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LEOne] 서비스 기획 #2 무광고 수익 모델steemCreated with Sketch.

in AVLE 코리아last year

스팀잇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광고 얘기를 한다. 애드센스를 달아야 스팀이 살아난다고.

난 이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 동의하지 않는다기 보다는 블록체인 기술로 광고없이도 서비스가 커질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다.

광고

사실 광고는 대부분 싫어한다. 나는 더욱 그렇다. 글을 읽을 때 상당히 방해가 된다.
또 사람들이 소비하지 않아도 될 것을 소비하도록 부추긴다. 지금의 자본주의는 소비가 없으면 돌아가지 않는다.
억지로라도 소비를 유도해서 경제 규모를 계속 키워야만 돌아가는 구조가 되어버렸다.
향후에도 지금과 같이 광고가 덕지덕지 붙어 있는 형태의 비즈모델이 남아 있을까?

광고가 붙지 않으면 창작의 수익이 없기 때문에 좋은 글을 쓰는 창작자가 스팀에 들어오지 않는다고 한다.
일부 맞는 말이다. 광고보다는 더욱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스팀잇의 경우 보상이 글 발행 후 7일까지만 가능하기 때문에, 그 이후에 아무리 조회가 많이 되더라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광고없는 수익 모델

광고없이도 7일이 지난 글에 대해 보상을 발생시킬 수 있을까?
있다. 그것은 팁이다. 글에 대해 만족하고, 지원을 하고 싶은 사람이 쉽게 팁을 줄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선뜻 팁을 주는 사람이 많지는 않을 것이다.

에이블원에서 생각하는 모델은 글의 비공개를 이용하는 것이다.
보팅이 가능한 7일 동안은 공개로 열려 있다가, 7일이 지나면 비공개로 닫힌다.
글을 보려면 창작자가 지정한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자신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글에는 비용 지불을 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기업과 같은 곳에서 비용 지원이 된다면 더욱 더 쉽게 지불할 것이다.

비공개 글 구현

스팀은 공개 블록체인이다. 모든 글과 트랜잭션이 공개된다.
메모키를 이용하여 비공개 글을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다.
고민을 많이 했지만, 이 방법보다는 보다 직관적인 방법을 택하기로 한다.
글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스팀에는 요약본의 글만 올라가도록 한다.

에이블원에서 글을 쓸 때, 애초에 글을 비공개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창작자를 후원하는 또는 투자하는 사람 (avler)만 글을 볼 수 있다.

현 단계

서비스에 대해 구체적 기획은 대략적으로 완성되었다. 현재는 에이블을 바탕으로 개선된 서비스를 구현 중이다.



Please vote for me as a witness and Resteem this post

Thank you everyone for voting.

https://steemitwallet.com/~witnessesimage.png



Posted through the AVLE Dapp (https://avle.io)

Sort:  

Thank you, friend!
I'm @steem.history, who is steem witness.
Thank you for witnessvoting for me.
image.png
please click it!
image.png
(Go to https://steemit.com/~witnesses and type fbslo at the bottom of the page)

The weight is reduced because of the lack of Voting Power. If you vote for me as a witness, you can get my little vote.

글을 보고 생각을 한 부분인데요. 요즘 유료 웹사이트들도, 일단 조금은 보여주다가, 더 보고 싶으면 돈내슈 이런거잖아요. 이런 느낌으로 글 보고 싶으면 보팅 ㅋㅋㅋ
뭐 이럴수도 있지 않을까. 그냥 지나가다가 생각나서 적어봅니다.

쉽지 않은 부분은 것 같아요. 아직은 웹2 유저가 너무 많아서, 돈도 그쪽에서 나오고 실물 경제와의 어떤 연결성이 있어야지 될 것 같은데
그부분이 말씀하신것처럼 광고 덕지덕지는 UX를 많이 해치긴 해서요.

캐시워크 처럼, 일단 경험은 좋게 하고 보상을 받아가는 타이밍에 광고하면 좋을것 같기도 한데, 저희도 지금 이런 부분 연구하고 있습니다. ㅎㅎ

고민하시는 부분 화이팅 이예요.

네 비슷하게 구현하려고 합니다. 요약본만 보여주고, 팁을 주면 볼 수 있게요. 궁극적으로는 창작자를 후원/투자 하도록 유도하려고 합니다. 창작자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여 투자 유치하고요.

네네. 혹시, 진행하시면서, 고민되거나 상의할 부분 있으시면 편하게 이야기 주세요 :) 잘 되길 기원해 봅니다.

넵. 고맙습니다! 제대로 된 서비스 만들어 보겠습니다!

글을 보려면 창작자가 지정한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이거 이전에 스팀잇 내에 검색이 정상적으로 결과물이 잘 나와야 한다는 완전 개판 ㅋㅌ

옛날에 스팀잇 내 광고 하고 하는게 있었는데 ㅎㅎㅎ

삭제했습니다.

개발자들이 개념설개를 위해 서로 논의를 해보는 것이 좋겠군요. 항상 그렇듯이 적극 응원합니다

응원고맙습니다! 웹3 시대는 광고모델은 잠차 줄어들지 않을까 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2001.44
ETH 3479.98
USDT 1.00
SBD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