 경영학과에 다니는 학생입니다. 저번 학기 저는 제 4차혁명에 관한 소논문을 작성한 적이 있습니다. 그 내용의 중심은 4차 혁명에서 직업구조는 어떻게 바뀔 것이며 그로인해 우리는 기초 소득이 필요할까였습니다. 기초소득부터 얘기하자면 이야기가 길기 때문에 가볍게 직업에 관해서 얘기하고 싶습니다. 우리의 직업은 어떻게 될까요?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제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여 올려봅니다.

블록체인(여기서 블록체인은 BLOCKLANCER)은 직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


바로 전 게시물에서 BLOCKLANCER라는 블록체인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이것은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일을 배분하고 이것에 대해 적은 수수료를 때는 시스템입니다. 어떻게 보면 헤드헌터의 역할을 블록체인이 진행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비정규직이 상대적으로 매우 많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규직이 되는 것이 오히려 좋지 않도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상법에 의해 피고용 될 때 다른 사업주에 다시 고용될 수 없습니다. 하나에 속박되어 월급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나중에 결국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을 더 원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될까요?


우리는 아마도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한국은 정규직이 안정적이다는 특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보다 정규직을 더 대우해줍니다. 우리는 이러한 문화를 바꾸기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생각해 봤을 때 블록체인은 한국에 국한되어 있는 서비스가 아닙니다. 그렇기에 어떠한 일에 대한 평균 임금은 그 블록체인 내에서 일정하게 될것이고 비정규직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도 바뀌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저는 앞으로 우리는 이러한 직업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하나의 일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강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노력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Blacklance에 대한 것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 https://blocklancer.net/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글이 맘에 드셨다면 팔로우와 보팅 부탁드립니당~

Sort:  

블록랜스. 취지는 참 좋은 것 같은데... 과연 기존 중앙집중화 포털을 이겨낼 수 있을지가 관건인 것 같습니다.

실제 외국의 경우 비정규직의 급여가 더 많죠.. 우리나라도 그렇게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callihappiness have a happy journey here
i just upvoted your post and following you. you can follow
me at @zeeshankhan .i hope you will follow me back

Coin Marketplace

STEEM 0.18
TRX 0.11
JST 0.027
BTC 65626.89
ETH 3449.47
USDT 1.00
SBD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