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꽃 1)청미래 덩굴의 붉은 열매에 사랑이 달려요.
경기도는 청미래 덩굴, 강원도는 참열매 덩굴, 전라도는 명감나무, 경상도는 망개나무 등등 그 이름도 많다. 청미래 덩굴은 반짝반짝 윤기 흐르는 넓은 잎과 둥그런 붉은 열매를 매달고 있다. 널따란 잎은 가난했던 시절 소박한 망개떡에 배고픔을 달래보던 향수가 배어나오고, 정열적이며 고혹적인 빨간 열매는 처녀총각의 순수한 사랑얘기를 담고 있다.
경상도에서는 청미래 덩굴을 망개나무라고 하여 떡을 빚는데 사용한다. 송편처럼 빚은 반달모양의 찹쌀떡을 두 장의 망개나무 잎 사이에 넣어 김이 오른 찜통에 쪄 내는 망개떡은 나뭇잎의 향이 떡에 스며들어 상큼한 맛이 나며 잘 상하지도 않는다. 찬바람이 부는 가을과 겨울 뒷골목을 누비며 “찹쌀떡˜♪”을 외치던 떡 장수의 애환이 묻어나는 떡이다.
역사적으로도 망개떡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서기 550년경 가야연맹은 백제의 보호를 받는 부용국(附庸國)의 위치로 전락했었다. 이때 가야와 백제는 왕실간 혼인을 추구하기도 했었다는데 신부 측인 가야에서 이바지 음식으로 망개떡을 만들어 백제에 보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산속으로 피해 다닐 때 망개떡으로 끼니를 때웠다는 얘기도 전해진다. 망개 잎 표면에 형성된 미끈한 밀랍층은 잎과 접촉된 부분이 마르지 않도록 촉촉하게 유지시켜주며 천연 방부제 역할까지 대신하고 있기 때문에 피난 다니던 사람들의 휴대음식으로는 최고였을 것이다.
붉게 빛나 탐스럽게 보입니다.
한의학에서는 토복령이라 부르며 중금속 중독을 해독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사포닌 성분이 몸 안의 독을 풀어주며 피를 맑게 하는 약리작용이 있답니다.
빨간 열매가 너무 탐스러워요.
가을이라는 게 실감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