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인상 여파 외 (뉴스클리핑 20180304)

in #kr6 years ago (edited)

이미지_026.png

최저임금 인상 여파 외 (뉴스클리핑 20180304)

뉴스링크

애슐리, 손님이 직접 접시 치운다..최저임금 인상 여파
최저임금발 도미노 가격 인상…외식·식품·생필품으로 확산
최저임금 인상에 근로시간 단축…산업계 ‘무인화’ 속도
근로시간 단축 비용 70% 中企에 집중…최저임금 이어 '충격'
최저임금 상승에 추락하는 편의점주…바닥은 어디
무인결제 도입 급증...인건비 때문에..
주 52시간 근로시대③ 들뜬 레저·유통 업계…주5일제 효과 재연될까
68시간=>52시간 단축 수혜는 레저株…피해주는?

단상

최저임금 인상 여파에 대한 기사들이 많이 쏟아지고 있다. 좋은 취지임에도 불구하고 막상 제도가 시행되고나니 가장 어려운 환경에 놓여진 사람들의 타격이 큰 것 같아서 마음이 좋지 않다. 없는 형편으로 편의점 알바를 병행하며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이나, 가장 노릇을 하며 김밥집에서 일하시는 아주머니들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 편의점이나 패스트푸드 점의 알바생들은 키오스크가 그 자리를 대체하고, 김밥맛집도 2천만원 짜리 김밥 써는 기계를 들여서 아주머니 인력을 절반으로 줄인다고 한다. 그 사람들의 생계는 누가 책임져야 하는건가. 그렇다고 점주를 비난하기에는 그들 입장에서도 최저임금 인상으로 마진이 나오지 않는 상황이니 봉사활동 하는것도 아니고 그 인건비를 다 지불하면서 본인은 파산할수는 없는 노릇이다. 속도조절이 필요한 부분 아닐까 하는 생각이든다.

근로시간 단축은 내 입장에서는 정말 좋은 이슈다. 늘어지는 퇴근시간을 앞당겨 저녁의 여가시간을 조금 더 많이 줄테니 내 삶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준다. 여유있게 내일 주식시장도 준비하고 코인 트레이딩할 수 있는 시간도 늘어나겠지. 정말 감사할 따름이다. 여타 OECD 국가들과 비교하여도 한국의 지나치게 높은 근로시간은 언젠가는 해결했어야 하는 문제였는데, 지금이라도 전향적으로 정부에서 밀어부치고 있다는게 참으로 다행이라는 생각이다. 다만 공장을 운영하는 제조업체들 입장에서 생산성 하락과 비용증가의 악영향은 피할 수 없어보인다. 특히나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현재 완성차 시황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을 더하여 삼중고에 시달릴 수 있을 듯 하다.

관련주

[LONG]
여가시간이 늘어나면 사람들이 무엇을 할까. 콘텐츠를 소비하고 여행을 가고, 맛있는걸 먹고 사람들을 만나겠지. 여행주와 컨텐츠 관련주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모두투어나 하나투어 같은 아이들은 이미 선반영되어 시세를 많이 주었다. 제이콘텐트리와 스튜디오드래곤의 흐름도 좋기는 한데, 이 이슈만으로 상승한다고는 볼 수 없을것 같다. 넷플릭스가 한국 컨텐츠들을 사들이는 규모가 하루거 멀다하고 커져가는것 같은데, 이 부분에 대한 기대감의 반영이라고 생각된다.

여행/레져 : 하나투어, 모두투어, 삼천리자전거, 참좋은레져
컨텐츠 : 제이콘텐트리, 스튜디오드래곤, NEW, CJ CGV, CJ E&M

키오스크와 스마트팩토리 관련주도 보아야한다. 어차피 성장할 산업이었지만 최저 임금상승이 해당 기업들의 수익성을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될것으로 보인다.

키오스크 : 케이씨티, 케이씨에스, 에임하이, 한국전자금융, 푸른기술, 한네트
스마트팩토리 : 유진로봇, 로보스타, 디에스티로봇, 알에스오토메이션, TPC

[SHORT]
모든 완성차 부품 벤더들(스마트카, 전기 및 수소차 테마 제외)

Sort:  

명확한 장단점이 있는 것 같네요.

3월의 시작을 아름답게 보내세요^^
@clayop님이 지원하시는 스팀마노에 관심을 가져보세요^^
https://steemit.com/steemmano/@steemmano/5abbhz 안내
https://steemit.com/steemmano/@steemmano/2018-3 신청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4275.63
ETH 3502.79
USDT 1.00
SBD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