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떡락...? 아니, 저자보상으로만 SP를 모을 수 있는 기회!

in #kr7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들어왔으나 지구 내핵을 뚫을 기세로 하락 중인 스팀을 보고 온 힘이 빠져버린 @c1h입니다. 마음의 저지선이었던 3000원대가 뚫렸더군요...어차피 출금한 계획이 전혀 없지만 괜스레 힘이 빠지네요 ㅋㅋ다시 존버정신 탑재할 시기인가 봅니다!!

그런데 이런 시기가 오히려 기회가 된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글 하나에 같은 보팅이 찍혀도 지금 이럴 때 더 많은 SP가 보상으로 들어오기 때문이죠.

일단 간단히 비교먼저 해 보겠습니다.

작년 12월 즘 모든 암호화폐와 더불어 스팀이 최고 전성기일때!!

Screen Shot 2018-03-08 at 10.09.10 PM.png

자세히 보면 SP보상과 SBD보상의 차이가 거의 7배~9배까지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스팀값이 떡락 상태인 최근의 보상은...?!

Screen Shot 2018-03-11 at 11.17.00 PM.png

2.1SBD가 저자보상으로 들어올 때 약 0.7SP가 들어왔습니다.

약 3배가량의 차이가 나죠.

눈치 채신 분들도 있겠지만, 저 보상구조의 원리는 스팀 가격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한창 대세일 때는 스팀값이 약 7~9달러 정도였고, 약 이틀 전의 스팀의 가격은 3달러대였습니다.

이는 feed_price라는 개념때문에 그렇습니다.

글을 쓰고 저자 보상으로 들어오는 스팀파워는 아래의 개념에 따라 정해집니다.

스팀달러/feed_price = 저자보상 SP

이 이유는 스팀달러가 US 달러에 1대 1로 고정된 가치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스팀의 시세가 2라면 feed_price도 2 근처에 형성될 것입니다. 그래야 50대 50으로 같은 가치를 보상받게 되는 것이죠.
스팀달러는 항상 1달러이니, 2달러인 스팀의 가치와 맞추기 위해 저렇게 설정해 둔것입니다.
개발자들이 만들 때부터 그렇게 설계를 해 두었습니다.

(거래소에서 그 이상의 가치로 거래되는 것은 수요와 공급 때문입니다. 스팀의 가치가 떨어질 때를 대비하여 고정시켜 놓은 것인데, 가격이 그 이상으로 오를 것은 예상치 못했나 봅니다. 이와 관련하여 스팀달러는 잘못 설계되었다는 견해가 있긴 합니다.)

steemd.com에서 찾아본 피드 프라이스와 업비트에서의 스팀의 가격을 비교해보면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creen Shot 2018-03-11 at 11.46.55 PM.png

Screen Shot 2018-03-11 at 11.47.02 PM.png

저 feed_price는 스팀 증인들이 설정한다고 들었습니다. 시세와 비슷하게 따라가지만 즉각적으로 반영되진 않습니다. (이렇게 두루뭉실하게 알고 있어서 죄송합니다 ㅜㅠ 정확한 계산 원리와 변동 시간대는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튼 한창 스팀이 고공행진을 할 때엔 순전히 저자보상 SP로는 충분한 스팀파워를 모을 수 없었습니다. 거의 항상 소숫점 자리로 SP가 들어오니까...티끌모아 티끌이었습니다. 그래서 스팀달러를 팔아서 파워업 하곤 했죠.

그런데 지금은 보팅 받는 내역만으로도 스파를 모을 수 있으리라 봅니다. 적어도 스달 모으는 속도 만큼으로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몇 없는 기회라고 생각됩니다.

위기를 기회로 삼으란 말이 떠오르네요.

