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 기반 DeFi 이용하기

in Korea • 한국 • KR • KO3 years ago

솔라나를 사셨던 분들이라면 아마도 DeFi를 위해서 사셨을 확률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솔라나 DeFi의 경우는 FTX 거래소에서 솔라나를 구매하고 솔라나 네트워크로 빼서 DeFi를 하시면 됩니다. 이것은 이더나 븐브와 비슷합니다.

다만 븐브의 경우는 거래소 내부에서도 CeFi 프로그램이나 런치패드등이 준비가 되어 있는 반면에 FTX는 현재는 그런 제도들이 특별하게 많이 준비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DeFi를 위해서 준비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솔라나 주소 생성 (sollet.io 에서 지갑 생성)
  • raydium.io에서 지갑 연동
  • FTX 거래소에서 솔라나 주소로 SOL이나 USDC, RAY등 보내기 (SOL, RAY는 전송 수수료 없음)
  • RAY 스테이킹을 하거나 LP 생성해서 RAY 파밍으로 DeFi

정도입니다.

image.png

raydium.io에서는 디파이 방법이 4가지 정도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 LP 생성해서 수수료만 먹기
  • LP 생성해서 수수료 먹고, 추가로 파밍을 통해서 Ray 채굴
  • LP 생성해서 수수료 먹고, 추가로 퓨전풀에서 고위험 고수익풀 채굴 (최대 APY 2000% 이상풀도 있음)
  • RAY 단일 스테이킹을 통한 RAY 채굴

여기서 LP만 생성해서 수수료 챙기는 것은 예를 들어 SOL-USDC와 같은 풀입니다. 따로 LP로 파밍을 할 수 없으나 수수료가 연간 150%이상의 APY를 보여서 LP 묶어두고 (SOL이 내리지 않으면) 꾸준하게 자산 증식을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image.png

그외에 Farms 탭을 통해서 Ray 기반 LP들로 파밍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도 RAY-USDT LP가 수익률은 가장 좋은 상태입니다.

image.png

Fusion의 경우는 채굴시 2중으로 채굴되는 풀도 존재하며 (이것은 마치 트론의 썬 채굴과 조금은 비슷한 느낌) 아니면 수익률이 매우 높은 풀들이 있는 곳입니다. 그만큼 리스크가 동반될 수 있는 풀임을 인지해야할것입니다. 보통은 가장 큰 리스크는 해당 LP의 토큰들의 가격 안정화가 이슈가 있을 수 있습니다. 뭐, 반대로 확 오를 수도 있는 "리스크"도 있기는 합니다. ^^

image.png

Staking의 경우는 현재 Ray 단일 스테이킹만 지원을 합니다. 즉, Ray를 스테이킹해서 Ray를 채굴하는 형태입니다. 수익률은 현재 약 50%대로 높지는 않은 편이나, LP를 묶고 남은 RAY나, LP의 위험을 지고 싶지 않으신 분들을 위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image.png

개인적인 생각

톡방에서 지인분께서 말씀하시는것이 솔라나의 DeFi는 개발자들의 향이 진하게 난다는 말들을 합니다. 그만큼 UI적으로 접근성이나 사용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Ray와 SOL의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가 되거나 상승을 해주면 사용자와 자본금의 증가와 더불어 성장 가능성이 충분이 있을 수 있는 곳이라고 여겨집니다.

Sort:  
 3 years ago 

이놈이 솔라나~ 안솔라나~ ㅎㅎ
내용은 봐도 몰라서 패쓰~ ㅋ 즐거운 주말 되세요~

 3 years ago 

ㅋㅋㅋ 내가 이더랑 븐브를 그렇게 패스했다가 이번에는 놓치지 않기 위해서 머리채 붙잡고 가고 있습니다. ㅋㅋ

 3 years ago 

sol의 활용도가 더 증가하면 좋겠네요

 3 years ago 

TVL이 늘어날수록 성공할 확률은 높아지니까요 ^^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70559.45
ETH 3816.07
USDT 1.00
SBD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