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와 장기투자는 다르다
안녕하세요. 알파J인베스트먼트 대표, Alpha J 입니다.
가치투자 강의 및 퀀트 강의를 하다보면 제가 자주 받는 질문이 있습니다.
말씀하신 투자 종목 사례나 퀀트 리밸런싱 주기를 보면, 짧게는 1달만에 종목을 사고 파시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 이를 건전한 가치투자라고 부를 수 있나요?
블로그에도 여러 번 강조했었지만,
이런 질문은 가치투자의 요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떠오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치투자의 정의는
내재가치보다 주가가 싼 주식을 매수해서, 내재가치에 도달했을 때 파는 것
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A 기업의 내재가치를 1만원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8000원에 매수했다고 합시다.
만약 1달 뒤, 이 주식의 가격이 12,000원이 됬다면, 올바른 가치투자자라면 그 주식을 매도한다는 생각을 가져야합니다.
주가가 내재가치에 도달했다면, 그리고 그것을 초과했다면 그것을 더 보유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시장이 언제 내재가치와 가격간의 괴리를 조정할 지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위 예제 처럼 단기간에 운이 좋게도(?) 시장이 내재가치와 가격간 괴리를 맞추어준다면, 우리는 가치투자자로써 이익을 실현해야 합니다.
내재가치와 가격간 괴리를 고려하는 데에 있어서, 단기냐 장기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시장이 내재가치와 가격 간의 괴리를 단기간에 맞추어 주는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가치투자를 장기투자와 동의어로 오해하시는 분이 많이 생기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가치투자와 장기투자는 절대 동의어가 아님을 기억해주셨으면 합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어떤 경우던, 가치투자자로써 가져야 할 올바른 매도 기준은 주가가 내재가치에 도달하거나 그것을 넘었을 때. 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 말은 가치투자자라고 해서 무조건 장기투자를 지향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기간에 주가가 내재가치에 도달하는 종목들을 발굴할 방법을 찾는다면, 충분히 가치투자를 단기투자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확실한 방법이 존재하는 지는 저도 의문입니다만.. ^^;)
이 글이 가치투자의 정확한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기고 가시는 데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짱짱맨 호출에 출동했습니다!!
짱짱맨 x 마나마인! 색연필과학만화
https://steemit.com/kr/@mmcartoon-kr/4cmrbc
존버앤캘리에 이은 웹툰입니다
아이들이 보기에도 좋을꺼 같아요^^ 글작가님이 무려 스탠포드 물리학박사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