작년 여름에 스팀잇을 처음 시작했지만....그만뒀다가 올해 초에 다시 시작한 사람으로서 하는 후회입니다 ㅠ

그 때 글을 계속 써 왔다면, 스팀파워와 스팀달러도 꽤 모았을테고

적어도 어른 플랑크톤 정도는 되었을텐데 말이죠 ㅋㅋㅋ

여튼 하락장에도 멘탈관리 하면서 성장하자는 것이 취지였습니다. 감사합니다.

Sort:  

하지만 스팀이 떨어지면 보상액 자체가 줄어들죠..크흑ㅠㅠ
정확히 계산은 안해봤지만 결국 스파 보상도 줄고 거기에 스달보상까지 줄기때문에 역시 스팀이 올라야 보상이 느는거같아요. 스파건 스달이건..

아 물론 맞는 말씀입니다. 가격하락으로 인해 보팅금액이 쪼그라들죠 ㅠ

그래서 더욱 롱런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스팀이 다시 오를 것이라는 희망 아래..지금 글 써서 많이 모아두는게 훨씬 이득이라는 점을 말하고 싶었습니다 ㅎㅎ

네 저도 그런점은 동의하지만..글 내용이 마치 스팀 가격이 떨어지면 스팀을 더 많이 받는다라는 것처럼 보여서 정확한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말씀드렸습니다. 보팅금액..이미 보팅 받은 글의 보상도 줄어듭니다.

아 지적 감사합니다. 앞으론 좀 더 주의해서 써야겠습니다 ㅠ
아무래도 체감상 들어오는 양은 하락장에서 더 많아보여서 편향된 글을 쓴 듯합니다;

헙 보기만 해두 복잡하네용 ㅠㅠ 어렵습니당 ㅠㅠ

금방 알게 될 것이에요 ㅋㅋ
오히려 공부하다 보면 더 재미있기만 한 걸요!

뉴비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글입니다 ㅎㅎ 보팅 및 팔로우하고 가요 :)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 많이 올릴게요~

궁금했던 내용이었는데 이제 이해가 됐네요.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주는 스팀잇이군요! ^^

정말 잘 설계된 구조라고 생각합니다.
원동력 잃지 않고 꾸준히 하시길 바랍니다! ㅎㅎ

좋은 글 읽었어요!
뉴비에게 도움이되는군요~
보팅드려요.맞팔~

도움되었다니 감사합니다.
시간 날 때 한 번 들릴게요~

전혀 몰랐던 부분이었어요. 보상액이 같아도 그 안에서 스달 스파 보상 비율이 저렇게까지 차이가 날 수도 있었던 거군요.. 덕분에 오늘도 이렇게 스팀잇에 대한 지식이 +1 되어 갑니다 ㅎㅎㅎ
해리스톤님 안정적인 멘탈 관리를 기원드리며...
좋은 밤 되셔요! ^^*

사실 몰라도 상관없긴 해요^^; 사사건건 계산하다보면 오히려 머리아플 때도 있답니다ㅎ
그래도 이왕하는거 알고 넘어가자 싶어서요! ㅋ
도움되었다니 저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feed price 개념이랑 SBD/FP = SP 인건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니까.. 리스팀이닷!

검색 기능만 괜찮다면 계속 안 써도 될텐데...그게 좋지 않으니 신규 유입자에겐 계속 새로운 정보를 노출시켜야 할듯 ㅠ ㅋㅋㅋ홍보 감사!

@홍보해

@c1h님 안녕하세요. 개부장 입니다. @minhoo님이 이 글을 너무 좋아하셔서, 저에게 홍보를 부탁 하셨습니다. 이 글은 @krguidedog에 의하여 리스팀 되었으며, 가이드독 서포터들로부터 보팅을 받으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ㅎㅎ 뉴비에게 좋은정보네요 :)

스팀잇 롱런 하시길 기원합니다 ㅎㅎ

Coin Marketplace

STEEM 0.15
TRX 0.25
JST 0.031
BTC 84929.88
ETH 1605.44
USDT 1.00
SBD 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