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EOSIO DApp 개발 – '나도 백서 읽는다' 시리즈 2. BackgroundsteemCreated with Sketch.

in #eos7 years ago (edited)

내용을 꼼꼼히 읽을 필요가 없습니다. 왜 이런게 나오게 되었는지만 알면 됩니다. 내용을 최대한 간단한 수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Background


Blockchain technology was introduced in 2008 with the launch of the Bitcoin currency, and since then entrepreneurs and developers have attempted to generalize the technology to support a wider range of applications on a single blockchain platform.

블록체인 기술은 비트코인에서 시작되었고, 분산 앱 개발 기술로 발전해 나간다는 거지.


While a number of blockchain platforms have struggled to support functional decentralized applications, application specific blockchains such as the BitShares decentralized exchange (2014) and Steem social media platform (2016) have become heavily used blockchains with tens of thousands of daily active users. They have achieved this by increasing performance to thousands of transactions per second, reducing latency to 1.5 seconds, eliminating per-transaction fees, and providing a user experience similar to those currently provided by existing centralized services.

BitShares, Steem과 같은 블록체인들은 이미 현재 중앙화된 서비스들에 의해 제공되는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는 거지. EOS 개발자인 Daniel Larimer가 했던 것들. 트랜잭션 처리 성능을 높였고 지연시간을 줄였고 수수료를 제거했다는 거지.


Existing blockchain platforms are burdened by large fees and limited computational capacity that prevent widespread blockchain adoption.

지금의 블록체인 플랫폼들은 트랜잭션 처리 성능과 지연시간과 수수료 문제가 있다는 거지. 이런 문제를 안고는 분산 앱으로 중앙화된 서비스와 같은 것들을 하기는 어렵다는 거지.


배경은 명확하네요. 어떤 것을 목표로 하는지 왜 그것을 하게 되었는지.
"트랜잭션 성능 높여줄게", "지연시간 줄여줄게", "수수료 없애줄게"

Coin Marketplace

STEEM 0.09
TRX 0.32
JST 0.032
BTC 110211.21
ETH 4029.80
USDT 1.00
SBD 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