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tree 보팅 봇? 자제좀 해주시면 안될까요?

in #kr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wikitree 님 저는 @ayogom 입니다.
최근에 kr 태그를 자주 이용중입니다 가이드독을 신고하려고요
근데 한가지 이상한점을 발견했습니다.

image.png

최근 대세글의 상위가 다 @wikitree 님 글이네요 그래서 와 참 대단하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송금 이력을 보니 보팅 봇을 이용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image.png

자본 주의 사회에서 자신을 글을 홍보하기 위해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되지만 지속적으로 모든 글에 노출되는 건 좀 그렇지 않나요? 그래서 사용하지 말라는 것 보다 조금 자제해 주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서 글을 써봅니다.

이런 부분이 지속되면, 스팀잇에도 광고가 가득하지 않을까 걱정되는 마음으로 뉴비입장에서 써봤습니다.

Sort:  

https://steemit.com/kr/@wikitree/4p7d2x

위키트리는 보팅봇 이용에 대해 일부 스팀잇 kr 이용자 분들께서 의문을 제기하신 데 대해 그동안 위키트리의 보팅봇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입장을 전해드리기 위해 [위키트리 '보팅봇' 실험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잘 살펴봐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보팅봇을 사용 하는 것에 대해서 큰 반감을 갖지도 나쁘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다만 이글에서 나쁘게 생각하는 부분은 해당 컨텐츠가 도배가 되고 있다는 현실입니다. 지금 트랜딩쪽은 위키트리 글이 최상단에 많이 있었죠 그게 정상적으로 보이진않는 다는 것입니다.

이 글은 보상 사양한 글이지만 여러분이 보팅해주시면 명성이 올라가서 @ayogom 님께 보탬이 됩니다. 알려드리기 위해 셀봇합니다.

아이고 감사합니다... 덕분에 제 일반글 보다 보팅이 많은 글이되버렸습니다 ㅎ :)

님이 하신 역할에 대한 정당한 보상입니다 ^^
좋은 일 하셨어요.

디튜브에서 보이는 위키트리 영상도 같은 방식을 이용한 걸까요?
얼마전 갑질로 유명세를 치른 셀레브의 경우 100만 구독자의 60% 이상이 인도네시아 팔로워라고 하던데.... 이런 매체들은 정말 영악하죠.
초기에 마케팅 비용 쏟아 부어서 팔로우를 늘립니다. 그걸로 매체력을 평가받아 돈 받고 기사 써주는 영리활동을 하죠.
보팅은 물론이고 팔로우도 하지 말아야 해요. 들인 비용 만큼 효율이 나오지 않으면 스스로 떠날 겁니다.
돈 냄새는 기가 막히게 맡네요... 쩝

전 디뷰브를 처음 알았는데, 연결되는것 같아 보이네요
금액도 같은걸 보니,, 노출을 위한 홍보이지 않았나 싶네요... 그쪽 홍보도.. 덤으로

심해지면 나타나서 다운봇 때리는 집단이 있으니 일단 지켜봅니다.

한국에요? 아니면.....? 다른부분에서? 일단 가이독관련분하고 이야기는 좀 해봤네요 ㅎ

외쿡에 있습니다. ㅋㅋ

이번에 가즈아 사태를 보며 느꼈습니다 무서운놈들

이미 먼저 확인하신 글이 있었군요. 이런 글도 묻힌다는게 참 안타깝네요.

ㅎㅎㅎㅎ 어쩔수읍죠 ㅋㅋㅋ 어렵네요 그런부분
열심히 해야...ㅠ

미처 보지 못하고 집에 내려오자마자 포스팅을 했네요.
제가 그래도 팔로워 수가 좀 되니까, 더 많이 알려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글도 리스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sbear 님하고 잠깐 이야기를 나눴는데 과하다는 생각을 하고 계셔서,, 향후에 뭔가 롤을 걸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kr 가이드독 )

네, 커뮤니티의 합의가 나오면 좋겠습니다.

스팀잇의 태크는 정말 유저가 함께 만들어 가는 부분이므로, 커뮤니티의 합의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확실히 @armdown 님께서 언급하시니 좋네요 -_-bb 굿

대세글에 위키트리만 보여서 어떻게 스팀잇에서 이렇게 인기인가 했더니 보팅봇이었군요.

네 저도 보팅봇에 대해서 큰 반감은 없었는데
너무 과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음 저는 가입한지 6일차 뉴비라 원래 그런가 보다라고 생각했는데... 해당 아이디를 차단하면 어떻게 될까요?

뮤트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일단은 그럼 포기 하는 것이니, 함께 상생 할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없으면 소비자(구독자)들이 뮤트 하는 게 방법이 될 수 있겠죠

일련의 과정을 보면서 대세글의 다른 이면을 보게된것 같아요. 저로써는 또 공부를 하게된 시간이었는데 @ayogom님과 @armdown님의 글을 읽으면서 시스템을 잘못 활용하면 이렇게 될 수 있는것이란것을 깨달았어요.

사실 이미 네이버라든지 국내 검색엔진에서도 돈으로 상위를 자치 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지만, 타 태그에 비해 kr에서 과도하지 않은것 같은 기분이 들긴 했습니다.

이건 참 뭐랄까,,, 네이버 댓글조작보다 훨씬 심각한 문제라고 봅니다.

애초에 대세글을 보진 않지만, 이래서 기업들이 스팀잇에 들어오는 현상에 대해 회의적일 수 밖에 없는 것 같네요...

적당히... 해야 하는데 적당히...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227.58
ETH 3437.75
USDT 1.00
SBD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