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dApp 개발 강좌를 시작하며

in #kr7 years ago

이더리움 메트로폴리스 하드포크를 앞두고 이더리움에 대한 관심이 더 고조가 되고 있는 듯한 느낌입니다.
메트로폴리스 포크의 상징적인 의미는 이제 dApp 사용자 환경이 준비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앞으로 더 다양한 dApp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들이 나올 것으로 전망합니다.

하지만 한국 커뮤니티들의 현 상황은 그리 밝지 못한 것도 사실입니다. 너무 채굴과 트레이딩에 집중되어서 막상 이더리움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더 나아가 dApp 을 직접 만들어 보려는 시도가 매우 미흡합니다.

그래서 제가 전문적인 개발자는 아니지만, 최대한 쉽게 dApp 에 대해 접근해 볼 수 있도록 강좌를 마련했습니다.
오셔서 궁금한 점이 있으면 질문을 해주시면 성실하게 답하도록 하겠습니다.
또 저보다 더 뛰어난 많은 개발자님들이 오셔서 보다 더 전문적인 강좌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신다면 더욱 감사드리겠습니다.

http://www.chaintalk.io/archive/study/294

Sort:  

저는 별로 이쪽으로는 잘 알지 못하지만 Ethereum이 도대체 어떻게 응용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정말 궁금합니다. 앞으로 강좌를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편 올렸습니다.
http://www.chaintalk.io/archive/study/348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멋지군요. 제가 처음 이더리움에 관심을 가졌던 이유가 생각나내요. 전 제가 가진 이더리움을 아이에게 넘겨주면서 일정한 조건을 달고 싶었거든요. "30세가 되기전에는 사용할수 없다. 35세까지 세무사에 합격하지 못하면 해당 이더리움은 제 계정으로 되돌아온다."
이런 조건을 넣을수 있다는 말에 매혹되어었지요.....
이런걸 가능케하는 스마트커트렉 강의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말씀하신 조건 중에 30세 조건은 그렇지 어렵지 않은 조건인데, "35세까지 세무사에 합격"을 확인하는 것은 조금 까다로운 조건입니다. 블록체인에서 선무님 자제분이 합격했는지 안했는지를 스스로 찾아볼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체인 외부에서 그 조건의 결과를 컨트랙트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외부 세계의 일들을 체인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오라클" 이라고 합니다. 앞으로 이더리움이 더 발전되면, 여러가지 형태의 오라클 서비스들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등록하면, 불특정의 다수 확인자들이 정보를 확인해 블록체인에 그 결과를 올려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세무사 합격 여부를 공정하게 확인해 줄 누군가가 컨트랙트에 그 결과를 알려주어야 합니다.
선무님 본인의 키를 확인자로 컨트랙트에 등록을 시키면 제일 간단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선무님의 자제분이 합격했을 때, 선무님이 그것을 참으로 확인해줄 것이라는 확실한 보장은 안됩니다. 자제분의 입장에서 조금 불안(?)해 할 수도 있는 것이겠지요. 죄송한 말씀이지만, 그 때까지 선무님이 생존해 있을지에 대한 보장도 없구요.
그렇다면 합격여부를 확인해 줄 주체를 5인 정도 정하고, 이중 1명 이상이 합격여부를 정해진 시간내에 컨트랙트에 통보하면 이것을 인정해 주도록 하되, 만일 대립되는 의견이 있을 경우 다수결로 정한다 정도로 하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atomrigs 님 멋진 이더리움 개발강의 잘 들었습니다. 굉장히 큰 도움이 되었어요. 앞으로 ^^ 불현듯 보답 드리겠습니다. 스친 추가 합니다.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71456.82
ETH 3812.10
USDT 1.00
SBD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