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EOSIO DApp 개발 – '나도 백서 읽는다' 시리즈 1. Abstract
백서 읽기를 시작합니다. 버전은 아래 링크된 EOS.IO Technical White Paper v2입니다.
https://github.com/EOSIO/Documentation/blob/master/TechnicalWhitePaper.md
이전 버전이긴 하지만 한글 번역 본도 있습니다.
https://github.com/EOSIO/Documentation/blob/master/ko-KR/TechnicalWhitePaper.md
내용을 번역하기 보다는 내용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합니다. 이탤릭체로 작성된 부분은 사고의 흐름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비평적인 관점에서 떠오른 생각들을 작성했습니다. 우리 말로 옮겨 설명하기에 너무 고심을 많이 하게 하는 부분은 영문을 그대로 옮길 것입니다.
Abstract: The EOS.IO software introduces a new blockchain architecture designed to enable vertical and horizontal scaling of decentralized applications. This is achieved by creating an operating system-like construct upon which applications can be built. The software provides accounts, authentication, databases, a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the scheduling of applications across many of CPU cores or clusters. The resulting technology is a blockchain architecture that may ultimately scale to millions of transactions per second, eliminates user fees, and allows for quick and easy deployment and maintenance of decentralized applications, in the context of a governed blockchain.
새로운 블록체인 아키텍처를 소개한단다. 새로운 거?
분산 앱(애플리케이션, 이하 앱)의 수직적 수평적 확장이 가능하도록 아키텍처를 설계 했단다. 아직 그렇게 새로워 보이지는 않는데.
이것은 운영체제와 같은 것을 만들고 그 위에서 돌아가는 앱을 만들면 된단다.
운영체제에서는 계정, 인증, 데이터베이스, 비동기 커뮤니케이션, 앱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한다. 앱 스케줄링이 왜 필요할까? 앱들은 수 많은 CPU 코어들과 클러스트들에서 실행된다. 아직까지도 새로워 보이지 않는다.
결과로서 얻고자 하는 기술은 (in the context of a governed blockchain)에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가능한 블록체인 아키텍처이다. 제안된 가치들, 이것들이 새롭네.
- 초당 수백만건의 트랜잭션 처리가 가능한(궁극적으로)
- 사용자 수수료를 없앤
- 분산 앱을 빠르고 쉽게 배포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는
Abstract를 읽으면서 조금 아쉽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입니다.
- 하려고 하는 것과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잘 연결이 안 된다. 운영체제 개념을 도입한다고 해서 첫 번째와 두 번째 결과를 얻을 것으로 설득되지는 않는다.