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얻는 개인정보, 어디까지 저장해야 할까?

in #kr6 years ago (edited)

단순한 친목형 커뮤니티들 가운데에도 개인정보 입력을 강요하는 사이트들이 있다. 예전에는 주민등록번호 입력까지 강요했다. 지금 사이트 하나를 만들고 있는데, SNS 로그인 기능을 넣는 중이다. SNS 로그인을 하면, 몇 가지 개인정보들이 서버로 넘어온다.

고민이라는 걸 해보자.

어디까지 저장해 놓아야 할지. 지금 당장은 안쓰더라도 차후에 기능을 확장할 때 회원들에게 일일이 다시 받아 낼 수도 없는 노릇이니.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는 이런 고민없이 그냥 몽땅 다 저장해 놓는 방법을 택하겠지만.

SNS로그인을 하면 서버에서 내 웹사이트로 식별ID, 이메일, 생일, 소개 사진, 홈피 주소, 이름, 연령대, 그리고 성별 등의 정보를 넘겨 준다. 카카오는 이메일주소를 넘겨주질 않는다. - 그래서 SNS 로그인에 카카오가 빠진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만약 SNS로그인을 하는데 카카오가 없다면? 해당 웹서비스는 이메일을 서버에 저장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기계가 해주는 생일축하 따위를 고마워하는 사람이 있을까? 회원들에게 생일 때마다 축하 메일 같은 걸 보내주는 것 외에는 생일 같은 정보를 서버에 저장해 놓아야 할 이유가 없다. 홈페이지 주소도 마찬가지. 관리자가 스토커가 아닌 이상, 회원 홈피를 뒤질 이유가 없다. 그런대도 넘겨주는 정보니까 필드에 일단 저장해 놓는다.

대부분의 커뮤니티는 암만 봐도 식별 ID, 닉네임, 소개 사진, 딱 이 세 정보만 받으면 될 텐데, 왜 개인정보 수집 동의 같은 걸 악착같이 받아내는 걸까?

팔아먹으려고?

Sort:  

기계가 해주는 생일축하... 는 저도 영혼 없이 봅니다.
하지만 생일 맞이 쿠폰은....
고맙게 받기에 생일이나 기념일은 수집해도 될 듯 하네요 :)

쿠폰이라. 흑, 커뮤니티 사이트라 쿠폰은 무리예요. 기념일 수집하지 말아야겠어요.

와우!! 힘내세요!!

Coin Marketplace

STEEM 0.23
TRX 0.12
JST 0.029
BTC 66442.48
ETH 3553.03
USDT 1.00
SBD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