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를 실행해 보자.

in #geth7 years ago (edited)

make geth 를 이용하여 go etherum을 빌드했습니다.
테스트 넷에 연결했구요

geth --testnet --syncmode "fast" --rpc --rpcapi db,eth,net,web3,personal --cache=1024 --rpcport 8545 --rpcaddr 0.0.0.0 --rpccorsdomain "*"

노드역시 cli 이기 때문에 명령을 실행시킬수 있지만, 로그가 계속 나오기 때문에
새로운 터미널에서 ipc로 노드에 접속하였습니다.

./geth attach ipc://home/naksir/.ethereum/testnet/geth.ipc

몇가지 테스트를 해봅니다.
계정을 만들고,

pernonal.newAccount()

지갑에 있는 계정의 정보를 확인하고

eth.accounts
"0x660e3147f770737ce50a347ccc8ba7c385188c93"
"0x22fec1f75d66baadfa757d1c93dc4c586c8e4b37"

마이닝을 시작해보았는데, 하나도 안되더라구요
(테스트 넷에서는 poa로 바뀌어서 이제 마이닝이 안된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miner.setEtherbase
miner.start()
miner.stop()

계정에 이더리움 잔고르 확인합니다.

web3.fromWei(eth.getBalance(eth.coinbase), "ether")
web3.fromWei(eth.getBalance("0x660e3147f770737ce50a347ccc8ba7c385188c93"), "ether")
web3.fromWei(eth.getBalance("0x22fec1f75d66baadfa757d1c93dc4c586c8e4b37"), "ether")

당연히 0

아래 수도꼭지에 가서 2개의 계정에 1 이더리움씩을 구걸했습니다.

http://faucet.ropsten.be:3001

0.5 이더를 보내봅니다.

var tx = {from: "0x22fec1f75d66baadfa757d1c93dc4c586c8e4b37", to: "0x660e3147f770737ce50a347ccc8ba7c385188c93", value: web3.toWei(0.5, "ether")}
undefined
personal.sendTransaction(tx, "")
"0x40a2833ab941152a00397ca2b93674c304d0989ad2bb1ae6907c6c0a87a2282b"

트렌젝셩 상태를 확인합니다.

debug.traceTransaction("0x40a2833ab941152a00397ca2b93674c304d0989ad2bb1ae6907c6c0a87a2282b")
failed: false,
gas: 21000,
returnValue: "",
structLogs: []

단순한 전송이다보니 가스비가 21000유닛 소모되었군요.

블록정보를 보고 싶었는데 fastsync라 그런지 블록내용이 안보이더라구요.
헥사로 바꿔서 봐야한다는 점이 귀찮습니다.

debug.traceBlockByHash(number, [options])
eth.blockNumber
debug.dumpBlock("0x359c0b")

연결된 피어들 정보도 한번 찍어봤네요.

admin.peers

사실 아직까진 뭘해야 할지 몰라서, 계속 사용해보는 중입니다.
일단 커맨드가 위키에서 잘관리가 되고있긴하나,
저렇게 앞에 붙는 인자가 제멋대로여서야...

Coin Marketplace

STEEM 0.09
TRX 0.30
JST 0.035
BTC 111568.18
ETH 3955.43
USDT 1.00
SBD 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