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회계] 주당순이익 Earnings Per Share (EPS)

in STEEM_UP_스팀업5 years ago

오늘은 주식의 재무제표를 보고 계산해볼 수 있는 주당순이익 (Earnings Per Share (EPS))에 대해 정리해볼까 합니다.

주주들은 한 주를 구입하면서 자신이 투자한 금액 대비 기업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벌었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그 계산을 해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주당순이익입니다.

주당순이익은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의 둘로 구분됩니다. 기본주당이익은 시장에 유통되고있는 보통주만 고려한 것이고, 희석주당이익은 미래에 보통주로 전환될 수 있는 것들을 모두 보통주로 인식하고 계산한 주당이익입니다. 계산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기본주당이익
    [ basic earnings per share , 基本株當利益 ]

image.png

지배회사의 보통주에 귀속되는 특정 회계기간의 당기순손익(분자)을 그 기간에 유통된 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분모)로 나눈 것이다. 기본주당이익 정보의 목적은 회계기간의 경영성과에 대한 지배기업의 보통주 1주당 지분의 측정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 희석주당이익 Diluted Earnings Per Share (DEPS)

image.png

모든 희석효과가 있는 잠재적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지배기업의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 순손익 및 가중평균보통유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한 주당이익을 말한다. 희석주당이익의 목적은 기본주당이익과 같다. 경영성과에 대한 보통주 1주당 지분의 측정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희석주당이익은 특정 회계기간에 유통된 모든 희석성 잠재적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① 지배기업의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에 희석성 잠재적보통주와 관련하여 그 회계기간에 인식된 배당과 이자비용에서 법인세효과를 차감한 금액을 가산하고, 그 밖의 희석성 잠재적보통주가 보통주로 전환되었다면 변동되었을 수익 또는 비용을 조정한다.

②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에 모든 희석성 잠재적보통주가 보통주로 전환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추가적으로 유통되었을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가산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주식의 현재가치에 대해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면, 지금의 주가가 올바른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한국의 주식시장은 주인으로서라기 보다는 시세차익으로서의 투자자가 더 많긴 하지만요.

Coin Marketplace

STEEM 0.13
TRX 0.34
JST 0.035
BTC 111003.43
ETH 4315.85
SBD 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